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ould present a risk analysis method to evaluate stable tap water supply in a multi-regional water supply system and propose a measure for the evaluation of the effect of the conjunctive operation of the multi-regional water supply system using this. Judging from the vulnerability for the crisis response of the entire N. multi-regional water supply system, as compared to the result of Scenario 1 in which no conjunctive pipes were operated, it was found that in Scenario 2, in which conjunctive pipes were partially operated, the vulnerability of crisis response decreased by about 30.6%, and as compared to Scenario 3, the vulnerability of crisis response decreased by 86.2%. In setting a plan for stable tap water supply in N multi-regional water supply system, using the estimated value and the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the vulnerability of crisis response by pipe, by interval and by line, it is judged that this can be utilized as a basis for the judgment of the evaluation of the operation or the additional installation of conjunctive pipes.
한국어 접속문에서 두 절을 연결시켜 주는 중요한 요소는 연결어미이며, 연결어미를 통해서 두 절의 상 호관계가 드러난다. 반면에 중국어의 접속문은 주로 관련 사어를 이용하여 두 절을 연결한다. 중국어의 관련 사어는 연사와 관련부사의 결합형식으로 한국어의 연결어미와 같은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언어 적 특성의 차이로 인해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울 때에 연결어미를 학습하는 것은 특히 어렵고, 많은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양보 연결어미의 사용 빈도가 비교적 높고 각 항목은 특징에 있어 차이가 존 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각 항목의 통사적 특징을 모두 파악하여 습득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래서 본 논문의 목적은 중국어권 학습자 위한 한국어 양보관계 연결어미 ‘-아/어도’, ‘-더라도’, ‘-ㄹ 지라도’, ‘-ㄹ망정’, ‘-ㄹ지언정’, ‘-ㄴ들’을 중심으로 통사적 특징을 살펴본다. 본 논문의 목표는 한국어 양보관계 연결어미의 통사적 특징을 정확히 파악하게 할 수 있고, 문법 요소 사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Korean university EFL students’ use of conjunctive adverbials (CAs) in argumentative writing. The data for the study consist of a Korean university students’ writing corpus that is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subcorpora based on proficiency levels, and a reference corpus of American students’ writings. The results show that the nonnative writers in all three groups greatly overused CAs. Examination of their overuse patterns according to different taxonomic types indicated that sequential and additive types were mostly overused, as much as six times more than those by the native writers. In addition, several characteristics of the nonnative writers’ CA usage are discussed, including their heavy dependence on sentence-initial positioning, and both form-related and usage-related misuses of CAs, especially among the lowest-level learners. The study concludes with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This study reports on the findings of a corpus-based analysis of Korean college students' use of English conjunctive adjuncts. Unlike many previous studies that mainly focused on describing the position and semantic types of conjunctions used by learners of English, this study examines grammatical errors of conjunctive adjuncts found in a leaner corpus that consists of 102,632 words written by 399 Korean college freshman student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earners tend to use sentence-initial coordinators even when the sentences before and after the coordinators are not long enough to warrant such usage. Second, sentence fragments occur much more frequently than run-on sentences with the 10 most frequent conjunctive adjuncts found in the corpus. Finally, learners often add unnecessary punctuation marks or omit necessary ones after conjunctive adjuncts, errors which sometimes make it difficult for readers to understand the text. All these errors amount to the conclusion that many Korean learners of English at the university level lack the necessary grammatical knowledge of English conjunctive adjuncts to use them correctlyin academic writing.
This study is aimed at applying conjunctive adverbs of type of "그러-‘ for education site of Korean language by clearing up syntactical condition and contextual meaning and mutual replacement relation of conjunctive adverbs having similar meaning to be able to use opposition conjunctive adverb of type of "그러-’. According to inclination of foreign learner who want to learn Korean by rule and formula instead of meaning explanation. So this study was represented table and chart as suggesting way of each items, and it could be called as new tryout that we could not find in existing studies. This discussion might be little different with meaning of conjunctive adverbs explained in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In the selection of example, used example of Korean language text book for foreigners by considering level of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was inconvenienced by impractical sentence and non-suggestion of concrete plan to be able to be used in practice lesson. But if teachers fully understood schematic pictures and used them in class, it could become a little help to reduce learner"s confusion occurred by using opposition conjunctive adverbs of type of "그러-."
이웃한 상수도시스템의 공급 가능지역이 중첩될 경우, 이들 시스템을 연계함으로써 경제성과 수질 조건을 만족시키는 조건별 용수공급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용수수요 조건별 경제적 급수구역과 최적 펌프운영율을 산정하기 위하여 관망수리해석 모형(EPAnet)과 네트워크 최적화모형(KModSim)을 연계 하는 최적 네트워크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최적 네트워크 모형을 사등가압장, 구천댐 그리고 연초댐의 3개 상수원이 존재하는 거제지역 상수도시스템에 적용하
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표수-지하수 연계이용에 관한 연구가 최근 국내에서도 관심을 끌고 있다. 지역 여건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동시에 친환경적인 지표수와 지하수 연계이용은 통합적인 수자원 관리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논문에서 개발된 방법론 즉, 지표수-지하수 연계이용이 시행되어야 할 지역의 선정, 가뭄분석을 통한 물 공급 시나리오 도출, 연계이용 결과 얻어지는 추가 수자원확보량 산정까지 전과정의 현장적용성을
가뭄이나 장래 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표수-지하수 연계이용 방안이 대두되고 있다. 하나의 수원에 지나치게 높게 의존하고 있는 지역은 물 부족사태가 발생할 개연성이 높기 때문에 연계이용을 검토할 수 있으며, 추가 및 신규 수자원 확보 차원에서도 연계이용은 매우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과 같은 비상시 안정적인 물 공급을 위해 지표수와 지하수를 효율적으로 연계하여 추가적인 수자원을 확보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방
본 연구에서는 지표수와 지하수를 최적 연계 운영하여 장차 다가올 물 부족에 대응할 수 있는 용수 공급 방안을 검토하였다. 최적 지표수, 지하수 연계운영 모형은 용수공급으로 인한 순편익을 최대화하도록 이산미분동적계획법을 사용하여 개발하였다. 시범유역으로 양양 남대천을 선정하여 모형을 적용한 결과, 지표수만 사용하여 용수를 공급하는 것에 비하여 용수공급 신뢰도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표면유출과 하천유출의 실시간 연계를 통하여 하천 각 구간에서의 수위와 유량을 예측하는 수리학적 홍수추적 모형을 개발하였다. 주로 유역의 지형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수문곡선의 형상을 반영하여 홍수 유출량 산정방법을 개선하였으며, 침투과정을 고려하여 강우초가 첨두유량의 과다산정을 제거하였다. 지표면유출의 하천유입을 연속방정식에 반영하여 여러 단면에서의 유입이 용이하였으며, 이는 강우의 급격한 변이에서도 수치적 안정을 가져다 주었다. 폭우시 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