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ppropriate soil depth for each species should be determin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visual quality of the plant, including the growth conditions of the trees and total photosynthe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height, root collar diameter, dry weight- and quality index according to soil depth.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suitable plants according to container size (soil depth) when creating a container garden. The result are as follows; Pinus densiflora, Pinus parviflora and Nandina domestica have poor growth and low ornamental value at 15 cm depth. Therefore, theu will be available at a minimum depth of 20c m. Thuja occidentalis grew in 15 cm of soil depth and had a normal visual value, but it was desirable to plant 20 cm of soil depth. Ilex serrata grew at least 20 cm above depth but it was not suitable for container garden because of its low value of ornamental value. Syringa vulgaris had little difference in growth depending on soil depth. Considering the visual quality, it will be possible to plant for container gardening at a soil depth of 20 cm or more. Container gardens are an alternative to forming green spaces in places where planting is difficult in the city. Therefore, appropriate containers and plants should be selected.
        4.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상자텃밭을 활용한 식물 재배·관찰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흥미도와 사회성,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서울 소재 초등학교의 3학년 1개 반에 엽채류용 상자텃밭은 학생 1인당 1개씩, 근채류와 과채류용 상자텃밭은 5명으로 구성된 6개 모둠에 각 2개씩 제공되었고, 상자텃밭은 심지관수 용기로 제공되었다. 상자텃밭 활동은 담임선생님이 재량활동 수업 시간에 진행하였다. 30명의 학생들이 실험군으로 상자텃밭 활동 수업을 받았고 28명의 3학년 학생들이 대조군으로 참여하였다. 상자텃밭 활용 유무에 따른 집단 내 과학 흥미도는 상자텃밭 활동을 한 실험군에서 과학 흥미도 총점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하위영역인 ‘과학에 대한 흥미’도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상자텃밭 활동을 수행 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과학흥미도 총점과 ‘과학 활동에 대한 흥미’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사회성에서는 실험군의 총점과 ‘근면성’, ‘책임감’, ‘준법성’이 사전에 비해 사후에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대조군에서는 ‘준법성’이 오히려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도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활동 전에 비해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