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3.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갈색날개매미충은 현재 급속도로 확산하고 있으며 그 피해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이러한 갈색날개매미충의 현재와 미래 분포를 CLIMAX와 MaxEnt를 사용하여 예측하였다. 또한 두 개의 프로그램에서 변수 선정은 사용된 환경인자와 갈색날개매미충 발생과의 공간적 상호 관계를 SADIE로 분석하여 사용함으로써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소만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CLIMAX의 경우 중국 저장성의 기후 요소와 한국 전역의 기후 요소를 Climate Matching을 사용하였고, MaxEnt의 경우 상관관계 분석과 공간자료 분석에 의해 선정된 11개 환경 요소를 이용하여 갈색날개매미충의 현재 및 미래 분포를 예측하였다. 연구결과 한국 전역은 갈색날개매미충 발생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의 서쪽 지역이 동쪽 지역보다는 상대적으로 발생 적합성이 높았으며 동쪽으로 점차 이동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는 갈색날개매미충의 방제 전략을 구축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보다 유의미한 종분포 모델 개발을 위해 공간자료 분석의 사용법을 제시하였다.
        4.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riental fruit flies, Bactrocera doralis (Hendel) (Diptera: Tephritidae), a tropical pest, have recently been expanded to temperate region neighboring with Korea, with increasing international trade and global climate change. The biological data of several B. dorsalis complex was collected, and the establishment potential in Korea was examined using ecoclimatic index and population model results obtained from CLIMEX and Popmodel, respectively. In the CLIMEX, B. dorsalis could be established in the small part of Jeju Island in the 2010s, and the range gradually spread until the 2090s, and many parts of the lowland of Jeju Island were assigned in the marginal to optimal range. Using the population model and the temporal distribution of the host fruits, it was found that B. dorsalis can use a variety of host plants without time lag, allowing them to increase its population and to damage citrus, the main crop of Jeju.
        5.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오리엔탈과실파리는 동남아시아에서 유래한 주요 검역해충으로써 북쪽으로 중국 본토, 인도의 고위도 지역 및 중국남부의 고지대까지 그 범위가 확산되고 있다. 우리는 오리엔탈과실파리의 알려진 분포와 계절적 발생동향, 확산경로로부터 오리엔탈과실파리가 월동가능한 상한선을 결정하였다. 이 상한선으로부터 CLIMEX의 종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RCP8.5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따르는 국내 미래 기후도를 이용하여 오리엔탈과실파리에 대한 향후 우리나라 의 기후적합성을 검정하였다. 국내에서의 기후적합성의 검토는 이 해충의 잠재적인 정착능력과 영향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7.
        2017.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orld is now shifting from the industrial and information society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its structure, and new products and services appear in various sector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hanges the entire daily lives in more convenient, safer, and more effective forms. There will be many changes in food industries with combination between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ies such as IoT, big data, AI and new technologies such as 3D printing, robotics, and nano-technology, developing more intelligent ones. Intelligent IoT is one of four main basic industries for sustainable growth with future driving force in Korea. Since 2010, food smart distribution researches combining food technologies and ICT have been conducted in Korea, and core original technologies including quality management sensor, intelligent food distribution environment control system, smart warehouse, real-time quality monitoring, etc. Food smart distribution technology is a system converging ICT including sensor tag, sensor network, and LBS and food technologies for safe management of history, quality, and distribution, and it will be applied to food distribution industries, developing the domestic food distribution industries to the world-class level. Recently, IoT has been increasingly introduced into food industries, and development of new convergence technologies and adjustment to technological changes are required,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trategies for how to introduce food system based on Io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frequency of keywords o technological trends by applying text-mining technologies into tremendous amount of unstructured data created by newly convergence technologies between food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are eight main keywords including IoT, smart sensor, artificial intelligence(AI), multi-tasking, automatic cognition/discernment, quality management, simplification of distribution, an customer-friendly. It is necessary to make national strategies for R&D. In case of Korea, ICT is the world class, and if it is applied to food industries, it will be available to develop new world-class business models.
        4,900원
        8.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 농도 추세를 반영한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8.5/4.5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태풍발생 분포를 추정하고 비교분석 하였다. 태풍 발생 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RCP 8.5/4.5월 자료를 사용하여 1982~2100(2006~2010년 제외)년 기간 동안의 태풍발생지수(GPI; Genesis Potential Index)를 계산하였다. 1982~2005년 기간 동안 발생한 태풍의 발생위치에 해당하는 GPI 값과 같은 기간 동안 나타난 전체 GPI 값들을 위도별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이로부터 위도별로 태풍이 발생하는 GPI의 범위가 존재함을 도출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위도별 전체 GPI 대비 이력태풍발생위치에 해당하는 GPI의 확률분포를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1982~2005년, 2011~2040년, 2041~2070년, 2071~2100년의 태풍발생 확률 분포를 추정 하였다. 분석 결과, RCP 8.5/4.5 시나리오 적용 모두 미래에 태풍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 점차 서진하여, 필리핀의 근역인 10oN~20oN 영역으로 나타났으며, RCP 4.5 시나리오 경우 더욱 뚜렷한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선행연구 진로모형과 함께 미래 태풍의 영향을 추정한 결과, 미래 태풍의 진입은 대부분 SB(South Boundary)에 해당되지만, EB(East Boundary) 진입방향 증가 경향으로 인해 한반도 보다는 일본의 영역에 태풍의 영향이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한반도에서는 영남지방이 다른 지역에 비해 영향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10.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ccurrence of heat waves estimated on historical runs of climate change was compared to that on reanalysis data from 1981 to 2005. Heat waves in the future then were predicted on the basis of climate change scenarios from 2006 to 2100. For the past period, the heat wave days predicted from the climate change scenarios data overestimated and than those by the reanalysis data. For the future period, the heat wave days increased until the mid-21st century and then stay stagnant by the RCP 2.6 scenario. However, the yearly heat wave days steadily increased until 2100 by the RCP 8.5 scenario. The synoptic cause of the most severe year of the heat wave days was analyzed as a strong high pressure develope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e high pressure under the RCP 2.6 scenario was caused by the high level jet stream in the border area between China and Russia, whereas the high pressure under the RCP 8.5 scenario was caused by the strong high level jet stream and pressure ridge in the East S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