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북방수염하늘소 성충이 집합-성 페로몬 트랩에 유인되는 시기를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또한 집합-성 페로몬에 유 인된 개체의 난황 성숙도를 조사하여 집합-성 페로몬 트랩에 유인되지 않은 개체와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홍릉시험림 내 망실 안에 유인제인 집합-성 페로몬을 매단 다중깔때기트랩과 집합-성 페로몬을 매달지 않은 다중깔때기 트랩을 각각 1개씩 배치하고, 우화망실에서 채집한 북방수염하 늘소 성충을 우화시기별(우화 직후, 후식 1일차, 후식 7일차, 후식 10일 경과 후 교미)로 그룹화한 후 트랩이 배치된 망실 안에 방사하여 트랩에 포획 여부를 조사하였다. 각각의 시기별로 80개체(20개체씩 4반복)를 대상으로 실험하여 총 320개체를 망실 내에 방사하였다. 조사 결과, 우화 후 7일 동안 섭식한 개체들의 유인 포획률이 가장 높았으며, 교미 후에는 유인 포획률이 급격히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또한 집합-성 페로몬이 있는 경 우에만 후식 7일차 그룹의 유인 포획률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유인 포획률의 경우, 암컷이 수컷에 비해 많이 포획되긴 하였으나, 암컷과 수컷 간의 유인 포획률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화 직후와 후식 1일차에는 모든 개체에서 난황이 미성숙한 상태였으나, 후식 7일차와 교미 후에는 모든 개체에서 성숙한 난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페로몬트랩은 우화 후 초기에 후식을 통한 소나무재선충 전파가 가능하므로 소나무재선충병의 확산 억제를 막기에는 제한적일 가능성이 있다. 반면, 성적으로 성숙한 성충을 포획하고, 야외 발생을 조사 하는 등으로는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4,000원
        5.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isspeptin (Kiss) and its cognate receptor, kisspeptin receptor (KissR; G protein coupled receptor 54, GPR54), have recently been recognized as potent regulators of reproduction in teleosts. Additionally, leptin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ergy homeostasis and reproductive function in teleo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concentration of the hormones of the Kiss/KissR system and leptin and the expression of their underlying genes, all of which are involved in the sexual maturation of female goldfish, Carassius auratus, following treatment with Kiss. The expression levels of KissR increased after the Kiss injection. Furthermore, the peptide hormone leptin also increased after the injection (in vivo and in vitro). Additionally, the expression of GnRH and GTHs (GTHα, FSHβ, and LHβ) increased in the brain and pituitary (in vitro and in vitro). These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Kiss plays important roles in the direct regulation of the hypothalamus-pituitary-gonad axis and leptin in goldfish. Therefore, we suggest that Kiss system gene expression is correlated with energy balance and reproduction.
        4,000원
        6.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exual maturation occurred by the changes of steroid hormones was known to sex-dependently and/or agedependently regulate the lipid metabolism in various animal species. Our current study demonstrates that lipid and its functional fatty acids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status of sexual maturation. Of the functional fatty acids, γ- linolenic acid (GLA; 18:3n-6) is an important factor for maintaining human health.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GLA in mice with different stages of sexual maturation. To this end, the longissimus muscle (LM) of immature (3-week-old) and mature (7-week-old) female mice was analysed for the fatty acid composition by gas chromatography. Furthermore, both gene and protein level of Δ6 desaturase (FADS2) which is involved in GLA metabolism by real time PCR and Western blotting, respectively. Mature females showed greater (P<0.05) serum 17β -estradiol (E2) level and LM GLA contents than immature group. The mRNA and protein levels of FADS2, which converts precursor linoleic acid into GLA, were higher (P<0.05) in mature female mice than in immature mice.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sexual maturation of female mice induces GLA and FADS2 contents in LM.
        4,000원
        7.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8년 4월부터 10월까지 임진강과 섬진강에서 쏘가리의 산란 생태를 조사하였다. 산란에 참여하는 쏘가리 개체군의 체장과 생식소성숙도지수(GSI)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암컷은 체장 200mm 이상의 개체에서 성적으로 성숙하였고, 수컷은 체장 180mm 이상이 성숙되었다. 섬진강산 암컷의 GSI는 4월에 가장 높은 값인 7.43%를 나타냈지만, 이후 점차 감소하여 5월에 5.55%, 6월에 3.58%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다가 8월에 급격히 감소하고, 9월에 연중 최저치인 0.44%로 낮아졌다. 임진강산 암컷은 섬진강산 암컷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임진강산 수컷의 GSI 값은 암컷보다 높아서 4월 5.96%, 5월에는 8.03%까지 높아졌고, 6월 초부터 낮아졌으며, 6월말에 2.12%이었고, 9월에 0.2% 이하로 가장 낮게 나타난 후 점차 상승하여 10월에 0.54%이었다. 암컷의 생식소를 조직학적 관찰한 결과 섬진강과 임진강 집단에서 모두 GSI의 변화는 비슷하게 발달하였다. 쏘가리 위 내용물 중 어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섬진강과 임진강에서 각각 92.0%, 90.0%로 나타나 쏘가리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이었다. 쏘가리 위 내용물 중 소화가 많이 진행되어 종의 동정이 불가능한 어류의 비율이 각각 50.0%, 72.2%로 높게 나타났다. 쏘가리의 조사기간 중에 섭식율은 섬진강이 36개체로 38.3%, 임진강이 53개체로 21.8%로 매우 낮았다.
        4,000원
        8.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멸종위기에 처한 꼬치동자개(Pseudobagrus brevicorpus)의 보전과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공사육 환경에서 사육된 종묘에서 친어까지의 성장과 성성숙 특징들을 조사하였다. 부화 후 698일의 인공사육 기간 동안 전장과 체중은 각각 89.22±10.29mm와 70.93±7.68g로 성장하였고, 전장 (TL)과 체중(BW)의 관계는 BW=5×10-5 TL2.678 (R2=
        4,000원
        11.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describes results on sexual matu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natural spawned eggs to develop a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table, healthy fertilized eggs from captive-reared yellowtail kingfish, Seriola lalandi. A total of 59 yellowtail kingfish were captured off the coast of Jeju Island, after which the broodstock was cultured in indoor culture tank (100 m3) until they were 6.1–14.9 kg in body weight. As part of the rearing management for induced sex maturation,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was maintained at 130 lux. The photoperiod (light/dark; L/D) was set to a 12 L/12 D from October 2013 to January 2014, and 15 L/9 D from February 2014 to June 2014. Feeds comprised mainly EP (Extruded Pellets), with squid cuttlefish added for improvement of egg quality, and was given from April to June 2014. The first spawning of yellowtail kingfish occurred in May 3, 2014, at a water temperature of 17.0°C. Spawning continued until June 12, 2014, with the water temperature set at 20.5°C. Time of spawning was 26 times at this period. The total number of eggs that spawned during the spawning period was 4,449×103. The buoyant rate of spawning eggs and fertilization rate of buoyant eggs during the spawned period were 76.1% and 100%, respectively. The diameters of the egg and oil globule were 1.388 ± 0.041 mm and 0.378 ± 0.029 mm, respectively, which was higher in early eggs than in those from late during the spawned period.
        13.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갈색띠매물고둥, Neptunea (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의 난자 형성과정 중 난황 형성, 생식주기 및 군성숙도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관찰에 의해서 조사하였다. 초기 난황 형성 단계의 난모세포에서 골지복합체와 미토콘드리아가 지방적 및 난황 과립의 형성에 관여되었다. 후기 난황 형성 단계의 난모세포에서는 조면소포체와 다포체가 세포질 내에서 단백질성 난황 과립 형성에 관여되었다. 성숙 단계 난모세포에서 성숙 난황 과립은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