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 딸기의 주요 해충인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는 짧은 생활 주기와 살비제에 대한 지속적인 노출로 인해 약제에 대한 저항 성이 빠르게 발달된다. 이에 따라 점박이응애의 지속적인 방제를 위해 트랩식물과 같은 새로운 해충 방제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0종의 콩과식물에 대한 점박이응애의 기주 적합성 및 선호도를 실내검정하여 트랩식물을 선발하였다. 기주 적합성 실험 결과, 병아리콩을 제외한 팥, 서리 태, 서목태, 누에콩, 강낭콩, 녹두, 완두콩, 땅콩, 작두콩에서 대조구(아크릴판)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박이응애의 유인 및 산란이 확인되었다. 기주식 물 9종에 대한 선호도 조사에서는 강낭콩, 서리태, 팥 순으로 점박이응애의 유인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선발된 강낭콩, 서리태, 팥에 대한 점박이응애의 선호도가 암조건에서도 확인되었으며, 특히 강낭콩은 딸기보다 점박이응애의 유인력 및 산란이 3배 높게 나타났다. 최종 선발된 강낭 콩에서, 점박이응애는 초장 150 mm 강낭콩 모종보다 300 mm 강낭콩 모종을 더욱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강낭콩 모종이 점박이 응애의 트랩식물로써 활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One of cosmopolitan pest, Agrotis ipsilon, causes serious economic damages in horticultural crops. This study compared the host fitness of A. ipsilon among nine major horticultural crops in Korea. Among the nine crops, the population of A. ipsilon failed to complete its development in spinach, cucumber, melon, and kidney bean. The host effects on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A. ipsilon were further investigated in the remained five crops. Host plants significantly (P < 0.05) affected the development-related factors of A. ipsilon eggs, larvae, and pupae. They also affected the adult reproduction-related factors including preoviposition period, oviposition period and number, and longevity except for the prepupa stage. A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 tween biological factors. Among the nine crops in this study, napa cabbage showed the highest suitability for the A. ipsilon populations. These findings in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ecology and develop the man agement tactics of A. ipsilon in horticultural crops.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열대거세미나방(Spodoptera frugiperda) 및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은 광식성 해충이지만, 종특이적인 기주범위를 갖는다. 이들이 기주식물을 찾아가는 과정에 냄새감각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기주 및 비기주 식물에서 발산되는 46가지 휘발성 물질을 선정하여, 이들에 대한 나방 3종의 냄새반응을 GC-EAD(gas chromatography-electroantennogram detection)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46가지의 식물유래화합물 중 9가지 물질이 3종의 나방 모두에서 냄새활성을 나타냈으며, 2가지 물질은 담배거세 미나방과 열대거세미나방에만 냄새활성을 나타냈고, 다른 몇 가지 물질은 담배거세미나방에만 냄새활성을 나 타냈다. 이 결과는 세 종 나방이 식물냄새물질 탐지를 위해 유사한 냄새감각세포를 가지며, 일부 종에서는 종특이 적인 냄새감각세포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냄새활성을 나타낸 물질들의 나방 3종에 대한 행동활성을 야외트랩실험을 통해 확인할 예정이다.
Since the importance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to minimize environmental damage and maximize pest control effectiveness has emerged, efforts to put it into practice have continued. To implement IPM,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economic injury level to determine the control method by identifying pests and weeds that damag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crops in the field, investigating the occurrence level, and calculating the ratio of cost and effectiveness. Also, damage to host plants caused by increased density of insect pests appears to change plant’s health that key factor for managing crops. Therefore,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nsity of pests and the damage to the host plants is necessar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density of insect pests and damage to the host plants for estimating the economic injury level of insect pests on the host plants and investigating the possibility of pest control decision-making using plant health status.
식물의 이차대사산물은 곤충-식물 상호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식식성 곤충은 식물의 방어물질에 대처하는 다양한 전략을 가지고 있 다. 광식성 곤충은 넓은 범위의 다양한 식물들을 섭식하고 그 해독 기작도 보다 복잡한데, 이는 많은 종류의 식물유래 화합물에 반응하는 경향이 있 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와는 달리 협식성 곤충은 몇몇 유사한 식물에 국한되어 살아가며 보다 효율적인 적응 방식을 지니고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협식성 곤충의 적응은 식물의 방어물질에 대한 해독효소를 다량 생산하거나 방어물질 또는 그 대사산물을 격리하는 전략을 마련하였기 때문 으로 보인다. 담배나방은 담배와 고추 등 주로 가지과의 몇몇 식물만을 가해하는 협식성 곤충이다. 담배나방의 기주식물 적응성을 이해한다면, 이 해충에 의한 작물의 피해를 줄이는 방법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담배나방과 같은 협식성 곤충의 생리, 생태, 진화를 연구하는 데에도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이다. 본 종설에서는 담배나방의 기주식물 범위, 유충과 기주식물의 상호작용, 그리고 기주식물에서 특이적으로 나 오는 니코틴과 캡사이신에 대한 곤충의 반응과 해독 메카니즘을 중심으로, 지난 반세기 동안의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앞으로의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광릉숲에서 우리나라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종인 장수하늘소(Callipogon relictus Semenov)의 새로운 기주식물로 졸참나무(Quercus serrata Thunb. ex Murray)를 처음 보고한다. 졸참나무 안에서 발견하였던 장수하늘소 유충의 형태학적 측정값과 재검토한 장수하늘소의 기주식물 목록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