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analyzed the hair microstructure of Korean small terrestrial mammals, such as Rodentia and Lagomorpha, to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hair morphology. Micromys minutus showed a unicellular irregular type of medulla structures; on the other hand, the other mammals showed multicellular structures. Regarding the cuticular scale structures, the Rodentia species exhibited a narrow and broad diamond petal type, while the Lagomorpha species exhibited an elongated petal type. Interestingly, the hair cross-sections showed quite unique characteristics. We constructed hair identification keys to distinguish species with a single hair. The dichotomous key of Rodentia and Lagomorpha can be used for their behavioral ecology and dietary analysis of upper predators to serve as the basis for ecological research.
        4,000원
        2.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미지역에서 저장곡물해충으로 잘 알려진 거저리과의 북미쌀거저리[Cynaeus angustus (LeConte)]가 국내 여러 정미소에 발생하고 있음을 새롭게 보고하며, 이 미기록종에 대한 성충과 유충 사진 및 진단형질과 저장산물을 검역하는 과정에서 검출되는 거저리과 해충 17종에 대하여 도해 검색자료를 제공하였다.
        4,000원
        3.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pecies identification, the process of finding the taxon to which a specimen belongs, is a difficult and frustrating task for most biologists but is absolutely fundamental to most biological research. However, proper species identification requires extensive knowledge on the particular taxon, thus can be problematic and confusing for non-professionals. To increase the accuracy of identification, computer-based interactive identification key has been widely used. In order to improve the identification process and promote effective utilization of Korean species, Korean Indigenous Interactive Key System (KIIS) was developed. Moreover, image-based online identification system was developed to broaden the range of users from non-experts to professionals. As the use of mobile device became significant in people’s lives, we further developed mobile web-based identification system.
        4.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많은 학자들이 편리한 동정을 위해 검색키를 사용해 왔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검색키로는 전통적인 검색키와 대화형 검색키가 있다. 전통적인 검색키는 기본적으로 트리구조로, 두 가지 형질 중에 양자택일을 하여 순차적으로 형질을 선택해 가는 방법이다. 기존에 주로 사용되어 왔지만, 양자택일의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형질선택에 있어서 제한을 받는 반면에, 대화형 검색키는 트리구조와 관계없이 어떠한 단계의 형질이든 바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대화형 검색키 구조를 응용하여, Pictorial Key를 추가한 이미지형 동정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미지형 동정시스템을 이용할 경우에, 복잡한 용어나 수식이 필요 없이, 이미지만을 이용한 직관적인 동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닌 비전문가나 일반인들도 사용할 수 있는 검색키 작성이 가능해진다. 이 방법을 통해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나비 200종에 대한 이미지형 동정시스템을 구축하여, 일반인들이 사용하기 편리한 동정시스템을 구축하였다.
        5.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논에 설치한 유아등에 채집되는 멸구류를 비전문가들도 쉽게 동정할 수 있도록 인터넷에서 운영할 수 있는 하이퍼텍스트 기반의 검색표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정확성 검정을 위해 곤충 동정 경험이 없는 1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 효용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흰등멸구의 동정 정확성은 56%에서 83%로 증가하였고, 애멸구의 동정 정확성은 47%에서 80%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벼 멸구의 동정 효율을 높이는데는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6.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시나무의 클론간 생장 특성(전체 건중량, 줄기 건중량, 잎의 전체 건중량)과 대사물질간의 관계를 구명하여 조기선발을 위한 생장 관련 주요 인자를 구명하고자 사시나무 삽목묘(유묘)를 대상으로 우량클론과 일반클론간의 생장특성을 조사하였고, 수체내의 대사물질을 분석하였다. 사시나무 유묘의 줄기 건중량과 잎 내의 glucose, sucrose, inositol 등 당 함량과 정의 상관관계(p<0.05)가 있었으며, 잎의 건중량과는 줄기 내의 glutamic acid, alanine, threonine등과 같은 아미노산류의 함량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사시나무 잎 내의 대사물질은 우량클론에서 glucose, sucrose, inositol 등과 같은 당류가 일반클론보다 고도의 유의 차이(p<0.01)가 있게 높게(1.3배 이상)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으며,rythronic acid, malic acid, pentanedioic acid 및 proline도높게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량클론의 줄기내의 대사물질은 glutamic acid, alanine, threonine등과 같은 아미노산류의 함량이 일반클론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1.2배 이상)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더불어 succinic acid, maleicacid의 함량도 고도의 유의차이(p<0.01)로 우량클론에서 높게 함유하고 있었다. 생장이 우수한 사시나무 클론은 유묘의잎에서는 당류가 줄기에서는 아미노산류가 높게 함유하여 이러한 복합적 인자가 사시나무 우량클론 선발을 위한 대사 표지자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7.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시나무의 생장 특성과 대사물질간의 관계를 구명하여 생장추정 관련 주요 인자를 구명하고자 사시나무 18년생을 대상으로 우량 클론과 일반 클론간의 생장특성 및 생장하고 있는 주간 내피조직의 대사물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사시나무 생장특성과 주간 내피조직의 전탄소 함량, 전질소 함량, δ15N값 및 sucrose 함량 간에 유의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재적 및 흉고직경과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p<0.01)가 있어 수체내의 질소함량이 높을수록 생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GC/MS를 이용하여 사시나무 클론 간의 대사체를 분석한 결과 78종의 대사물질 중 51종이 재적생장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주간 내피조직의 succinic acid, malic acid, citric acid, sucrose 및 phosphoric acid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재적 생장이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사시나무 생장 우량클론은 주간 내피조직의 수용성 sucrose 및 유리 아미노산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복합적 인자는 사시나무 우량클론 선발을 위한 대사 표지자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8.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enables decision makers to represent the interaction of multiple factors in complex and unstructured situations. The process requires the decision maker to develop a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factors in the given problem and to provide judgments about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of these factors and ultimately to specify a preference for each decision alternative with respect to each factor. The research presented in this paper applies the AHP to identify key players in promoting port competitiveness. The literature survey revealed four major criteria and 15 sub-criteria. The four factors are cost, service quality, facility/capacity and economic-social variable. 150 questionnaires suitable for AHP analysis were made and 77 were returned. It is found that in terms of cost, the first key player is terminal operator and the second key player is shipping companies calling Busan port; in terms of service quality, the first key player is terminal operator, and the second key player is shipping companies calling Busan port; in terms of facility/capacity, the first key player is port authority and the second key player is terminal operator; in terms of economic-social variable, the first key player is terminal operator, and the second key player is shipping companies calling Busan 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