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e history of Chinese academics, Xu Shen’s Shuowen Jiezi (hereinafter referred to as Shuowen) is known as “the first of its kind in the world” because it has the dual characteristics of explaining the form, sound, and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oretical works on philology, both of which are practical. It has not only become a treasure of codex for the compilation of character books and exegesis, but also laid down the basic patterns of traditional philology and biblio-linguistics, with far-reaching influence. Many scholars have researched Shuowen in the past dynasties,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an independent thematic discipline called Shuowen, also known as Xuxue (許學). According to Ding Fubao (丁福保), Shuowen jiezi Gulin (hereinafter referred to as Gulin) attached to the Yingyong Zhushu Xingshi Lu (引用諸書姓氏錄) statistics, there were as many as 203 people in the Qing Dynasty who studied and wrote Shuowen. In fact, there are many scholars and their achievements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statistics. After Gulin, especially in the last 30 years, a lot of new materials of scholars in the Qing Dynasty who studied the Shuowen have been excavated and published. Most of these new materials are dispersed in their original state in different large series, so they are rarely researched and utilized, and their documentary and scholarly value is in urgent need of formal recognition. Based on the preliminary results of the major project of the National Social Science Foundation (21&ZD299) chaired by Li Yunfu (李運富), this article discusses the excavation, collation, and research of new materials on Shuowen in the Qing Dynasty.
본 연구는 도로터널, 철도터널, 지하철, 전력구 등 각종 터널 시공을 위한 TBM(Tunnel Boring Machine) 기술의 시공성 향상을 위한 연속굴착형 TBM 장비와 나선형 세그먼트 통합 시공기술 개발 및 실증과 관련된 것으로 핵심모듈인 추진잭, 세그먼트 이렉터의 선제적인 유지관리를 통해 다운타임 을 최소화하고 굴진율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연속굴착형 TBM 핵심모듈의 유지관리 및 장애대 응 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굴착환경과 연속굴착 운영특성을 고려한 시공 및 장비 운용 절 차를 정의하였다.
용천요는 중국 요업사 상 가장 중요한 요장 중 하나로 근 천년에 걸쳐 생산된 중국 고대 청자의 최전성기 전형으로 꼽힌다. 그 문화가 풍부하고 생산 규모가 커 남북요업의 문화교류와 융합의 본보기이자 중국 청자 공예발전의 역사의 집성이다. 용천요는 국내에서 널리 사용이 이루어졌는데, 궁정귀족에게 사랑을 받은 것은 물론 서민에게도 널리 쓰였다. 이 뿐만 아니라 수출용으로 대량 소비되어 세계 문명에 매우 큰 영향을 끼쳤다. 근 백 년 동안 용천요의 고고학적 조사와 발굴, 특히 신세기 들어 수많은 고고학적 작업이 진행되면서 충분한 데 이터가 축적되어 용천요의 발생․발전․쇠락의 전 과정을 알 수 있다.
조선 명종 10년(1555년)에 축성된 월송포 진성은 1970년대까지도 성벽이 비교적 잘 남아있었다고 전해지지만, 1970년대 이후 주변에 현대식 건물이 들어서면서 성벽은 대부분 허물어지고 흔적만 일부 남아있는 상태였다. 월송포 진성의 남쪽 일부가 울진군에서 추진하는 망양-직산간 도로 확장공사 부지에 포함됨으로 인하여 추진된 이번 발굴조사에서는 성벽과 문지, 우물 등이 잘 남아있음이 확인되었다. 진성은 해안에 접한 해안평탄면에 형성된 사구의 남쪽 말단부에 구축되어 있으며, 성의 남쪽으로 수로가 연결되어있어 천연의 해자를 이루는 형태이다. 이는 인접한 울진포영 및 남해안 일대에 위치하는 영ㆍ진ㆍ보성의 입지와도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성벽은 후대 교란으로 인하여 동쪽 일부가 유실되었으나 지적도상의 지번경계와 거의 일치한다. 지적도를 참고하여 성의 규모를 추정해 보면 둘레 328.8m 정도이다. 성벽의 둘레와 문헌기록을 통하여 확인되는 성벽의 높이는 3.1~4.7m 정도로 추정되며,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성벽의 폭은 6m 내외이다. 성벽의 안쪽 에는 성벽과 동시에 축조된 우물이 잘 남아있었으며, 문지 안쪽으로 다량의 기와가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조선후기 풍경화에서 보이는 문루에서 흘러내린 것으로 판단된다. 월송포 진성은 인접한 대풍헌의 현판과 『조선왕조실록』등을 통하여 삼척영과 함께 3년에 한 번씩 번갈아가며 울릉도 ․ 독도 수토를 담당하였던 곳임을 확인하였다. 울릉도 수토는 1693년 안용복의 일본 도해 사건을 계기로 1694년 처음 시작되어 1895년까지 계속되었다. 수토사의 출발지는 삼척영장과 월송만호가 번갈아 수토관으로 파견되는 관계로 초기에는 삼척부의 장오리진, 울진현의 죽변진, 평해 군의 구산포 등 수토관의 위치와 인접한 지역이었으나, 후기로 오면서 구산포로 고정되었다. 이는 동해의 항로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면서 울릉도과 가장 가깝고, 항해에 해류와 해풍을 이용할 수 있는 곳이 구산포임을 파악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The 18th Winter Universiade will be held in Muju in 1997. It is a good opportunity to inform the local foods of Muju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Korea. First of all, we carefully investigated the quantity of all kinds of food material, their circulation ability, and cookery per year in Muju. We found about sixty kinds of food as many as restaurant. We presented how to improve such kinds of food as O-Chunk (fish porridge), Minmulmaeuntang, Kochunaengi chungsik, etc. and how to use the special products of Muju such as yam, kochunaengi, wasabi and wild herb. The many kinds of cookery were specialized to cooks through manual and actual skills. And then we held a food contest that twenty-two cooks took part in the contest and there were exhibitted forty-two kinds of foods. Finally, through discussion and food contest, Muju Sanchae Bibimbap (meal which mixed rice with wild plants), Muju Sanchae chungsik (meal which has various wild plants with rice), Muju Kochunaengi Chungsik (meal which has various wild plants and wasabi with rice), Ma Naengmyun (cold yam noodle) and Muju Minmulmaeuntang (hot fish porridge) were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