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쓴메밀 74개 유전자원의 종자 표현형 및 화학 형과 관련된 8개 주요형질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주성분분석 및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rutin 고함유 자원 등 기능성 쓴메밀 육성재료로 활용가능한 유망 유전자원을 선발하였다. 쓴메밀 유전자원의 종자크기는 일반메밀보다 작은 평균 5.2 × 3.4 ㎜였으며, 종피색은 흑갈색이 45.9%로 가장 많았다. 종자모양은 달갈형과 타원형이 주를 이루었다. 쓴메밀 종자의 유용성분 평균 함량은 rutin이 1,393 ㎎/100 g DW였다. Flavonoid 함량 범위는 253-2,669 ㎎/100 g이었으며, polyphenol 함량 범위는 209-1,823 ㎎/100 g 으로 나타냈다. 쓴메밀 유전자원의 주성분 분석 결과, 제3주성분까지 적용하였을 때 전체 분산의 68.55%를 설명할 수 있었다. 제1주성분에는 rutin, flavonoid 및 polyphenol, 제2주성분에서는 종자길이, 제3주성분에서는 종자폭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5개의 군집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유전자원을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형질로는 rutin, flavonoid 및 polyphenol이었다. 쓴메밀 유전 자원 중 5개 자원(HLB1004, HLB1005, HLB1007, HLB1009, HLB1013)이 높은 rutin 함량을 보였으며, 이러한 유용자원들은 향후 기능성 육종소재 개발에 효과적으로 활용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충청북도농업기술원 대추연구소에서 보유 중인 대추 유전자원 중 형태적 다형성을 나타내는 ‘일본’과 주요 대추 유전자원의 형태형질을 조사하고, 대추 육종 소재로서 ‘일본’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일본’은 주요 대추 유전 자원과 비교하여 엽과 과실의 크기가 뚜렷하게 작고 당도가 낮았다. 하지만 과실에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항산화 능력 또한 가장 높았다. 또한 ‘일본’은 종자형성능이 가장 높았다. 대추 유전자원들의 형태형질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지리적 기원에 따라 유전자원들이 분류되었다. 특히 ‘일본’은 한국 및 중국 유전자원들과 명확히 구분되었다. 따라서 종자형성능이 우수하고 기능성 성분이 높은 ‘일본’은 추후 대추 유전연구 및 교배육종을 통한 품종 육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 functional components analysis and investigate the physical properties of powders made from the stems or fruit of freeze-dried Cheonnyuncho cactus (Opuntia humifusa). The functional components analysis showed that the stem and fruit powders han vitamin C levels of 42.14 mg and 105.21 mg, respectively. The stems powder contained more lutein than the fruit powder. The fruit powder contained more vitamin C than the stem powder. The SDF (soluble dietary fiber) and IDF (insoluble dietary fiber) in the stem powder were 45.24% and 22.15%,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then the values for the fruit powder. The stem and fruit powders contained 19.30 mg/g and 25.10 mg/g of crude saponin, respectively. The pH of the stem and fruit powders was 5.34 and 5.07, respectively, both indicating low acidity. The L, a and b values of the stem powder color were 78.28, –3.71, and 19.19, respectively. The L, a and b values of the fruit powder color were 55.56, 24.84, and –3.18, respectively. The stems powder had a higher bulk density, water holding capacity, and swelling power than those of the fruit powder, but water-retaining capacity of the stem powder was lower than that of the fruit powder. In addition, the stems powder had a higher viscous material content and water uptake compared to the fruit powder.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determined that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powder had potentially useful functional components and physical proper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