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3.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e purpose of this presents is to investigate, using natural food extracts(Green tea; Camellia sinesis, Du'chung; Eucommia ulmoides Oliver, Eu sung cho; Houttuynia cordata Thunb, Sam back cho; Saurus Chinensis, Baek hwa sa seal cho; Oldenladia diffusa Roxb., Laver; Porphyra tenera,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and Sea staghorn; Condium fragile) and juices(Sweet pepper; Capsicum annuum var. angulosum, Kale; Brassia oleracea var. acephala, Cucumber; Cucumis satiuus, Onion; Allium cepa, Tomato; Lycopericon esculentum, Maesil; Prunus mume, Plum; Prunus salicina and Grape; Vitis spp.), the effect of natural plant components on the nitrite-scavenging under the different levels of pH. From the above mentioned extracts and juices, tl1i; content of vitamin C was detected, containing 65.1∼77.1 ㎎/100 g, at the highest level in the Green tea, and followed by vegetables and fruits in order. The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teas, medicinal plants, and seaweed extracts, in the reaction system under the condition of pH 1.2, were 57.0∼100%, 50.0∼100%, and 18.0∼99.0%, respectively. Especially, the nitrite was scavenged to the level of 100%1 when 10 ㎖ of kale and 5 ㎖ of maesil juice
        4,000원
        4.
        2006.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동결건조 시킨 발아현미 추출분말첨가 배추김치의 기능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동결건조 시킨 발아현미 추출분말(GBREP) 첨가량을 0, 0.67, 3.35 및 6.70%(w/w)로 각각 달리하여 담근 배추김치를 에서 21일 동안 발효시키면서 유리아미노산 함량과 항산화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은 GBREP 첨가량이 많을수록 총 유리아미노산과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GABA 함량도 대조구와
        5.
        200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미자 추출물에 감마선을 조사하여 tyrosinase 저해, xanthine oxidase 저해 및 아질산염 소거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오미자 추출물은 열수, ethanol, methanol 그리고 acetone등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감마선은 10, 20과 30 kGy로 조사하였다. 오미자 추출물은 모두 tyrosinase 저해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마선 조사 후 오미자 추출물에 대한 tyrosinase는 열수 추출물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