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EU의 플라스틱 규제 정책이 글로벌 환경 규제 확산에 미친 영향을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 분석 방 법론을 통해 규제 확산 과정을 시각적으로 명확히 제시하고, 규제의 중 심 국가와 확산 경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브뤼셀 효과(Brussels Effect)를 중심으로, EU의 규제가 다른 국가에 어떻게 확산되었는지 규 제 도입 시점과 국가 간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 도구로 는 Python의 NetworkX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네트워크 시각화 및 중심 성 지표 계산을 사용하였다. Degree Centrality(연결 중심성)를 통해 각 국가가 네트워크 내에서 얼마나 중심적인 역할을 했는지 평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플라스틱 규제 확산의 허브 역할을 한 국가들을 식별하였다. 또한 시간에 따른 규제 도입 경로를 분석함으로써 EU의 규제가 단일 지 역에 국한되지 않고 국제적으로 확산된 과정을 확인하였다. 특히 EU와 다른 주요 국가 간 규제의 유사성 및 상호작용이 플라스틱 규제 확산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밝혔다. 결과적으로 브뤼셀 효과는 규제 도 입과 확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Internet buzzwords, as a product of rapid societal development, are unique in
their form, meaning, and methods of dissemination and popularization. They not
only reflect societal trends and development methods but also embody the
values, worldviews, psychological states, and goals pursued by contemporary
Chinese people. These buzzwords serve as indicators of the value orientations
and expressions of the younger generation, helping to understand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society through their emergence, spread, and eventual
elimination. This paper, based on an examination of relevant materials on
buzzword research, introduces popular buzzwords from various periods, analyzing
their origins, word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It explores the inevitable
reasons behind the creation of Internet buzzwords and systematically analyzes
them to gain insight into the trends and dynamics of Chinese social culture. This
study also helps to understand the values and worldviews of the younger
generation in China, distinguishes the differences between mainstream culture
and subcultures, predicts the direction of societal development, and examines the
impact of language variation on social culture and the consciousness of its
members.
본 연구는 중국과 일본의 한류 문화 인식, K-Pop 인기요인, K-Pop 기술이용, K-Pop 이용 의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3년 8월 22일부터 9월 10일까지 중국인과 일본인 총 240명을 대상으로 서베이 몽키를 통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사 결과 첫째, K-Pop 이용 의도에 K-Pop 기술이용(β=.875), K-Pop 인기요인(β=.612), 한류 문화 인식(β=.237)이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K-Pop 기술이용에 K-Pop 인기요인(β=.713)과 한류 문화 인식(β=.207)이 영향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한류 문화 인식과 K-Pop 인기요인이 K-Pop 이용의도에 미 치는 영향에서 K-Pop 기술이용의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K-Pop 기술 이용의 매개효과(문화 인식, Z=3.583; K-Pop 인기요인, Z=9.348)를 확 인했다. 이에 본 연구를 바탕으로 K-Pop 이용 의도를 높이기 위한 제언 을 했다.
As a component of Chinese vulgar characters, the character wen (文) not only serves symbolic functions but also conveys ideographic meanings. Furthermore, its dissemination has led to the emergence of numerous Chinese vulgar characters incorporating the wen (文) components. According to the unearthed literature, the inherited literature and the extraterritorial literature, the wen (文) components exhibits more than ten functions,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symbolic function, combined symbolic and ideographic function, and ideographic function. The former two types primarily reflect its inheritance in neighboring countries, while the latter indicates its diffusion beyond the region. Overall, although the function of the wen (文) component is generally consistent outside its native the domain, it has engendered new forms of vulgar characters, thereby broadening the repertoire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se vulgar characters are not devoid of rationale. Analyzing its developmental trajectory and dissemination bears significance for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Chinese character evolution and dissemination.
유엔과 유엔 산하 기관은 ‘지속가능발전목표 현지화(SDGs Localization)’라는 용어를 매개로 초국가적 지 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에 관한 논의를 선도해 왔다.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현지화는 지역 차원의 결과로 효과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구체적인 메커니즘, 도구, 혁신, 플랫폼 및 프로세스가 포함된다. 새로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연구의 흐름은 도시와 지방정부의 자발적 지역 검토(VLR)와 많은 부분 접점을 형성한다. 도시와 지방정부는 특히 지속가능발전을 촉진하는 해법을 구현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지속가능 발전 노력에서 점점 더 많은 지방 및 지역 정부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현지화, 계획, 집행과 후속 검토 단계를 구축하기 위해 자발적 지역 검토(VLR)를 귀중한 정책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 자발적 지역 검토(VLR) 연구는 한국 도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성취도, 혁신 과제, 나아가 한국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해명하는 데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다른 부문의 사례를 통해 간접경험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고 중요한 연구 영역이다. 본 연구는 자발적 지역 검토(VLR)의 한국적 수용과 확산을 목적으로 최근 전 세계 자발적 지역 검토(VLR) 연구의 핵심 주제, 한국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할 연구 주제, 그리고 자발적 지역 검토(VLR) 정착과 확산을 위한 과제를 제언한다.
Background: Individuals with pes planus tend to overuse the extrinsic foot muscles, such as the tibialis anterior (TA) and peroneus longus (PL), to compensate for the weakened intrinsic foot muscles, such as the abductor hallucis (AbdH). Furthermore, differences in weight-bearing can affect the activity of muscles in both the intrinsic and extrinsic foot muscles. To date, no study has compared the effects of the short foot exercise (SFE) and toe spread-out exercise (TSO) on intrinsic and extrinsic foot muscle activity and the corresponding ratios in different weight-bearing positions. Objects: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SFE and TSO on AbdH, TA, and PL activity and the AbdH/TA and AbdH/PL activity ratios in the sitting and standing positions in individuals with pes planus. Methods: Twenty participants with pes planus were recruited. Surface electromyography was used to assess the amplitudes of AbdH, TA, and PL activity. Participants performed both exercises while adopting both the sitting and standing positions. Results: N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exercise and position was found regarding the activity of any muscle or ratio of the activity, except for PL activity. We observ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bdH activity during the TSO compared to the SFE,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A and PL activity between the two exercises. AbdH, TA, and PL activ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tanding position than in the sitting position. Furthermore, the AbdH/PL activity ratio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itting position, although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AbdH activity in the standing position. Conclusion: In individuals with pes planus, we recommend performing the TSO in the sitting position, which may increase the activity of the AbdH while concurrently decreasing the activity of the TA and PL, thus strengthening the AbdH.
PURPOSES : This study aimed to predict the number of future COVID-19 confirmed cases more accurately using public and transportation big data and suggested priorities for introducing major policies by region. METHODS : Predic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long short-term memory (LSTM) model with excellent prediction accuracy for time-series data. Random forest (RF) classification analysis was used to derive regional priorities and major influencing factors. RESULTS : Based on the daily number of COVID-19 confirmed cases from January 26 to December 12, 2020, as well as the daily number of confirmed cases in Gyeonggi Province, which was expected to occur on December 24 and 25, depending on social distancing, the accuracy of the LSTM artificial neural network was approximately 95.8%. In addition, as a result of deriving the major influencing factors of COVID-19 through random forest classificat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eople, social distancing stages, and masks worn, Bucheon, Yongin, and Pyeongtaek were identified as regions expected to be at high risk in the future.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predict pandemics such as COVID-19.
In countries without strong biosecurity systems, Khapra beetle, Trogoderma granarium poses a continuing threat to agriculture. Even when quarantine laws exist, the risk is greater if one of the world's most serious pests becomes introduced to imported stored grain. The rate of Khapra beetles introduced is rising sharply with increased transport, trade, travel, and tourism between countries and continents. Species identification is usually the key to success in Khapra beetle control programs. Countries that export/import grains, such as Australia, Canada, Russia, Korea and USA, must ensure that their ports, grain storage facilities, and transportation systems are free of khapra beetle. Researchers so far developed effective quarantine treatments and eradication strategies to deal with khapra beetle infestations that occur upon import at inland port. Khapra beetle introductions are likely to be impacted by a variety of factors, including trade flow and quarantine laws. In this study, we provide an overview of the current global quarantine laws, invasions of khapra beetle, and its control strategies.
Garlic mustard (Alliaria petiolata) is a species that has devastated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It is known to play a role in destroying the ecosystem. In this study, the domestic distribution of garlic mustard was confirmed and a detailed distribution map was created for the Samcheok region, where the largest population has been established in South Kore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rowth environment, life cycle, and population dynamics of the species in the Samcheok region. Garlic mustard was found in a total of 301 locations in Samcheok, with a total distribution area of 2,957 square meters. Annual plants germinated in mid-April, overwintered in rosette form, underwent vegetative growth from April 10 to April 24 the following year, and flowered from April 24 to May 7. Individuals producing seeds began to die off from June. Both annual and biennial individuals showed a trend of increasing and then decreasing in number around April 27 (118 days). Garlic mustard grew well under favorable light conditions in early spring. They showed less growth on leaf litter, short distance from roads, lower altitud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of middle and lower parts of the slope and forest edge. Without proper control measures in the Samcheok region, it is likely to spread more rapidly in deciduous broad-leaved forests along hiking trails in the Galyasan Mountains. In particular, it is more likely to extend to oak community where light enters the site during flowering than to pine community where there is less light in the site.
In the present work,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CNT) were anchored with the assistance of vinyl ester resin (VE) on the carbon fiber surfaces of conventional carbon fabrics (CCF) and semi-spread carbon fabrics (SSCF) having different areal density, ply thickness, and crimp number, respectively. Here, MWCNT anchoring means that MWCNT were physically attached on the individual carbon fiber surfaces of each fabric by coating with dilute VE and then by thermally curing it. The MWCNT anchoring effect on the interlaminar shear strength (ILSS) of CCF/VE and SSCF/VE composites was investigated. MWCNT were also simply applied (without physical attachment) to the carbon fiber surfaces of CCF and SSCF for comparison,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SSCF/VE composites exhibited the ILSS higher than CCF/VE composites, regardless of simple-applying or anchoring of MWCNT, increasing the ILSS with the MWCNT concentration. It was noted that MWCNT anchoring was effective to improve not only the interlaminar adhesion but also the interfacial bonding between the carbon fiber and the matrix due to the formation of MWCNT bridges between the individual carbon fibers of SSCF, indicating that the MWCNT anchoring effect was more pronounced with SSCF than with CCF. The result of the interlaminar property was well supported by the fiber and composite fracture topograph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vestiges of bear worship in ancient Chinese characters. It analyzes the emergence and significance of characters symbolizing bears, such as “能” (néng) and “熊” (xióng), to elucidate their connection with the tradition of bear worship. “能” is identified as a pictogram representing the bear’s body, and it is argued that the character “羽 /能” (yī) used in the bamboo texts of the Chu state is related to bear birth mythology. Additionally, the study reveals that the ancestral surname “嬴” (Yíng) of the Qin dynasty encapsulates meanings related to the bear. The research explores the potential links between the bear worship totem of the Hongshan culture and the ethnic groups of the Qin and Chu states, supporting the polygenetic theory of the formation of the Chinese nation. It particularly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the Northeast Asian civilizations beyond the monocentric theory centered around the Yellow River or the dualistic theory of the Yangshao-Liangzhu cultures. The study also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cultural connections between Gojoseon’s Dangun mythology, the formation of the Korean ethnic group, and further cultural linkages with Japan. This study comprehensively illuminates the impact of bear worship on the formation of Chinese and Northeast Asian cultures and is expected to lay a crucial theoretical foundation for constructing the methodology of “Chinese character archaeology” that integrates studies of ancient characters with ethnology, archaeology, and philology. Through this, it aims to provide deep insights into how various ethnicities and cultures have interacted to shape Chinese civilization.
Based on the experience of building ‘Waegwan(倭館)’ in Busan, Japanese paper wallpapering, the use of square rafters, and the installation of sliding windows were used in the construction of Joseon palaces from the 17th century onwards. Elements that could be applied through observation alone were applied first, and sliding windows that required precise skill acquisition were installed later. ‘Yeongchang(影窓)’, which refers to a sliding window that brightens an interior, has spread rapidly, and its types and structures have also become more diverse. Gradually, ‘Yeongchang’ came to refer only to additional windows installed by attaching grooves to the lintel of existing casement windows. The sliding window that is installed independently and acts as an interior partition was renamed ‘Chujangja(推障子)’. Japanese architectural elements such as ‘Yeongchang’ and ‘Chujangja’ have become an element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최근 외래해충의 침입과 확산의 우려가 증대됨에 따라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탐색과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이들에 대한 종합적인 시스템구축으로 신속한 탐색과 방제에 대한 방안을 구축하기 위한 시스템의 확보를 위안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침입해충에 대한 종합시스템은 내·외부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페이지, 이용자별 권한에 따른 데이터 등록 페이지와 관리페이지를 중심으로 설계되었다. 또한 서비스제공 페이지는 K-SDM 소개, 통합검색, 외래 곤충 정보(종 별 정보),외래 곤충 분포(조사통계), 외래 곤충 예측(예상 분포 및 시나리오), 정보마당(공지사항, 보도자료), 서비스 이용 매뉴얼, 사이트 맵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본 시스템의 운용을 위해 회원가입 승인을 마친 내부이용자와 외부 이용자(일반 이용자 제외)가 데이터 등록 시에 사용하는 데이터관리 페이지는 조사데이터 등록, 이전 등록 데이터 수정, 데이터 등록 매뉴얼, 데이터 열람, 필요데이터 출력과 알림, 메시지, 과제등록현황의 기능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기관 관리자가 사용하는 DB 및 시스템 관리페이지는 데이터관리, 과제관리, 종 관리, 통계관리, 예측관리, WEB 서비스관리, 이용자 관리, 기관관리를 포함한다. 각 상세 기능들의 구현에 대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시스템의 구축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과학문화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 정책 추진을 목적으로 인 천지역 과학문화의 특성을 파악하고 확산 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네이버 지도 내 등록된 인천지역의 구조물을 탐색하고 인천광역시 홈페이지 및 인천지역 8개의 구, 2개의 군을 대상으로 구·군청 공식 홈 페이지를 활용하여 인천 8구·2군의 지역별 과학문화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인프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천지역 8구·2군의 인프라 유형은 역사적 가치를 담은 박물관이 가장 많았으며 체험장, 연구소, 공단에서 조성한 공간, 교육센터, 과학관, 공원, 기업에서 운영하는 공간 순으로 구 성되었다. 특히, 기업에서 운영하는 과학문화 공간이 가장 적은 실정이며 이러한 인프라는 서구, 중구, 연수구에만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 천지역의 구・군별 과학문화 인프라의 격차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인천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발전해 왔기에 지역의 고고학적 자료, 역사적 유물, 예술품 등의 역사 문화에 관한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으며 지리적으 로도 서해와 인접하고 한강의 하류에 위치하여 168개의 크고 작은 섬과 한강과 서해로 유입되는 작은 하천, 산 등 인천만의 특화된 풍부한 자연 환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인천의 다양한 문화적 또는 지리적 특성의 자원을 체계적으로 구분하고 연계함으로써 인천광역시만의 특화된 과학 문화 인프라 자원을 활용하고 과학문화 향유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망문백자는 기면 위에 도안화된 그물문을 장식한 것으로 중국과 일본, 한국에서 제작됐 다. 본 연구는 그동안 종합적으로 조망되지 못했던 망문백자의 양식을 규명하고, 동아시아 망문백자의 제작양상과 특징을 고찰했다. 망문백자는 명 말기 수출자기 양식으로 확산됐다. 따라서 명 말기 망문백자가 유통되었던 국가들의 자료를 종합하여 살펴봄으로써 중국 망문백 자 제작 경향을 파악했다. 한편, 중국 망문백자는 주요 소비국이었던 일본에서 모방 및 변용 되었다. 일본은 경질백 자를 생산한 이래로 망문백자를 꾸준히 생산한 것으로 이해된다. 일본에서 망문 그 자체는 길상상징으로 도자기를 비롯한 공예품의 의장으로 애호됐다. 특히 도안집을 통해 널리 유포 되었는데, 이러한 도안집이 조선 19세기 이후 등장하는 망문백자 제작에 자극이 되었을 가 능성을 추정했다. 조선 후기는 백자 제작에 있어서 일본의 영향이 고조되는 시기로 대일교류 를 통한 망문백자 제작을 밝혔다. 이처럼 중국과 일본, 조선에 이르기까지 각국에서 망문백 자 제작과 수용이 각기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 점을 통해 동아시아에서 공통으로 출현하는 망 문백자의 상호 영향관계를 탐구했다.
국제사회에서 국가 간의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한 교류는 확대되고 있다. 방탄소년단의 세계적 인기로 K-culture는 지구촌 사회에서 하나의 문화 장르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방탄소년단에 의한 K-culture의 확산 효과가 중국에서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첫째, 방탄소년 단은 중국에서 한국의 대중문화가 매력적인 것으로 인식시켜 중국의 젊 은 세대에게 한국에 대한 인지도와 호감도를 높이고, 한국 문화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하였다. 둘째, 방탄소년단은 중국에서 한국의 브랜드와 문 화 제품의 인지도를 높여 한국 문화산업의 위상을 강화하도록 하였다. 셋째, 방탄소년단은 열정적인 중국 팬들을 기반으로 한국과 중국의 다양 한 문화 교류를 통해 두 국가의 우호 관계를 증진하였다. 중국에서 방탄 소년단으로 인한 K-culture의 확산 현상에 대한 논의는 중국에 대한 한 국의 문화정책 수립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 첫째, K-culture에 대한 인 력양성을 통해 한국 문화콘텐츠에 대한 선진화 및 차별화를 확보해 중국 내 한국 문화콘텐츠의 경쟁력을 강화한다. 둘째, K-culture는 중국에서 K-콘텐츠에 대한 접근을 쉽게 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과 중국의 접 근을 유연하게 한다. 그렇지만 최근 한·중 관계가 경색된 상황에서 방탄 소년단 등을 비롯한 한국의 아티스트들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양국 간의 교류와 협력에 커다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3차원 공간정보와 행정정보를 융합하여 다양한 도시문제의 과학적 해결을 지원하는 디지털트윈이 공공분야의 스마트시티와 공간정보 행정업무에 도입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분야에 디지털트윈을 확산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정보의 정책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디지털트윈에 대한 개념을 검토하였고, 언론보도 등에 나타난 디지털트윈에 대한 주요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두 번째, 디지털트윈 국가정책과 디지털트윈국토 지자체 시범사업, 공공기관의 디지털트윈 사업 특성을 고찰하였다. 세 번째, 정책 및 제도적 관점, 사업적 관점, 활용성의 관점에서 공공분야 디지털트윈이 어떠한 이슈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 도출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공공분야 디지털트윈 확산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