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 Microsoft Kinect which is a low-cost gaming device has been studied as a promise clinical gait analysis tool having satisfactory reliability and validity. However, its accuracy is only guaranteed when it is properly positioned in front of a subject.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rror when the Kinect was positioned at a 45˚ angle to the longitudinal walking plane compare with those when the Kinect was positioned in front of a subject. Methods: Sixteen healthy adults performed two testing sessions consisting of walking toward and 45˚ obliquely the Kinect. Spatiotemporal outcome measures related to stride length, stride time, step length, step time and walking speed were examined. To assess the error between Kinect and 3D motion analysis systems, mean absolute errors (MAE)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Conclusion: Based on our study experience, positioning the Kinect directly in front of the person walking towards it provides the optimal spatiotemporal data.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e Kinect should be placed carefully and adequately in clinical settings.
        4,000원
        2.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는 노화와 과제의 정확성 제약이 연속적인 조준 움직임 계획과 실행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였다. 방법: 건강한 노인 11명을 노인집단으로 그리고 성인 11명은 성인집단으로 구분하여 3가지의 정확성 제약(난이도)을 지닌 Fitts 과제를 수행하게 하였다. Fitts 과제는 낮은 정확성 제약, 높은 정확성 제약 그리고 결합된 정확성 제약을 지닌 과제이며, 이 과제는 가상현실을 통해 컴퓨터로 구현되어 물체의 조작이나 외부적인 마찰 없이 움직임 제스처에 의해서 동작을 수행한다. 노화와 과제의 정확성 제약에 따른 연속적인 조준 움직임 계획과 실행에서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과제 수행에 대한 움직임 시간과 체류 시간을 운동학적 자료로 수집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정확성 제약이 높은 과제를 수행할 때, 노인들의 움직임 시간은 성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체류시간에 있어서도 노인들은 정확성 제약이 높은 과제를 수행할 때, 목표 표적에 머무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것으로 드러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정확성 제약이 낮은 과제에서는 노인과 성인간의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연속적인 조준 움직임 수행 시 노화는 감각정보의 지각 및 통합에서의 지연을 유발하여 연속적인 조준 움직임 수행을 방해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3.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일치 타이밍 과제의 운동속도와 운동정확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운동속도는 스윙범위와 불빛 이동 속도 조건으로 조절하였고, 운동정확성은 스윙과제 수행의 시간과 공간 오차(절대항상오차)를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운동수행의 일관성은 시간과 공간 오차 점수를 이차원으로 하는 이원변량 가변오차(BVE)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피험자는 오른손을 사용하는 5명의 남자 대학생이었고, 불빛 자극 이동경로를 따라 움직이는 불빛 자극의 도달지점에 맞춰 전완 수평 운동 측정기를 스윙하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스윙범위는 10도, 30도와 50도였고, 불빛 자극의 이동 속도는 89㎝/sec, 178㎝/sec, 268㎝/sec, 357㎝/sec와 447㎝/sec 5가지 속도로 제시되었다. 피험자들의 각 조건별 시행(50시행) 중 총 40시행(11~50시행)을 스윙 범위(3) × 불빛 이동 속도(5) MANOVA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스윙범위가 증가하고 불빛 자극의 이동 속도가 빨라지면서 공간 오차는 증가하였지만, 시간 오차와 이원변량 가변오차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