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portion size estimation by comparing the measurement errors of food and macronutrient intake by photography estimation and 24-hour recall from weighing method. A total of 28 female participants aged 20-24 years old were provided a meal that included rice, chard soup with soybean paste, stir-fried squid, japchae, stirfried boiled fish paste, lettuce geotjeori, and kimchi. Each portion was measured accurately, and food intake was measured using three dietary assessment methods. For the photography method, trained researchers estimated remaining food amount by analyzing photographs using a mean of four times. The measurement errors for the stir-fried squid and japchae were larger by the 24-hour recall method, while the error for kimchi was larger by the photography metho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each food, except chard soup with soybean paste, between the weighing method and photography method were 0.77~0.99 (p<0.001).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energy and intake of macronutrients between the weighing method and photography method were 0.85~0.86 (p<0.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substantially less measurement error using the photography method than the 24-hour recall method. Howev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standardize various kinds of foods, photograph angles, serving plates, and serving style for establishment of reliable and valid portion size estimation using the photography method.
        4,300원
        2.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ifferences in sugar and salt diffusion rates of cabbage depending on size and part were examined. Whole, 3x3 and 5×5 cube sliced cabbage examined indifferent pickling condition (salt 2, 4, 6, 8% and sugar 5, 10, 15, 20% brix). After 12hr storage, salt absorption depending on part was determined to be higher in leaf, followed by stem in all salt solution. Sugar distribution was also determined to be higher in leaf, followed by stem, showing same trend with salt diffusion. Salt diffusion was found to be highest in 3×3 sliced cabbage. Where as 5×5 sliced cabbage and then whole cabbage showed lower diffusion rate in all brix sugar solution. Size dependent sugar diffusion showed same tendency with size dependent salt diffusion. Also, increase in salt and sugar concentration led to increase in salt and sugar permeation rate.
        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0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에서 식품섭취 조사를 실시한 대상자 8,019명 중 19~64세 연령의 성인 대상 자 4,556명(56.8%)의 원자료를 이용하여 19~64세 성인의 상 용음식(밥류, 면․만두류, 국․탕류, 찌개류) 1인 1회 섭취분 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를 이용하여 설정된 기존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한국 성인 의 주요 상용음식의 1인 1회 섭취분량의 변화 패턴을 알아보 고자 하였다. 밥류 중 가장 높은 섭취빈도를 보인 것은 쌀밥 이었고, 1인 1회 섭취분량은 265 ㎖로 2005년 자료로부터 설 정된 250 ㎖와 유사하였다. 두 번째로 높은 섭취 빈도를 보인 것은 잡곡밥으로 3,472의 빈도로 거의 흰쌀밥에 가까운 섭취 빈도였고, 1회 1회 섭취분량은 250 ㎖였다. 면․만두류 중 가 장 섭취빈도가 높은 음식은 라면이었고, 1인 1회 섭취분량은 500 ㎖로 기존에 설정된 400 ㎖에 비하여 25.0%의 증가를 보 였다. 칼국수와 짬뽕은 2005년 설정량에 비하여 40% 이상의 감소를 보였다. 국․탕류에서는 콩나물국의 섭취빈도가 가장 높았고, 가장 높은 섭취빈도를 보인 국은 콩나물국의 1인 1회 섭취분량은 250 ㎖로 기존 설정량과 동일하였다. 상용 음식 으로 설정된 39종의 국 종류에서 기존 설정량과 항목이 일치 하는 28종 중 11종이 1인 1회 섭취분량의 감소가 보였다. 섭 취 빈도가 가장 높은 찌개류는 된장찌개였고, 1인 1회 섭취분 량은 125 ㎖로 기존 설정량(175 ㎖)에 비하여 28.6%의 감소를 보였다. 다음으로 섭취빈도가 높은 찌개류인 김치찌개의 1인 1회 섭취분량은 200 ㎖로 기존의 섭취분량(250 ㎖)에 비하여 20.0%의 감소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2010년 국민건강영 양조사 자료로부터 설정된 1인 1회 섭취분량은 밥류의 경우 큰 변화가 없었으며, 섭취빈도가 높은 주요 국과 찌개의 경우 는 감소, 면류의 경우 라면은 증가, 칼국수와 짬뽕의 경우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 성인 상용식품의 1 인 1회 섭취분량이 조금씩 변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국과 찌개류 섭취량의 감소 추세는 나트륨의 저감화 정책 차원에 서 바람직한 변화로 사료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