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기에 속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돈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한 것이다. 조사 결과,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독립 소비 행위 경험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돈은 중요한 것이고, 많으면 많을수록 좋으며, 돈에 대한 공부가 중 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미래 생활비나 돈을 잘 모으는 방법 등을 포함한 금융에 대한 관심은 높았으나 금융 관련 구체적인 내용 요소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낮 았다. 분석 과정에서 성별에 따라 일부 금융 습관과 용돈 관리 측면의 차이, 가정에서 돈에 대해 배운 적이 있는가에 따라 용돈 관리 측면과 돈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차이를 발견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첫째, 가정에서 금융교육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궁극적으로는 모든 학생이 기초 금융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학교에서의 체계적인 금융교육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점, 둘째, 합리적 소비를 위한 의사결정뿐만 아니라 합리적 돈 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이 함께 다루어져야 한다는 점, 셋째, 학생들의 돈에 대한 높은 관 심을 관심 수준에만 머물게 할 것이 아니라 이를 실행하고 해결하게 할 수 있는 금융교육이 필요하며 실질적인 금융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금융 관련 지식, 금융 행위, 바람직한 금융 태도 등이 균형 있게 다루어져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숲체험 활동이 고등학생의 숲에 대한 태도, 심리적 안녕감,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연구대상은 화성시 B동에 위치한 고등학교의 학생 26명으로 도시숲 체험에 참가한 실험집단과 학교숲 체험에 참가한 통제집단으로 나누었고, 각 집단은 매주 1회 2시간씩 5회기의 숲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고등학생 들의 정신적 심리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숲에 대한 환경태도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학업스트레스 척도를 이용해 사전과 사후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과 Wilcoxon 부호순위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숲체험 활동에 참여한 고등학생의 숲에 대한 태도에는 유의미한 증가가 있었다. 심리적 안녕감은 학교숲에 참가한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으나 증가가 있었고, 도시숲 체험에 참가한 집단은 유의미한 증가가 있어서 숲체험 활동은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었다. 학업스트레스에 있어서는 학교숲 체험에 참가한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으나 감소가 있었고, 도시숲 체험에 참가한 집단은 유의미한 감소가 있어서 숲체험 활동은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igh school students' school uniform wearing attitude by group according to clothing attitude targeting Gyeongnam area.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in the field of school uniform and marketing that clothing propensity by groups is considere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762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nam.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for Window 14.0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sponse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analysis and Duncan's ex-post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on the clothing attitude, students were divided into 4 segmentation of fashion seeking group, fashion indifference group, conformity group and modesty group.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toward wearing school uniform by groups which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opensity of clothing attitude, activity, stability, and practicality were all varied according to the propensity of clothing attitude. 4 group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consent to wearing school uniform, price of school uniforms, tendency to prefer famous brand when purchasing school uniform, experience of transforming school uniform, opinion about school uniform modification and reason for school uniform modification. While low graders were many in 'modesty group', upper graders were many in 'fashion seeking group', which means that more segmentalized satisfaction of clothing by group may be raised if such a fact is considered when planning clothing for high school students segmentalized by age.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illuminate that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have the positive impact on the mental aspects by analyzing how the participation attitude has influence on physical self-concept. The objects of thi
This research is to conduct a survey on Plant Attitude Scale, Emotional Intelligence, Aggression Scale and Verbal Aggressiveness Scale of 540 elementary schoolchild and to analysis on credibilit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by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sion 21. Both Plant Attitude Scale (Importance of plant, function of urban trees, interest on the plant, utilization of pla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 recognition, empathy, emotion control ability) present significant correlation. The higher grade of plant attitude including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entire of plant attitude, the most of subcategorie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dicate significant correlation. Importance of plant and interest on the plant has mo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motional intelligence. As Plant Attitude Scale and Aggression Scale (physical aggression, anger, hostility) present th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t shows that the higher plant attitude, the lower aggression. The plant attitude indicates ver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aggression and anger in physical aggression and anger as well as importance with plant. In case of function with urban trees, it shows the higher physical aggression, anger and interest on the plant, the lower physical aggression. While Plant Attitude Scale and Verbal Aggressiveness Scale (Swear, ridicule, taunt, threat, curse) present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e higher plant attitude, the lower verbal aggressiveness. The plant attitude indicates that there i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n swear, ridicule, curse among the verbal aggressiveness. In the subordinate scope, especially in importance of plant, it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that grade of sear gets lower as the higher swear and curse including case of swear, ridicule and function of urban trees and also there are higher points with sear, ridicule, curse and utilization of plant in case of interest on the plant.
본 연구는 진주, 남해, 하동, 산청, 의령에 위치한 초등학교 10곳 을 선정하여 4, 5, 6학년 학생들의 식물에 대한 태도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설문지는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식물의 중요 성, 가로수 및 공원수의 기능, 식물에 대한 흥미도, 식물에 대한 이 용에 대한 세부항목으로 나누어 총 29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이 를 종합하여 식물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다. 총 1,690부의 설문지 를 배부하여 회수된 1,606부를 SPSS/WIN(Version 18.0)을 이용 하여 분석하였다. 학년에 따라 세부 항목별 분석 결과를 보면 식물 의 중요성에서는 4학년에 비해서 5, 6학년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 다. 식물에 대한 흥미도는 4, 5학년에 비해 6학년이 낮은 흥미도 값 을 나타내었다. 식물에 대한 이용은 5, 6학년이 4학년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으며, 식물에 대한 태도 전체값은 4학년과 6학년 사이는 차이가 있으나 5학년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서 식물의 중요성, 식물에 대한 흥미도, 식물에 대한 이용에서는 남 학생, 여학생이 서로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학생이 더 식물에 대한 태도값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가로수 및 공원수의 기능 항목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님 농사 여부에 따라 평균비교를 해본 결과, 식물에 대한 태도는 부 모님의 농사여부에 따라 식물에 대한 태도가 차이가 남을 알 수 있 었다. 부모님이 농사를 짓는 학생들이 식물의 중요성, 식물에 대한 흥미도에서 높은 값을 보였고, 가로수 및 공원수의 기능, 식물에 대 한 이용 항목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학년별, 지역별, 성별과 부모님 식물 가꾸기 선호도에 대한 빈도를 교차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학년에 따라 부모님 식물 가꾸기 선호도에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 다. 이는 부모님 식물 가꾸기 선호도가 가장 높은 학년은 4학년이고 그 다음으로는 5학년이고 그 다음으로는 6학년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부모님 식물 가꾸기 선호도에 대한 빈도를 교차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지역에 따라 식물 가꾸기 선호도에 차이가 있다고 나 타났으며, 성별과 부모님 식물 가꾸기 선호도 결과 성별에 따라 부 모님 식물 가꾸기 선호도에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부모님 식물 가꾸기 선호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부모님 식물 가꾸기 선호도 가 높게 나타났다. 부모님 식물 가꾸기 선호도에 따라 식물의 중요 성에 대한 태도의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으며, 가로수 및 공원수의 기능에 대한 태도, 식물에 대한 흥미도, 식물에 대한 이용은 통계적 으로 매우 유의하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도 부모님 식물 가꾸기 선호도에 따라 식물에 대한 태도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