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ox tree moth (BTM, Cydalima perspectalis Walker) is a pest that infests various plants within the Buxus genus. Although a specific parasitoid wasp species associated with the BTM has been observed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search on this species has been published. Here we describe the fundamental bi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is parasitoid. We placed the wasp under the genus Eriborus (Hymenoptera: Ichneumonidae: Campopleginae). Eriborus sp. parasitizes within the living host body, with one wasp emerging from each host. The parasitism rate in collected BTM populations was 33.1%. The emergence rate was 87.1%, with all emerging adults being females, resulting in a sex ratio of 0. The pupal period averaged 9.5 days, and the adult lifespan averaged 10.5 days. Eriborus sp. parasitized BTM larvae from the first to the fourth instar and reproduced by parthenogenesis. Eriborus sp. exhibited morphological differences compared with previously reported Eriborus species in Korea, particularly in the length of the ovipositor sheath.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the highest similarity in nucleotide sequences of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I DNA was only 94.53%, rendering species identification using GenBank’s mt cytochrome c oxidase 1 DNA sequences unfeasible. These data suggest Eriborus sp. could be used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for managing BTM infestations.
        7.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치벌과의 송충살이고치벌아과에 속하는 Aleiodes conina Quicke and Butcher, 2012를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본 종에 대한 진단, 분포 및 삽화를 제공한다.
        3,000원
        8.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치벌과의 송충살이고치벌아과에 속하는 Aleiodes thirakupti (Butcher et al., 2012)을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본 종에 대한 진단, 분포 및 삽 화를 제공한다.
        3,000원
        10.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치벌과에 속하는 Microgastrinae 아과의 Diolcogaster perniciosa (넓적다리도랑꼬마고치벌)을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본 종의 재기 재, 진단, 분포정보, 그리고 삽화를 제공한다.
        3,000원
        13.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ne species of the genus Ephedrus Haliday, 1833 (Hymenoptera: Braconidae: Aphidinae) is recognized in this study. The Ephedrus genus is known to 72 species worldwide. Of these, 16 species were reported in Korea. This genus is parasitic to groups of aphids and their relatives. Additionally, this genus is very similar to genus Toxares Haliday, 1840 in the morphology, but there is no difficulty in sympathy because there are certain morphological differences. In this study, Ephedrus blattnyi Starý, 1973 is recognized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Information on this species has not been widely known yet. Descriptions, diagnosis distribution and illustration are provided.
        14.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치벌과에 속하는 Helconinae아과의 Schizoprymnus terebralis (Snoflák, 1953)을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본 종의 재기재, 진단, 숙주 정보 그리고 삽화를 제공한다.
        3,000원
        1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ne species of the genus Aphidius (Hymenoptera: Braconidae: Aphidinae) is recognized in this study. The genus Aphidius is a large braconid group distributed in the European, Palaearctic and Oriental regions, which includes currently 61 species in South Korea. This genus mainly parasitizes aphids. In this study, Aphidius transcaspicus Telenga, 1958 is recognized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Historically, Aphidius transcaspicus is complexed with Aphidius collemani species complex. Descriptions, diagnosis distribution and illustration are provided.
        16.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or the physiological study on environmental impact of genetically modified (GM) pepper plant on non-target but three-trophically related insect species, we investigated behavioral responses of Aphis gossypii and Aphidius colemani in Y-tube olfactometer to the cucumber mosaic virus (CMV)-resistant transgenic pepper plant (H15 GM line) expressing coat protein gene of CMV and its wild type pepper plant (untransformed, susceptible to CMV pathotype II, P2377 inbred line) in relation to CMV infection. CMV-infected plants were prepared with the 30 min of inoculation by the winged A. gossypii viruliferous or mechanical inoculation using CMV-Fny, and with molecular diagnosis using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over 2 weeks after inoculation. In this study, time for attraction responses (attraction time) of A. gossypi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pepper strain, and the virus infection of plant. However, the attraction time of A. colemani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M plant and the non-GM plant. In addition, the attraction time of A. colemani to the GM pla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ccording to the CMV infection. For further study,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emitted by these plants were collected with an entrainment kit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GC) on HP-1 column. The specific VOCs related to CMV infection were detected in the GM plant over 4 weeks after inoculation of CMV in this study. Thus, it is suggested that VOCs of the GM plant in this study may be produced more as a signal attracting A. colemani in relation to CMV infection.
        17.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남색긴꼬리좀벌은 밤나무혹벌의 유충을 공격하는 외부기생성 천적으로 판명되었다. 남색긴꼬리좀벌의 수명은 꿀 원액을 공급한 경우 에서의 암컷성충 일이었으며 아무것도 공급하지 않은 경우 일이었다. 산란수는 에서 개체, 에서 개체이었으며 산란초기에 다수 산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알은 장타원형으로 백색이며, 길이는 이었고, 충방(gall chamber)당 1개의 알을 산란하나 중복하여 산란하는 경우도 관찰되었다. 유충은 백색이며 길이는 이었고, 암컷 용의 길이는 , 숫컷 용의 길이는 로 암컷이 수컷에 비하여 컸다. 강원도 춘천지역에서는 년 2세대 발생했으며, 월동세대 성충발생기간은 5월 하순-6월 상순이었고 제1세대 성충발생기간은 6월 하순-7월 상순이었다. 경상남도 하동지역에서는 년 3세대 발생했으며, 월동세대 성충발생기간은 5월 중순-6월 상순, 제 1세대는 6월 하순-7월 상순, 제 2세대는 7월 하순-8월 상순이었다
        4,000원
        19.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종은 밤나무혹벌의 유충을 공격하는 외부기생, 단독기생성 천적으로 판명되었으며 성비는 도입종의 벌레혹에 기생하는 경우 1:1이었다. , , 항온조건하에서 성충의 수명과 산란전기간은 온도가 낮을수록 길었다. 우화 직후 성충운 난소 내에 성숙한 알이 관찰되었으며 우화 4일 후에 피크에 달하였고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알은 장타원형으로 유배색이며, 밤나무혹벌의 유충체포위 혹은 충방내 벽에 낳았다. 산란된 후 3~5일 이내에 부화(15~22)하였으며 노숙유충의 길이는 2.79mm이었다. 유충은 이듬해 3월부터 용화하며 암컷용의 길이는 2.25mm, 수컷용의 길이는 1.89mm로 용화 초기에는 유백색을 띠나 이후에는 흑색으로 변하였다. 강원도 춘천지방에서 밤나무혹벌의 벌레혹은 4월 중순에 형성되어 5월하순까지 성장하였으며 밤색긴꼬리좀벌의 성충은 4월 상순에 우화하기 시작하여 5월 상순에 종료되었다. 본 종은 년1세대 경과하였으며 성숙유충으로 월동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