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코칭역량이 유아의 사회정서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의 긍정심리 자본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G광역시와 J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다니고 있는 만3-5세 유아의 부모 30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도구는 이은정(2015)이 개발한 유아의 사회 정서 능력, 도미향과 김근주, 이경주(2019)가 개발한 부모코칭역량, Luthans, Avolio와 Norman(2006)이 개발한 척도를 임태홍(2013)이 한국판으로 번역, 수 정·보완한 긍정심리 자본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코칭역량과 긍정심리 자본 및 유아의 사 회정서 능력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들 변인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변인이 유아의 사회정서 능 력에 미치는 영향력에서는 부모의 부모코칭역량이 긍정심리 자본에 유의한 정 적(+) 영향을, 부모의 긍정심리 자본 또한 유아의 사회정서 능력에 유의한 정적 (+) 영향을, 부모코칭역량이 유아의 사회정서 능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코칭역량과 유아의 사회정서 능력과의 경로에 서 부모의 긍정심리 자본이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apital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mood. The results of a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apital is higher in job satisfaction than in OCB.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is recognized in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particular, job satisfaction shows a higher moderating effect than OCB does. Third, no direct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on OCB is recognized while an indirect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on OCB through positive mood is recognized. Thus, it is judg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effectively utilized as a means of motivation for growing individuals and achieving organizations’goals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psychology and systematically managing psychological phenomena according to individual differences.
이 연구는 텃밭활동을 통해 중학생이 학교폭력에 노출되지 않는 건강한 학교생활을 지원하기 위하여 사회적 자본을 고려한 정서수준과 텃밭활동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텃밭활동 여건과 학교폭력 관련 정도에 따라 대구, 수원, 서울 등 3개 지역 4개 학교(일반학교 2, 학업중단 및 학교폭력 관련 특수학교 2)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192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학생과 가정의 사회적 자본과 지역사회 자본이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사회적 자본을 고려한 정서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14개 항목으로 구성된 조사도구를 개발하여 활용하였고 조사도구의 신뢰도는 .86으로 신뢰할 만하였다. 또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지역사회 변인, 텃밭 관련 변인, 그리고 개인과 가정의 배경변인으로 구분하였다. 지역과 학교에 따라서는 대구의 특수학교 학생이 수원, 서울지역 일반학교 학생보다 상대적으로 정서수준이 낮았고 학생에 게 관심을 보여주는 이웃여부에 따라서도 영향이 있었다. 현재 학교에서 시행하는 텃밭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집단은 현재생활에 만족하고 지역사회 자원도 더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텃밭활동의 접근성, 텃밭활동에 참여하게 된 계기, 텃밭활동에 기대하는 내용(기대변화)도 정서적 수준에 영향을 미쳤다.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학교폭력을 경험한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정서 수준이 낮았다. 외롭고 힘든 일에 대한 대처방법, 현재의 고민, 부모(보호자)의 직업, 학교방문이나 자원봉사활동 참여 등이 정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성별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사회적 자본 관련 변인이 정서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텃밭관련 변인들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학교와 가정과 상호 협력하여 지원할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에도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앞으로 중학생의 여건과 행동반경을 고려하여 지원할 수 있는 텃밭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급변하는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조직에서 새롭게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는 감성리더십이 부하의 긍정심리자본과 변화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감성리더십이 부하의 변화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에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A광역시의 플랜트업체와 자동차부품업체의 193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감성리더십이 긍정심리자본의 구성요인인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