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개신교 선교사가 처음 활동을 시작한 시기, 주로 1890년대에 이루어진 불교와 개신교의 만남을 다룬다. 1880년대 말 한국에 처음 들 어온 서양인과 선교사들은 자신들이 거주했던 서울 도성 내에서 사찰을 볼 수 없었기에, 한국은 종교 없는 나라라는 선입관을 한동안 유지했다. 1890년대 들어 활동 반경이 서울 근교로 확장하자, 선교사들은 도성 바 깥에 있는 살아있는 불교와 바로 만날 수 있었다. 선교사는 머릿속에 있 던 우상숭배 관념을 불교를 통해 재확인하고 싶어 했다. 그들이 보기에 한국의 불교는 퇴락한 전통이고 승려들은 능력도 의지도 없는 사람들로 비추어졌다. 불교와 개신교 선교사의 만남은 의외로 휴양의 맥락에서 이루어기도 했는데, 그들이 삼막사에 머문 기록이 상세히 남아 있다. 한 달 이상의 만남과 접촉은 친밀함의 형성, 상대방 의례에 대한 면밀한 관찰로 이어졌 다. 한편 한국 전통에 다른 태도를 보인 성공회 선교사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들은 사제직과 수행 공동체를 존중하는 교단에 속했기에, 불교에 서 자신과의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개신교 선교사는 불교에 관한 부정적 관념이나 선입관에서 만남을 시 작하였다. 그러나 같은 공간 내에서 몸과 몸이 만나는 현실 속의 만남은 상호 이해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또 이 만남의 기록은 조선 말기 한국 불교의 어려운 현실을 증언해 주는 생생한 자료를 제공한다.
        8,600원
        3.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s ideologies of English that came into play when two different schools, Yugyŏng kongwŏn and Paichai School, were established in Korea in the late 19th century, a period in which a modern kind of English education was initially demanded and formed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 Drawing upon language ideology from linguistic anthropology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is study analyzes primary and secondary sources of relevant historical documents. This paper argues that the discursive condition that led to the necessity of English education in late 19th Korea was concerned with Munmyong kaehwa, a discourse that the cultural elite called the Kaehwa party introduced and supported to create a modern type of nationalism in Korea. Perceiving English as a language for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this elite group contributed to building the two schools. On the other hand, common Koreans tried to enter these schools simply to learn English, believing that English would serve their individual success. This narrative shows that although the two ideologies of English, that is English for civilization and English for success, were coexisting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social discourse of Munmyong Kaehwa was not fully indexed with the ideologies of English.
        5,500원
        6.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18^{th}$ century's Industrial Revolution brought about influx of commerce, industry, and agricultural population into the urban areas, entering the $19^{th}$ century. Quality of rural communities declined, and the exploding population in the cities gave rise to various problems. 'Mietskaserne' Blockhousing was constructed by the 'Hobrechtplan', but led to social problems such as poor living conditions, insufficient sunshine due to overcrowding, slums due to incomplete urban infrastructure, epidemics, and so on. Starting in the early $20^{th}$ century, Berlin has driven forward a remodeling plan under the motto of 'critical reconstruction (kritische Rekonstruktion)'. It is performed in the place, which represents the vicissitudinous history of Berlin with site plans coexisting past with presence, using modern vocabulary of architectural forms. Reconstructing a city is a process which not only raises the economic value of each building consisting a city, but also a redevelopment process that brings out cultural value of an era. When a new era emerges buildings get reconstructed or rebuilt, and thereby form the identity of a city by reflecting its society, culture, politics, economy, and history. Old German architecture were not destroyed or rebuilt recklessly just by the fact that they are functionally or aesthetically outdated. Each building is treated as precious cultural heritage reflecting the history. This is how Berlin is being transformed today.
        4,200원
        8.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struction of Kyungsang KAMYOUNG in the late Chosun dynasty by restoring its constructive system and relating it with the office organization.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is study. 1. Government office of Daegu consists of inn(KAEGSA), Kyungsang KAMYOUNG, and Daegu city hall(BUA), and JINYOUNG. 2. The layout of virtual placement is shown in the <Figure-11> in the text. Even though it had been newly constructed due to three times of fire, the fundamental scheme of space is found out not to have been changed since mid-eighteen century at the latest. 3.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analyzing the space of KAMYOUNG, after dividing its space into entry area, main business area and police military business area in the aspect of business. First, entry area consists of 2 door system with external door(UOISAMMUN) and internal door(NAESAMMUN). Second, main business area consists of facilities for inspector, public officials, and low grade employee respectively This space is divided into SUNHWADANG area and JINGCHONGKAK area, and the former consists of active business facilities, and the latter consists of passive business facilities focusing on the rest facilities. Third, business support area consists of facilities for low grade employee and minor assistant respectively, which are placed to the left and right of POJONGMUN and KWANPUNGRU. Fourth, police military business space is in middle(JUNGYOUNG) and forms separate areas to the east of SUNHWADANG. Accordingly, It is certain that the space of Kyungsang KAMYOUNG had been placed in accordance with the nature of business per position.
        4,900원
        9.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 개신교의 초기 출판은 동아시아에서 기독교 선교 역사가 가장 깊은 중국의 출판물들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하지만, 1910년 한일강제병합 이후 일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영역 뿐 아니라, 기독교를 포함한 종교계도 일본 출판계의 영향을 크게 받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중국 기독교 출판계의 영향력은 한반도에서 서서히 약화되어 갔으며, 「구미 → 중국 → 일본 → 한국」이라는 근대 기독교 출판계의 영향 구조가 「구미 + 일본 → 한국」이라는 도식으로 변화해 갔음을 확인하게 된다. 하지만 해방 이후에는 「구미 → 한국」이라는 구조로 재편 되면서, 나름의 주체적 기독교 출판의 역량 확보를 도모해가게 된다. 일제하 한국 기독교 출판은 그러한 한계들과 미숙함 속에서도 해방 이후 한국교회의 창출신학이 움트는 모판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감당했으며, 해방 이후 현대 한국교회의 역동적인 신학담론과 저술들이 출판될 수 있는 기틀을 다지는 하나의 과정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10.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역사적 정보에 근거한 분석을 통해 19세기 당시 사변적 음악이론이 작곡실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논의된다. 이를 위해 브람스와 실제 교류가 있었던 하우프트만, 리만 등의 음악학자들의 이론과 사상이 소개되고 이와 관련된 브람스의 작품의 예들을 살펴본다. 이 연구 과정을 통하여 이론적 사상이 작곡가에게 미학적으로 어떻게 수용되고 음악작품 창작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규명된다. 브람스의 클라리넷 소나타 제1번 op. 120-1을 비롯한 후기 음악작품에서 화성의 본질을 다루는 이원론적·대칭적 사상, 변증법적 과정에 의해형성된 연속 3도 사슬, 장3화음과 단3화음의 동등성 등이 작곡기법으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연구된다. 또한 당시 미학적·음향학적 쟁점이었으나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아 현재까지도 묻혀 있던, 배음과 거울관계에 있는 하배음의 속성과 관련된 작곡 기법을 살펴본다. 이연구는 다양한 거울 구조와 기법으로 이루어진 브람스의 작품의 내용을 당시 사변적 음악이론이라는 거울로 들여다보는 과정에 비유할 수 있을 것이다.
        11.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19세기 말 서양 선교사들이 성서 번역과 지식 전달의 도구로 한글을 사용함으로써 한글을 재인식시키고 더 나아가 한글 공동체를 형성 하는 데에 끼친 공헌을 다루었다. 한글은 창제 이래 “양층 언어”라는 독특 한 언어 상황 속에서 한문의 하위 언어로서의 지위를 한번도 벗어 보지 못 했다. 그러나 19세기 말 중화사상이 흔들림에 따라 문화의 상징으로 여겨 졌던 한문의 지위가 흔들리기 시작하면서 그 자리를 대신하여 한글은 국문 이라는 이름을 부여 받게 된다. 하지만 한글은 현실적으로 국문으로서의 지위를 확보하지 못했고 국한문 혼용체가 주류를 이루고 있던 것이 19세기 말 조선의 언어 상황이었다. 이 시기에 조선에 입국한 서양 선교사들은 성 서번역과 문서 출판의 도구로 한글을 과감하게 선택함으로써 한글이 하나 님의 말씀을 전하고 지식을 전달하는 상층 언어로서 인식되는 데에 큰 공 헌을 했다. 한글이 처음으로 유교 경전의 내용을 담던 한자와 대등한 지위 를 부여 받게 된 것이다. 선교사들의 이러한 공헌은 단순히 한글을 재인식 시키는 데에 그친 것이 아니라 더 나아가 상하귀천을 막론하고 같은 문자 로 같은 정보를 공유하고 공론에 함께 참여하는 한글 공동체를 형성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렇게 볼 때 선교사들은 19세기 말 한글이 국문으 로 탄생되는 시기에 한글의 가치를 재인식 시키는 데에 매우 영향력 있는 촉매제 역할을 했다고 평가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