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nine parvovirus (CPV) type 2a (CPV-2a) has recently been identified as the main genotype circulating in the dog population in South Korea. Although CPV vaccines protect domestic dogs from CPV-2 infection, the efficacy of commercial live or inactivated CPV vaccines against CPV-2a has not been reevaluated. In this study, dogs were immunized with one of 7 commercial CPV vaccines (4 modified live and 3 inactivated vaccines) followed by challenge with CPV-2a strain, KV0901 that had been isolated from naturally infected dog in 2009. All dogs vaccinated twice with 4 commercial modified live CPV vaccines were seroconverted (geometric mean HI titer > 190.2) and most of dogs were completely protected against virulent CPV-2a strain infection. The dogs inoculated with 3 commercial inactivated CPV vaccines were also seroconverted and showed a slight loss of appetite and light diarrhea for 4 days after challenge and returned to normal at 5 days post challenge. However, the non-vaccinated dogs revealed the typical clinical signs of CPV infection including haemorrhgic diarrhea. In conclusion, the 4 live CPV vaccines licensed in Korea cross-protected dogs against virulent challenge with CPV-2a and are applicalble to pet dogs for the prevention of CPV infection.
        4,000원
        2.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eographic clines in genetic polymorphisms are widely believed as an evidence of climate change. We hypothesized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Sulzer, one of the major insect pests in highland chinese cabbage cultivation, may also have some interactions with climate change. As the first step, we tried to find the available markers from six local strains (five collected at different heights in Hoengseong and Pyeongchang area and one from laboratory). A strain from Jeju island was used as an out-group.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quences of partial ribosomal RNA fragment and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I, and esterase isozyme pattern, we found four inter-simple sequence repeat (ISSR) markers in 22 used ISSR primers (+AGA, +CCA, +CGA, CGA+). These primers can be used as good markers to trace the M. persicae gene flow because they showed specific bands according to local strains.
        3.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돌나물의 수확후 저장온도가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저장온도에 따른 생체중, 색상차, 엽록소 함량, 수분함량, 외관상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생체중은 저장온도에 따라 8.7-25.3%의 감소를 보였으며,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생체중 감소율도 높았다. 계통에 따른 생체중 감소는 포항지방종이 가장 컷으며, 완주 지방종의 변화가 비교적 적었다. 외관상 품질은 20℃에서 4일경, 10℃에서 6일경, 5℃에서 8일경부터 하위 잎에 변색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부패하기 시작하였다 SPAD 값으로 비교한 엽록소 함량은 20℃와 10℃에서는 4일과 6일 후부터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나, 5℃에서는 변화가 적었다. 잎의 색도 변화에서 명도를 나타내는 L값과 녹색-적색을 나타내는 a값은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저장일 수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저장 후 10일째에 변색이나 부패한 돌나물의 비율은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이는 수확시의 수분함량과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P=0.01). 계통간에는 완주 지방종이 비교적 저장성이 높았으며, 군산, 완도, 포항 순으로 부패율이 높았다. 따라서 돌나물을 스치로폼 접시에 랩포장 할 경우, 5℃에서는 수확 후 8일까지 상품성을 유지한 상태로 저장이 가능하였다.
        4,000원
        4.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presents a technique for measuring the local strain of RC columns using high strength materials. A acrylic rod with strain gauges at intervals of 5 mm were embedded in high-strength RC columns. Under uniaxial compression loading, the local strain of the column was measured with strain gauges attached to the acrylic rod. It was confirmed from experimental results that the technique applied in this study is very effective in measuring the local strain of high-strength RC columns and the compressive failure of the high-strength RC columns is concentrated in some local regions.
        5.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가온 하우스에서 벼 육묘상자(30×60×3cm )를 이용한 고품질 돌나물 생산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완주 및 금산지역종을 재료로 육모상자당 40, 60, 80개체씩 9월7일에 삽식한 다음, 월동전후 두 지역종간 생육특성과 수량성을 조사하였다. 삽식후 60일째에 초장과 줄기수는 삽식밀도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두 지역종의 잎장과 식물체 당 곁가지 수는 40개체보다 80개체 밀식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월동후 1차 수확시(4월 20일), 금산 지역종의 생육은 삽식밀도간 차이가 없었으나, 완주 지역종의 줄기직경, 줄기당 마디수와 잎수 등은 40개체 삽십보다 80개체 삽식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생체중과 건물중은 두 계통 모두 삽식밀도간 차이가 없었으나, 완주지역종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2차 수확시(6월 5일)의 생육은 두 지역종 모두 총 줄기수에서만 40개체 삽십보다 80개체 삽식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생체중과 건물중은 금산 지역종에서 40개체 삽십보다 60개체 삽식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완주 지역종의 건물중이 금산 지역종보다 높았다. 완주 지역종은 줄기가 두껍고 마디가 짧으며, 잎이 크고 웃자라지 않아, 수량성이 금산 지역종보다 높았다. 따라서 무가온 하우스에서 벼 육묘상자를 이용한 돌나물 재배시 완주 지역종이 금산 지역종보다 적합하였으며, 재식밀도는 상자당 40개체가 적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