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standing of effects of changes in the particle size of the matrix material on the mullite whisker growth during the production of porous mullite is crucial for better design of new porous ceramics materials in different applications. Commercially, raw materials such as Al2O3/SiO2 and Al(OH)3/SiO2 are used as starting materials, while AlF3 is added to fabricate porous mullite through reaction sintering process. When Al2O3 is used as a starting material, a porous microstructure can be identified, but a more developed needle shaped microstructure is identified in the specimen using Al(OH)3, which has excellent reactivity. The specimen using Al2O3/SiO2 composite powder does not undergo mulliteization even at 1,400 oC, but the specimen using the Al(OH)3/SiO2 composite powder had already formed complete mullite whiskers from the particle size specimen milled for 3 h at 1,100 oC. As a result, the change in sintering temperature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formation of microstructures. As the particle size of the matrix materials, Al2O3 and Al(OH)3, decreases, the porosity tends to decrease. In the case of the Al(OH)3/SiO2 composite powder, the highest porosity obtained is 75% when the particle size passes through a milling time of 3 h. The smaller the particle size of Al(OH)3 is and the more the long/short ratio of the mullite whisker phase decreases, the higher the density becomes.
본 연구의 목적은 광전환재의 사이즈가 다른 광전환 필름을 피복한 온실에서, 실내 생육 환경, 토마토 및 상추의 생육과 품질을 분석하는 것이다. 10μm 이상의 광 전환재를 이용한 광전환 필름(Micro 필름), 500nm 이하의 광전환재를 이용한 광전환 필름(Nano 필름)과 폴리에틸렌(PE) 필름을 2중 온실의 외피복재로 피복하였다. 내피복재는 0.06mm PE 필름을 사용하였고, 내피복 재 및 외피복재의 두께는 모두 0.06mm로 동일하였다. 광전환 필름의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장율은 PE 필름과 유사하였다. 투광률은 Nano 필름이 600-750nm 및 전체 투광률에서 PE 필름보다 높았으며, Micro 필름은 PE 필름보다 전체 투광률이 낮았다. 온실 내 기온은 Micro 및 Nano 필름 온실이 PE 필름 온실에 비하여 약 2oC정도 높았고, 광전환 필름 온실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지온은 Nano 필름 온실이 Micro 필름과 PE 온실에 비하여 각각 1.5, 3 정도 높았다. 토마토의 수량은 PE 필름 온실에 비해 Micro 및 Nano 필름 온실에서 각각 12%, 14% 정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당도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광전환 필름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상추의 수량은 Micro 필름 온실이 Nano 필름 및 PE 필름 온실에 비하여 각각 27%, 59% 높았다. Hunter의 적색 값a는 Nano 필름 온실에서 가장 높았다. 토마토와 같이 높은 광을 요구하는 작물은 투광률이 좋은 Nano 필름이 적합하였고, 상추와 같이 낮은 광을 요구하는 작물은 상추는 Micro 필름이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In general, the larvae of Protaetia brevitarsis is raised on fermented oakwood sawdust. Many attempts have been to changes components sawdust, such as using other tree instead of oakwood or adding another material. Like this some study exists, about 'component' of sawdust, however little is known of relation between larval growth and quality of sawdust. The phenomenon-big particle size sawdust flows up on excrement from the larvae-is occurring in used sawdust for raising the larva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larvae and adult of Protaetia brevitarsis act according to each sawdust particle size. We conducted choice experiments with Protaetia brevitarsis, which were offered sawdust differing in particle size. Females preferred to lay their eggs on the fine particle sawdust. Also in the case of larvae, the more fine sawdust particle has the more high level of preference, and so is hatchability. Especially larvae tend to be slanted toward finer sawdust. Growth rate of the larvae was shown the highest level in the finest sawdust just as others do. These results show that fine sawdust particle size is advantage for larval development and oviposition.
본 연구에서는 폐쇄형 시스템에서 펄라이트 배지의 단점을 보완하여 상층에는 소립이나 중립을, 하층에는 대립을 사용하여 토마토의 양액재배에 적합한 펄라이트 배지의 사용방법을 구명코자 하였다. 초장, 생체중, 건물중 등 생육은 혼합배지보다 층분리한 배지에서 좋았고 층분리 처리간에는 소립새립(DP I)보다 중립새립(DP II)이 좋았다. 평균 과중은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과실수는 배지혼합 처리구의 주당 29.1개에 비해 배지의 층분리 처리구가 2∼4개 정도 많았으며, 층분리 처리간에는 소립/대립(DP I)보다 중립/대립(DP II)이 다소 많은 경향이었다. 주당 과실중 및 수량은 착과수와 같은 결과를 보여 층분리의 중립새립 처리구(DP II)가 가장 많았다. 기형과 발생률은 배지혼합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는 수량 감소의 원인이 되었다. 근활력은 정식후 50일째까지는 모든 처리에서 근활력이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나 100일째에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처리간에는 정식후 20일째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정식 50일후에는 혼합배지보다 층분리 배지가 근활력이 높았으며, 층분리 처리간에는 소립/대립(DP I)보다 중립/대립(DP II)이 다소 많은 경향이었다. 펄라이트 배지내 EC는 1.3∼1.5로 처리간에 큰 차이는 없었으나 소립/대립 처리(DP I)의 상층에서 다른 처리보다 높았으며 pH도 같은 경향이었다. 배지내의 무기성분 함량은 배지혼합 및 중립/대립 처리(DP II)에서는 상층보다 하층이 많았으나 소립/대립 처리(DP I)에서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 하층이 상층보다 많았다. 특히 소립/대립 처리(DP I)의 상층에서 칼륨, 칼슘 및 마그네슘의 함량이 높았는데, 펄라이트의 소립이 중립이나 대립에 비해 양이온 치환용량(CEC)이 높았기 때문이다.
본 실험은 토마토 양액재배에서 펄라이트 배지를 순환식 재배방법에 적용하고자 수행되었다. 펄라이트 배지의 입자를 소립(ø1∼2mm 미만), 중립(ø2∼3mm), 대립(ø4∼5 mm)으로 분리하여 양액공급량에 따른 토마토의 생육을 검토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제 3화방 개화(초기생육)시 초장은 중립과 대립에서는 양액공급량이 많을수록 길었으나 소립에서는 양액공급량에 관계없이 길어 초기에 생육관리는 대립일수록 1일 양액공급량이 많아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제 3화방 개화기 이후는 소립에서는 주당 1일 공급량을 1.5L로, 그리고 중립과 대립에서는 주당 1일 3.0L로 관리하는 것이 착과수가 많고 수량이 높았다 기형과율은 펄라이트 입자의 크기에 관계없이 양액공급량이 많을수록 적었다. 근활력은 정식 후 50일까지는 입자크기 및 양액공급량에 관계없이 증가하였으나, 50일 이후부터는 감소하기 시작하여 정식 후 100일에는 소립에서는 양액공급량이 많을수록, 그리고 중립과 대립에서는 양액공급량이 적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컸다. 소립에서는 앙액공급량이 증가할수록 모든 무기성분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중립과 대립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N. K. Ca및 Mg의 함량은 소립에서는 양액공급량이 1일 3.0L/주 처리구에서 가장 적었으나 대립과 중립에서는 1일 3.0L/주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토마토 순환식 양액재배시 펄라이트 입자는 중립과 대립의 사용이 유리하고 양액공급량은 주당 1일 3.0L 관리하는 것이 유리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micrometeorological influences on particle growth by the experimental and statistical approaches. Characteristic meteorological conditions of the nucleation event were observed, and turbulence in the PBL seemed to play a role in particle growth. The major micrometeorological factors governing particle size growth in the PBL were instability (-z/L), friction velocity (u*), Bowen ration (B), and downward shortwave radiation (RsDN) as determined by a regression model.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geographical properties including land surface cover and geomorphology have strong influence on the aerosol size growth in PB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