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ice serves as the staple food for many Asian countries. However, it faces a significant threat from various Hemiptera species, including Nilaparvata lugens, Sogatella furcifera, Laodelphax striatellus, and Nephotettix cincticeps, which can cause devastating diseases. These species are economically significant pests of rice. Traditional morphology-based methods have proven inefficient in accurately distinguishing these pests at the species level. In this study, we present a successful approach for designing species-specific primers and their application in both general and multiplex PCR as well as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assays, widely adopted molecular tools for species identification. Each primer set incorporates a species-specific sequence of at least 2 base pairs in both the forward and reverse primers. These primers have demonstrated exceptional diagnostic accuracy in conventional and multiplex PCR. Additionally, our study showcases the high sensitivity of LAMP, successfully achieving positive amplification with genomic DNA quantities ranging from 100pg to 10pg. In summary, these techniques provide an efficient means of diagnosing planthoppers in a large number of field-collected or individual samples.
        5.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남지역 내 주요공원(4곳)에 생존하고 있는 조경 수목의 수목활력도를 파악하여 수목보호 관리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부산시민공원 내 관목류의 수목활력도는 불량, 활엽 교목, 침엽 교목은 모두 양호한 수준이었다. 다대포해변공원 내 관목류, 활엽 교목, 침엽 교목은 모두 양호한 수준이었다. 해운대나루공원 내 관목류는 양호한 수준이었으며, 활엽 교목, 침엽 교목은 매우 양호한 수준이었다. 밀양아리랑공원 내 관목류는 양호한 수준이었고, 활엽수 교목과 침엽수 교목은 매우 양호한 수준이었다. 수목별 수목활력도는 침엽수 교목이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으로 활엽수 교목, 관목류 순이었다. 4개의 공원에서 수목의 공원별 수목활력도의 평균이 가장 높은 순서는 해운대나루공원, 밀양아리랑공원, 다대포해변공원, 부산시민공원 순이었다. 계절별 수목활력도 변화는 계절별로 측정된 수목의 수목활력도에서 수목활력도가 가장 높은 순서는 밀양아리랑공원, 해운대나루공원, 부산시민공원과 다대포나루공원 순이었다. 계절별로 변화는 수목의 생장이 활기차게 시작되기 전 3월과 4월의 초봄이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가을철 9, 10, 11월이 낮았다. 여름철인 6, 7, 8월이 수목활력도가 높았는데, 가장 높은 시기는 8월이었다.
        4,000원
        7.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mboo forests are fast-growing, renewable resources, and their carbon sequestration potential has attracted increasing attention. Although bamboo can be used for many purposes, bamboo forests in Korea represent a generally underutilized resource. The main objective here was to perform an assessment of the phys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species of bamboo found in Korea. The main species of domestic bamboo are Phyllostachys bambusoides, P. pubescens, and P. nigra; we measured the air-dried density for each of the species, with obtained values of 0.89 g/cm2, 0.79 g/cm2, and 0.83 g/cm2, respectively, giving the density order of P. bambusoides > P. pubescens > P. nigra, with P. bambusoides having the highest density. We then measure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each species, which were 802.84 kgf/cm2, 624.69 kgf/cm2, and 743.77 kgf/cm2, respectively, in the order of P. bambusoides > P. pubescens > P. nigra, with P. bambusoides having the highest compressive strength. Volume and maximum load decreased with increasing node height in the three bamboo species, whereas air-dried density and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d. Our results thus add to the pool of essential knowledge about Korean bamboo species, and consequently to the development of a potentially valuable domestic resource in Korea.
        4,000원
        8.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각기 다른 해양 환경 특성을 보이는 서해, 남해, 동해, 제주 연안역을 대상으로 춘계 (5월)와 하계 (8월)에 출현한 부유성 요각류의 군집구조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봄과 여름에 출현한 부유성 요각류는 총 73종이었으며, 이 중 연안종이 28종이었다. 봄 (49종)에 비해 여름 (58종)에 출현 종이 다양하였다. 요각류 출현 개체수는 봄과 여름 Chl-a 농도가 낮게 나타난 동해연안해역에서 가장 낮았으며, 봄에 Chl-a 농도가 높게 나타난 서해연안해역에서 출현 개체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여름에 제주연안해역에서 Chl-a 농도가 0.6 μg L-1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높은 출현 개체수를 보였다. 봄에 한국 연안에서 우점적으로 출현하는 요각류는 Acartia hongi, A. ohtsukai, Paracalanus parvus s. l., Oithona similis이었다. 여름에는 이들 종 이외에 A. omorii, A. pacifica, A. steueri, Calanus sinicus, Corycaeus affinis, Corycaeus sp., Pseudodaiptomus marinus, Tortanus forcipatus이었다. Paracalanus parvus s. l.은 봄에 조사 해역에서 최우점종 또는 차우점종으로 생태적 지위를 달리하였으나, 여름에는 전 조사해역에서 최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요각류 군집특성은 수온, 염분, Chl-a 농도 등의 환경 요인에 따라 서해, 남해, 동해, 제주 4구역으로 명확하게 구분되었다.
        4,500원
        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조사료 종류와 수확시기에 따른 linoleic acid 함량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재 배되는 주요 목초 및 사료작물에 대하여 3번의 수확시기로 구분하여 분석을 하였으며 전체 19종의 목초 및 사료작물 이 조사대상 이었다. 대상작물은 우리나라에서 많이 재배 되는 8종의 화본과 목초(Perennial ryegrass, Reed canarygrass, Tall fescue, Timothy, Bromegrass, Kentucky bluegrass, Orchardgrass and Wheat grass), 6종의 두과목초 (White clover, Red clover, Sweet clover, Crimson clover, Alfalfa and Hairy vetch), 그리고 5종의 월동 사료작물 (Italian ryegrass, Barley, Rye, Oat and Rape)에 대하여 3번 의 수확시기를 두었다(5월 8일, 5월 19일 및 5월 28일). 화본과 목초 중에서는 Reed canarygrass와 timothy가 가장 높은 linoleic acid 함량을 나타내었고 남방형 목초인 bromegrass가 가장 낮았다. 모든 초종은 5월 19일 조사 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5월 28일 조사 시 가장 낮았 다. 두과목초는 화본과 목초보다 linoleic acid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5월 19일 수확 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다. 사료작물 중에서는 유채가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호 밀은 높은 수준이었다. 조사된 전체 조사료에서 수확시기 가 진행됨에 따라 linoleic acid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종합하여 볼 때 육종, 품종의 선택 및 재배관리를 통하여 CLA 전구물질인 linoleic acid 함량 을 변화시켜 반추가축 생산물의 조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0.
        2012.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수명 핵분열생성물인 79Se와 99Tc는 자연수 중에서 용해도가 클 뿐더러 음이온으로 존재하여 방사성폐 기물 처분장에서 주요 관심핵종들로 고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KURT 지하수의 다양한 pH와 산화-환 원 조건에서 셀레늄과 테크네튬의 Solubility Limiting Solid Phase (SLSP)로 알려진 FeSe2와 TcO2의 용해 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지화학코드를 이용하여 실험과 유사조건에서 이들의 용해도와 주요 화학종을 계 산하였다. 실험 및 계산으로부터 pH 8∼9.5와 Eh=-0.3∼-0.4 V 조건에서 FeSe2의 용해도는 1x10-6 mol/L 이하이며, 주 용해 화학종은 HSe-로 판단된다. TcO2의 경우는 pH 6∼9.5와 Eh<-0.1 V 영역에서 용해도와 주 용해 화학종이 각각 5x10-8∼1x10-9 mol/L와 TcO(OH)2로 나타났지만, Eh=-0.35 V조건에서는 주 용해화학종이 pH가 10.5∼12와 12이상에서 각각 TcO(OH)3 -와 TcO4 -로 계산되었다.
        4,000원
        11.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생 초본식물의 보존과 임간재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가리왕산과 중왕산 지역의 아고산대에 분포하는 천연활엽수림을 중심으로 주요 자생 초본식물의 분포와 입지인자를 조사하고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초본식물 분포조사에서는 136종의 초본식물이 확인되었으며, 개별꽃의 상대우점치가 10.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밖에 주요 식물종은 벌깨덩굴, 현호색, 참나물, 대사초, 단풍취, 큰개별꽃, 얼레지, 곰취, 만주족도리풀, 피나물, 노루오줌 등 이었다. 노루귀와 단풍취; 참나물과 두메투구꽃; 두메투구꽃과 풀솜대; 벌깨덩굴과 큰개별꽃, 등의 종간에는 매우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주요 식물종의 유집분석 결과, 7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졌다. 주요 자원식물종이 선호하는 입지인자들이 밝혀졌다. 곰취, 단풍취, 박쥐나물, 얼레지, 참나물 등은 해발고가 높을수록 많이 분포하였고, 곰취는 토심이 깊을수록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얻어진 결과는 평창군 아고산 천연활엽수림의 보전과 주요 지원식물의 임간재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4,000원
        12.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7년도 조사된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충북지방에 분포하는 주요 수종에 대하여 평균 연륜생장량과 연륜생장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충북지역에서 조사된 고정표본점은 총 56개소로 다양한 수종이 분포하였으며 그 중 개체수 분포 비율이 높은 10개 수종에 대하여 총 800본의 연륜생장량이 조사된 목편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충북지방에서 평균 연륜생장량이 가장 높은 수종은 아까시나무(2.30mm/yr)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졸참나무(2.27mm/yr)>산벚나무(1.98mm/yr)>일본 잎갈나무(1.98mm/yr)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주요 수종들의 경우, 영급과 임분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 연륜생장량은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4,000원
        13.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razing restoration succession of the degraded grassland is an important aspect in community ecology.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xamine how major species restore in first four years restoration following 11 consecutive grazing under different stocking rates in Inner Mongolian steppe. A. frigida and P. acaulis are the most important two species in the all treatments (NG, LG, MG and HG) after four years restoration, although they had high fluctuation. The biomasses of these two species account for 40-90% of total biomass. Especially in no grazing area, which was exclosured since 1990, A. frigida and P. acaulis are still the most important two species in the community. These results suggested A. frigida and P. acaulis conununity are quite stable, and will keep long-time if no special measurements were taken during the restoration of the degraded grassland.
        14.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7년도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 중 충청남도 지역에서 조사된 주요 수종별 연년 직경생장량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2007년도 충남지역에서 조사된 고정표본점은 총 49개소이며, 직경생장량 조사를 위해 목편을 채취한 개체목으로 총 717본의 표준목이 측정되었다. 주요 수종들의 연년 직경생장량은 임령과 임분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일반적인 경향을 보였다. 연년 직경생장량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산벚나무가 약 2.14㎜/yr로 연년 직경생장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졸참나무(2.10㎜/yr), 해송(2.03㎜/yr), 소나무(1.91㎜/yr), 그리고 밤나무(1.90㎜/yr)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정보는 충남지역에 분포하는 주요 수종의 연년 직경생장량 특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4,000원
        15.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1990~2005년 사이에 일본전국의 109개의 주요하천유역에서 조사된 어류, 식물, 조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생물종의 종수와 기후 및 지형의 환경인자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어류, 식물, 조류의 분포는 각각 연평균 기온, 유역면적, 연간 강수량에 의해서 가장 많은 부분이 설명되었다. 또한, 광범위 스케일에서의 환경인자데이터를 이용한 각 생물종에 대한 일반화가법모델을 이용하여 일본전국의 하천유역의 각 생물 종수의 값을 예측하고 그 값을 지도화하였다. 예측값을 지도화하는 것은 관리자가 생물종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보호해야할 지역을 새롭게 설정하거나, 생물다양성 보호지역의 유효성을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4,000원
        20.
        202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amount of harmful fungi and bacteria contained in the drainage and culture medium from the paprika hydroponic facility is identified. In addition, by proposing the necessity of effective purification of discharged drainage,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drainage reuse. Finally,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on the basis for calculating the need for purification facilities in the future, as well as improvements in horticulture facility for sustainable agricultu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12 types of fungi were detected in paprika medium and 10 types of fungi were detected in the drainage, and their densities were 130 and 68, respectively. Among the fungi detected in the media and drainage of the paprika hydroponic facility, the fungi with the highest detection frequency are Fusarium, Phytophthora, and Pythium. In the case of bacteria, a total of 2 types of bacteria were detected in the paprika facilities, and the density was 28 and 23, respectively. Therefore, in order to reuse the drainage and settle the circulating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a water treatment process capable of appropriate treatment is required.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