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consumer experiences and word-of-mouth (WOM) intentions in luxury brand pop-up stores, including standalone and department store setups. Grounded in experience economy theory, this study examines the experiential elements based on the types of pop-up store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consumer experience, pop-up store image, and WOM intentions for each type. Data were collected from 300 visitors to luxury brand pop-up stores between January and July 2023 and analyzed using Smart PLS 4.0. The findings reveal several key insights. First, standalone pop-up stores offer educational and escapist experiences, while pop-ups within department stores have a single identified factor of consumer experience. Second, regardless of the store type, luxury pop-up store experiences significantly influence pop-up image perceptions. Third, luxury pop-up store image drives WOM intentions for both standalone and department store pop-ups. Notably, the unique image significantly impacts solely department store pop-ups and does not influence standalone pop-ups. Moreover, image perceptions in both pop-up store types do not significantly affect brand WOM intentions. Finally, WOM intentions for pop-up stores significantly influence WOM intentions for brand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consumer experiences in luxury pop-up stores, providing practical insights for stakeholders in the luxury brand industry to enhance pop-up store image perceptions and WOM intentions.
        6,600원
        3.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im Eun-hye. 2016. “The new feature of prefinal ending ‘-si-’: Inanimate object honorific marker-Focusing on speech comparison of department stores and local market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4(1). 91~11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new function of Korean honorific prefinal ending ‘-si-’ by field survey as well as to emphasize the need to be discussed this circumstance in Korean education. The object of this study ‘-si-’ is the most representative Korean subject honorific marker. It had been only used to person, but is now also used for inanimate object. Especially, it could be found in luxury service industries such as hotel, department store, and restaurant. Therefore, this language variation can be connected with social class. In order to research the new feature of ‘-si-’, Labov(1966)’s methodology which is modified for this study was applied. Then, dialogues between employees and customers from the department store and local market were collected. In addition, this study surveyed to find out Korean native speakers’ awareness about new feature of ‘-si-’. Thus,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by finding the new features of ‘-si-’ through field surveys and questionnaires as well as making realistic mention about ‘-si-’ in Korean linguistics.
        6,000원
        4.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st Japanese Researchers and Business Practitioners recognize that Japanese department stores are in a period of decline. In spite of this decline, department stores in Japan still represent a six trillion yen market. Although department stores comprise a significant sector of the Japanese economy, there remain few studies dedicated to research on department stores. In contrast to the extant research, the current study relates to consumer behavior as it relates to the decline in department store sales. This focus is poorly represented in the literature. Specifically, the current study addresses two key problems. First, there exists a lack of discussion related to the category under which department stores can be classified. Second (and as alluded to above), there is a lack of unified research on department stores in the fields of commercial science, business administration, and marketing. To redress these shortcomings, the current study seeks to elucidate the factor of internal and external competitive superiority about the business category of Japanese department store. First, however, it is necessary to verify whether consumers recognize differences between department stores and other retail categories. Further, it is necessary to explain the nature of that difference. Using a sample of 246 Japanese respondents with internet research, I explore the degree to which consumers recognize department stores and Shopping Centers. Respondents were generated using service provided by Macromill.inc.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internet users from randomly selected in Hyogo, Osaka, and Kyoto prefectures, in which the competition between department stores and Shopping Centers is keenest. And, this study adhere fundamentally to the scales of store images developed by Sakai (2012). The scales consisted of 28 items were measured on 7-point Likert-type opinion statements ranging from strongly agree (7) to strongly degree (1). I then performed t-test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participants’ responses. Results of this analysis serv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participants’ recognition of department stores and Shopping Centers. Result of t-test analysis demonstrated that 18 of 24 item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m.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further demonstrated that department stores are characterized by Reliability of goods and services and Popular. Shopping Centers are also characterized by Reliability of goods and services and Popular, but are also perceived to have Convenient locations or institutions.
        8.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조사는 계란 유통실태 및 위생상태를 파악하여 품질향상과 위생관리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2001년 3-4월에 인천광역시 5개 백화점 식품매장에서 총 57종의 계란을 구입하여 조사하였다. 계란의포장은 10개 이하의 소량 단위포장 비율이 높았고, 전 품목을 실온에서 보관하였다. 유통기한은 40종(70.2%)이 28일 이상으로 표기하였다. 유통되는 특수란은 31종(54.4%)이었다. 유통기한과 산란일자는 모든 품목에서 표시되었으며 주로 상표나 난좌에 표기되었다. 내용량에 대한 표시는 38종(66.6%)만이 실시하였다. 난각에 분변이나 털이 있는 경우 27건(9.5%), 난각이 기형이거나 깨진 경우 11건(3.9%), 난 내용물에 혈반이나 육반등의 이물이 있는 경우는 42건(14.7%), 상한 계란은 5건(1.8%)이 유통되었다. Haugh Unit(HU) 검사결과 평균은 56.1이었으며, HU 31 미만의 품질저하 계란은 18개(6.3%)이었고, 총 57종 중 12종(21.1%)에서 1개 이상의 품질저하 계란이 조사되었다. 난각의 일반세균 오염수준은 <10∼8.2×10^3 cfu/ml으로 고르게 분포하였고, 대장균은 8건(4.7%)이 검출되었다. 총 285개의 계란(난황)에서 Salmonella enteritidis는 검출되지 않았고, 계란에 잔류하는 항생물질은 1종에서 테트라사이클린 계열이 검출되었다. 그 동안 위생관리의 사각지대에 있었던 계란에 대한 품질관리와 유통개선을 위한 법적, 제도적 근거가 마련되면, 계란의 표시 및 품질기준 등 사양관리에서부터 유통단계에 이르는 전반적인 안전성 관리방안이 검토되고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4,000원
        10.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create win-win market strategies for department stores, vendors, and customers by studying the operation of the Teukyakmeip system—the distinctive trade system of Korean department stores—and preceding cas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simultaneously examined various materials, analyzed preceding research,and interviewed department store managers (the parties to the Teukyakmeip transaction). Results – We examined whether the Teukyakmeip transactions are really beneficial to department stores, but unfavorable to vendors. Significant results emerge including figures and tables. Conclusions – Department stores will implement and develop the system to advance the win-win partnership by minimizing errors and drawbacks from the system.
        11.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백화점 옥상정원의 실태와 시각적 선호도를 규명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백화점 중 옥상정원이 조성된 경관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내용은 백화점 옥상정원의 실태를 조사하고 일반인과 학생,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대상별 선호도와 선호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산술평균, t-test, 분산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수행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서울 및 경기소재 백화점 옥상정원의 실태조사 결과 대상지의 진입공간은 옥상정원이 시작되는 공간으로 출입문에서 정원을 바로 조망할 수 있도록 조성되었으며, 시설물이나 식재가 제한적이었다. 또한 백화점 내부와 연결되는 공간의 특성상 바닥 마감은 화강석과 데크가 많이 사용되었다. 중심공간은 옥상정원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이용자의 활동도 많은 공간으로 주로 수경시설 및 휴게시설, 공간 장식요소 등이 도입되는 경우가 많았다. 수목의 식재는 플랜터를 활용한 주제목 위주의 단순한 형태로 조성되는 경우가 많았고 하부식생은 잔디를 도입하여 시각적 개방감을 주고 있었다. 경계공간은 건물의 시설물을 차폐하고 주변 경관의 시각적 저해요소를 차단하기 위해 주로 수직적 형태의 수목이 많이 식재되었다. 시설물로는 휀스의 설치가 두드러졌다. 백화점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조성되는 옥상의 이벤트공간은 공연과 전시, 음악, 패션쇼 등을 진행하기 위한 무대와 공간 장식요소를 배경으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포토 존으로 구분된다. 무대로 조성된 경우는 목재 데크가 주로 사용되었고 무대의 배경을 위한 휀스가 설치되어 있었다. 선호도 분석 결과, 다양한 시설물의 도입과 아름다운 경관을 형성하고 시각적 개방감이 우수한 신세계백화점 죽전점(case 10)이 7.78점으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건물의 시설물이 많이 노출되어 있고 협소한 공간으로 인한 다양한 활동 공간의 부재를 나타내는 삼성플라자(case9)가 5.39점으로 가장 낮은 선호도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공간 장식요소 유·무에 따른 선호도 분석결과 공간 장식요소가 설치된 옥상정원의 경우 6.41점의 선호도 값을 나타냈으며 공간 장식요소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선호도는 6.05점으로 공간 장식요소가 설치된 경우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식재 위주로 조성된 공간에 조형미가 가미된 공간 장식요소가 볼거리의 역할을 하고 시각적 흥미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보였다. 조성 면적에 따른 선호도 분석은 너무 좁은 면적에 옥상정원이 조성된 경우 면적의 제약으로 설치할 수 있는 시설물이나 공간 분할의 어려움이 있고 식재의 경우도 제한적이므로 시각적으로 개방감이 떨어지고 설치된 시설물이 조화롭지 못하게 보인 것으로 보였다. 반대로 넓은 면적에 조성된 경우 공간의 아늑함이 떨어지고 시각적으로 편안함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보였다. 옥상정원의 선호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선호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충분한 편의시설, 아름다운 경관, 시각적 개방감, 풍부한 녹음, 세련된 분위기, 아늑한 공간감, 다양한 활동 공간을 독립변수로 하여 스텝와이즈(stepwise)방식의 다중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문가 집단과 일반인 집단 모두 아름다운 경관이 가장 영향력이 높은 인자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가 집단에서 두 번째로 높게 평가된 아늑한 공간감과 가장 영향력이 낮은 요인으로 나타난 충분한 편의시설은 일반인 집단에서는 영향력이 서로 상반되게 나타나 전문가 집단과 일반인 집단의 견해차이가 있었다. 이 결과를 근거로 하면 옥상정원 조성 시 이용자인 일반인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편의시설이 충분한 아름다운 정원을 계획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백화점 옥상정원은 도심에서 자연을 감상할 수 있는 공간으로, 심미적으로 아름다운 공간이 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와 더불어 백화점을 이용하는 고객들이 이용하는 공간이자 쇼핑중의 휴식을 제공하기 위한 장소이므로 이용자들의 휴식을 위한 벤치나 카페테리아 등 충분한 편의시설이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보였다. 본 연구는 백화점 옥상정원의 바람직한 조성방향을 제시하고자 백화점 옥상정원의 시각적 영향을 조사·분석한 연구로 조사시점의 서울 및 경기지역의 백화점 옥상정원의 전수를 실태 조사하고 선호도를 분석한 내용이므로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일반적인 모든 백화점 옥상정원에 적용하기에는 한계를 지니고 다고 할 수 있다. 향후 백화점 옥상정원의 바람직한 조성방향의 제시를 위해서는 시각적 영향과 더불어 실제로 그 공간을 이용하는데 따르는 실태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도 필요하리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