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부터 2023년까지 서울지역에 유통되는 식약공용 농·임산물 60품목 1,340건을 대상으로 ICP-MS와 수은분 석기, 모니어-월리엄스 변법을 사용하여 중금속(납, 카드 뮴, 비소, 수은) 및 이산화황의 함량을 조사하고 위해성 평 가를 수행하였다. 중금속의 평균 검출량 및 범위는 납 0.327 mg/kg (ND-36.933), 카드뮴 0.083 mg/kg (ND-1.700), 비소 0.075 mg/kg (ND-2.200), 수은 0.004 mg/kg (ND- 0.047)으로 나타났다. 품목별은 2023년에 복령 1건에서 납 이 36.933 mg/kg으로 기준을 초과하였고 카드뮴은 2022년 에 구절초 2건이 각각 1.700 mg/kg, 0.650 mg/kg으로 기준 를 초과하였다. 나머지 품목은 모두 허용기준 이내였다. 이 산화황의 평균 검출량 및 범위는 0.75 mg/kg (ND-192.00)이 였으며, 2019년에 천마 2건에서 각각 192.00 mg/kg과 42.00 mg/kg으로 기준치을 초과하였다. 약용부위별 중금속 평균 검출량은 납은 버섯류(1.377 mg/kg), 카드뮴은 수·근피 류(0.156 mg/kg)와 등목류(0.144 mg/kg), 비소는 엽류 (0.149 mg/kg), 수은은 전초류(0.009 mg/kg), 엽류(0.009 mg/ kg)에서 높게 검출되었다. 이산화황 평균 검출량은 근경류 (4.12 mg/kg)에서 높게 검출되었다. 원산지별로 중금속 및 이산화황 함량을 비교한 결과, 납, 카드뮴 및 수은은 국내 산, 중국산, 중국 외 수입산 간에 차이는 없었으나, 비소 와 이산화황은 중국산이 국내산과 중국 외 수입산보다 높 게 검출되었다. 위해성 평가 결과, 납은 대부분의 품목에 서 노출안전역(MOE)값이 1보다 커서 인체 위해성이 낮았 지만, 복령에서 MOE 값이0.66으로 1보다 낮아 위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뮴, 비소 및 수은의 위해도(HI) 는 각각 0.2740-1.0702%, 0.0049-0.0335% 및 0.0041- 0.0287%로 매우 낮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이산화황의 위해도(HI)는 모든 품목에서1을 초과하지 않아 안전한 수 준이었다. 앞으로도, 식약공용 농·임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의 심리적 회복과 성장을 돕기 위한 애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행한 후 참여자들의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미술, 글쓰기, 명상기법 등을 포함한 통합적 애도 프로그램을 구성하였고 이를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 8명에게 실시 했다. 총 8회기의 프로그램 과정 및 프로그램 전과 후에 참여자들과 1대 1로 심층면담을 수행했고, 이를 Colazzi가 제시한 체험적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했다. 애도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반려인들의 변화를 정서 적, 인지적, 관계적, 행동적 차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긍정적 추억 이 되살아남’, ‘죄책감의 완화’, ‘자기에 대한 자비’, ‘부정적 자신과의 화 해’. ‘새로운 삶의 정체성’, ‘반려동물과의 유대감의 지속’, ‘상호지지와 유대감’, ‘현재의 삶에 집중’, ‘가치지향 행동’이라는 9개의 구성요소와 34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드러났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반려동물 상실 자조모임이나 애도 집단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제언을 했다.
서울 시내 유통점과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입한 홍삼함 유식품 66건과 건강기능식품 홍삼제품 35건의 기능 성분 인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비교·분석하였다. 홍삼함유식품 66건 중 전통시장에서 구입한 2건은 진세노사이드가 검출 되지 않았고 64건의 제품에서는 진세노사이드 함량에 대 한 기준은 없지만 일일 섭취량 기준 0.55-71.56 mg을 함 유하고 있었다. 건강기능식품의 홍삼제품은 진세노사이드 평균 함량이 분말형 제품을 제외하고 일일 섭취량 기준 18.23 mg으로 홍삼함유식품의 8.80 mg 보다 약 2배 정도 가 많았다. 홍삼과 흑삼 비교 시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홍 삼 제품이 흑삼 제품보다 많거나 비슷하였으나 분말형 제 품의 경우 흑삼 제품이 2배 많았다. 제형별 진세노사이드 평균 함량은 일일섭취량 기준 농축액 21.95 mg으로 가장 많고 분말 형태 12.54 mg, 스틱형 7.36 mg, 파우치형이 4.10 mg 순이었다. 흑삼제품은 고기능성으로 알려져 있으 나 대부분 일반 식품으로 판매되고 있어 건강기능식품 수 준의 관리와 규제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흑삼의 규격기 준 설정 이후에는 흑삼제품의 기능성분 함량 재평가가 필 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스틱형이나 농축액 제품의 경우 건강기능식품뿐만 아니라 일반식품인 액상차, 홍삼음료로도 널리 판매되고 있어 식품유형 표시를 명확히 해야 할 것 으로 보인다. 최근 면역력 향상을 위한 소비자의 관심 증 가로 다양한 건강기능식품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 서 홍삼을 함유한 식품을 섭취 목적에 맞게 선택할 수 있 도록 정확한 함량정보 제공을 위해 다양한 제품에 대한 지속적인 품질평가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plored a method to enhance the drying process usability of local mangoes by producing foam-mat dried powder under varying drying temperatures (50, 60, 70°C) and foam thicknesses (3, 6, 9 mm). The drying process period ranged from 60 to 390 minutes based on the set conditions, with higher temperatures and thinner foams accelerating drying. Powder chromaticity (L*, a*, and b*) demonstrated a declining trend with increasing drying temperature and foam thickness, exhibiting notable variance in chroma values. The water absorption index varied significantly, between 3.08 to 4.24, under different drying conditions, although the water solubility index remained consistent across foam-dried samples. Powder moisture content ranged from 2.53% to 3.83%, with hygroscopicity escalating with temperature and foam thickness. Vitamin C structure was compromised during the hot air drying process, especially at temperatures above 60°C. Electronic nose analysis distinguished foam-dried powder from freeze-dried powder; however, a thicker foam yielded a scent profile closer to that of freeze-dried powder. The findings provide fundamental data on mango foam drying, which is expected to improve processing and storage tech for local mangoes.
In this study, the hydrogen sulfide removal performance of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stead of NaOH was evaluated to reduce the amount of NaOH, a harmful substance used in chemical cleaning methods. Three alternative chemical agents were evaluated: commercially available chemical-based CB, enzyme-based EB, and natural substance-based NB. The hydrogen sulfide removal performance evaluation consisted of three lab tests: the EL608 method, a method using a bag, a method using a sensor and a chamber, and a field test conducted on a scrubber in operation in the actual field. As a result of evaluation by the EL608 Method, CB was 92.3% (±2.9%), EB 60.5% (±5.8%), and NB 88.3% (±3.6%), similar or somewhat similar to NaOH (5%) 99.8% (0.1%). In the evaluation of the hydrogen sulfide removal performance using Bag, the Michaelis-Menten coefficient was CB 4.30 and EB 5.30, lower than NaOH 6.60, and the affinity for hydrogen sulfide was evaluated to be stronger. Even in the method using the sensor and chamber, CB and EB showed similar hydrogen sulfide removal performance of NaOH, but NB showed low treatment performance. In the evaluation using the scrubber in the actual field, the treatment efficiency of CB and EB was higher than that of NaOH under all hydrogen sulfide inlet concentration conditions. If microorganisms grow on the packing material filled inside the scrubber, treatment efficiency may decrease. In order to prevent this phenomenon, the microbial growth inhibitory function of alternative materials was evaluated, and CB, EB, and NB were all superior to NaOH.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CB and EB can replace NaOH because they have excellent performance in removing hydrogen sulfide and inhibiting microbial growth.
Purpose: Even today, cancer remains a challenge to overc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lip-oral-pharyngeal cancer in Koreans by identifying the survival rate of lip-oral-pharyngeal cancer in Koreans through long-term big data. Material and Method: This study utilized 2023 KOSIS (Cancer Registration Statistic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cademically. The 5-year relative survival rates of lip-oral-pharyngeal cancer from 1996 to 2020 were compared and analyzed at 5-year intervals. Results: The 5-year relative survival rate for lip-oral-pharyngeal cancer was 47.4% from 1996 to 2000, 54.5% from 2001 to 2005, 61.1% from 2006 to 2010, 65.5% from 2011 to 2015, and 69.7% from 2016 to 2020. From 1996 to 2005, the 5-year relative survival rate for lip-oral-pharyngeal cancer was higher than the 5-year relative survival rate for all cancers. However, in the recent 15 years from 2006 to 2020, the 5-year relative survival rate for lip-oral-pharyngeal cancer was lower than for all cancers. Conclusions: In conclusion, this long-term big data showed that the 5-year relative survival rate of lip-oral-pharyngeal cancer in Koreans has increased further in modern times. 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overall survival rate of all human cancers, continuous efforts to improve the survival rate of lip-oral-pharyngeal cancer are needed in the future.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result of the locker of the safety helmet to protect the user’s life from accidents of personal mobility, i.e. electrical-scooter, electrical bicycle and kick-board. Through Arduino kit which is the one of common open source computing platform, electric circuit and equipment to fulfil the functions of the locker of the safety helmet is designed and made. Especially the functions which are protected from the damage of humidity and sterilization of bacteria will be automatically operated in locker by Arduino board and bluetooth module with various sensors. The dimension of the locker is designed using CATIA program and made with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resin to keep and lock the helmet.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종사자인 간호사 및 간호조무사를 대상으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 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22년 8월 12일부터 16일까지 G시 소재 4개 요양병원 간호종 사자 146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이직의도는 일반적 특성 중 연령, 종교, 결혼상태, 학력정도, 월 평균 급여, 직종, 근무형태 및 이직경험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직의도는 직무스트레스 (r=.51, p<.001) 및 소진(r=.62, p<.001)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조직몰입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56, p<.001). 조직몰입은 직무스트레스(r=-.25, p=.002) 및 소진(r=.-.67, p<.001) 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소진은 직무스트레스(r=.56,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 다.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직무스트레스(β=.32, p<.001), 조직몰입(β=-.30, p=.001), 학 력정도(β=.17, p=.022)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9.6%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요양병원 간호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감소 및 조직몰입 향상을 위한 근무환경 개선 등을 통해 이직의도 감소를 위한 노력이 필요 하리라 생각된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optimal processing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pple-mango jelly for domestic suppliers, by analyzing the quality attributes of the jelly. According to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a total of 11 experimental points were designed including the content of apple-mango juice (X1), and the sugar content (X2). The responses were analyzed including the color values (CIE Lab and color difference), physicochemical properties (water activity, sweetness, pH, and total acidity), and textural properties (hardness and gel strength).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except for total acidity,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all the experimental points (p<0.05). Quadratic model was derived for all responses with an R square value ranging from 0.8590 to 0.9978. Based on regression model, the appropriate mixing ratio of apple-mango jelly was found to be 31.11% of apple mango juice and 14.65% of sugar. Through this study, the possibility for developing jelly product using apple-mango was confirmed, and it is expected that thes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agricultural industry.
In this study, the effect of osmotic drying conditions of mangoes on hot air drying was investigated. Four different osmotic agents of 60 Brix, such as S60, SM10, HF80, and SG25, were prepared. Mango slabs were osmotically dried with the agents at a ratio of 1:4 (w/w) for up to 8 hours. SG25 showed the lowest weight reduction and moisture loss during the process. As a result of hot-air drying, all samples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Page model (0.9761~0.9997), and the required drying time of all samples that were osmotically dried was reduced compared to the non-osmotically dried group. After hot-air drying, the pH value increased according to the drying temperature. The L, a, and b values an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lso decreased. Through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osmotic drying was confirm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hot air drying of mangoes, whi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ndustrial use of domestic mangoes.
작물 생육 진단에 있어서 군락 엽면적과 군락 피복은 주한 요소 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측정을 디지털 카메라를 활용하여 RGB 식생지수로 작물 생육을 측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밀 재배 기간 카메라의 노출 값을 다르게 설정하여 RGB 컬러 식생 지수와 군락 엽면적지수 및 군락피복에 대해 평가하였다. 군락 엽면적, 군락 피복 및 디지털 영상 측정은 출수 16일전부터 출수 후 25일까지 하였다. 일출 후 30분 이내에 촬영하였다. 노출 값은 셔터 속도를3 수준(1/60s, 1/340s, 1/640s)으로 하였다. RGB 컬러 식생지수 분석은 파이썬으로 하였다. 실제 군락 엽면적과 군락 피복간에는 정의 상관관계(r2 =0.94)를 보였다. 군락 피복 이미지의 ExG, GLI, NGRDI, ExG-ExR, MExG, TGI, MNGRD 및 MExG-CIVE는 군락 엽면적 지수와 및 군락 피복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CIVE와 ExR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1/640s 가 1/60s와 1/320s에 비하여 노출이 높게 설정된 것으로 보였다. 또한, 토양과 녹색 영역을 분리하는데 있어서 너무 어린 시기 보다는 출수 전이 가장 잘 분리되었다. 따라서 야외에서의 다양한 광 조건에서는 과도한 노출보다는 광 간섭을 줄이는 기술과 함께 작물의 생육 시기와 기상환경을 고려하여 노출 값이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