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the number of households with pets has increased worldwide, there is a growing trend of accepting pets as family members. Consequently, the pet food market has seen the emergence of concepts such as “human-grade,” “raw (PMR and BARF),” and “no synthetic additives” pet food. These concepts not only fulfill essential nutrients but also consider the health and habits of pets, a crucial aspect that should be at the forefront of our work. However, these types of pet food are prone to microbial contamination and component alterations caused by heat. Current studies and products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overseas to apply non-thermal sterilization technologies to pet food commonly used in the food industry. In contrast, the domestic standards for non-thermal sterilization in pet food are insufficient. Therefore, a comprehensive review of non-thermal sterilization technologies, such as high-pressure processing (HPP), radiation, and plasma predominantly applied in the international pet food market, is deemed necessary. This review is expected to provide guidelines for non-thermal sterilization standards in domestic pet food, thereby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safe production of raw pet food.
        4,500원
        4.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장에서 생육된 잔디 포복경을 이용한 Agrobacterium 형질전환에 있어서 큰 제한인자였던 곰팡이 오염을 제거할목적으로 포복경 조직에 대한 새로운 살균법을 개발하고자하였다. 여러 가지 살균방법 중에서 30% NaOCl로 15분간처리한 다음 0.1% HgCl2로 25분간 처리 했을 때 포복경절편체의 생존율이 높았으며, 0.1% HgCl2로 처리시 800mbar의 진공처리를 5분간 실시했을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또한 Agrobacterium과 공동배양 시 2.5 mg/l의 amphotericinB를 첨가해 준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가장 높은 생존율을나타내었다. AmB의 처리는 Agrobacterium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살균된 포복경으로 부터 신초의재분화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곰팡이 오염만을 효율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포장에서 대량으로 생육시킨 잔디 포복경을 이용한 Agrobacterium형질전환 시 그 효율을 증가시키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추측된다.
        4,000원
        5.
        200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느타리버섯 재배시 기존의 고압살균처리는 영세한 버섯재배 농민의 시설비나 운영면에서 비용이 많이 들어 야외 발효나 저온살균에 의한 저비용 고효율의 최적배지 선발을 위한 살균방법별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가. 배지 재료에서는 톱밥+면실+왕겨 (1:1:1)배지와 톱밥+면실+비트 (5:3:2)처리가 비슷한 경향이었고 나. 살균방법 처리에서는 고압살균(121℃, 90분) 방법보다 저온살균(50­60℃, 7일)처리가 균사배양 및 생육특성이 양호하였으며 다. 기존의 고압살균 톱밥+면실+비트(5:3:2)처리구 174g/1.5kg 대비 저온살균 톱밥+면실+왕겨 (1:1:1) 205g/1.5kg으로 18%증수되고 톱밥+면실+비트(5:3:2) 처리구에서는 207g/1.5kg으로 19% 증수되는 경향이었으나 톱밥+면실에 왕겨를 첨가하나 비트펄프를 첨가하나 유의성이 없었다. 라. 봉지 재배시 저온살균이 고압살균대비 경영비 12% 절감과 농가소득 향상에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6.
        199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모시풀의 경편과 흡지의 배양을 통하여 완전한 식물체를 대량증식하기 위하여 소독방법과 생장조절제 처리 효과에 대한 기내배양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시풀 경편 배양시 소독은 초음파세체기를 이용한 2% NaClO를 20분 동안 하였을때 오염률이 3.3%로 가장 낮았으며, 식물체도 79%가 생존하였고, 건실한 묘를 생산할 수 있었다. 2. 생장조절제 처리효과에서는 NAA(0.02mg/ )+ BA(1.5mg/ ) + GA3(0.1mg/ ) 혼합처리가 캘러스 형성이 안되고, 식물체 형성률이 96%였으며, 건실한 묘를 생산할 수 있었다. 3. 치상부위별로는 흡지보다 경편배양이, 품종별로는 개량종인 서방종보다 재래종인 보성종이 증식효률이 높았다. 4. 순화 효율은 상토 배합과 호르몬 처리에 있어서 버미큐라이트 : 모래 :황토 =1 : 1 : 1의 배합과 NAA 1000ppm을 30분간 담근 후 이식한 순화율이 99%로서 건실하였으며, 식물체는 대부분 정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