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감성 마케팅의 대표적 성공사례로 손꼽히는 스타벅스 배경음악의 음악적 특징 을 분석하여 고객에게 긍정적 영향을 주는 음악적 요소들을 밝혀내고, 기존 연구와의 차이점을 통해 배경음악의 트렌드 변화를 알아보는 것에 있다. 분석을 위해 연구자는 스타벅스 매장을 방문 하여 표본으로 사용할 91곡의 음악을 수집하였고,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배경음악 분석에 필요하 다고 여겨지는 조성, 템포, 장르, 악기 구성, 가사 유무, 발매연도 등의 음악적 요소를 분석항목 으로 설정하였다. 각 항목의 분석 결과 스타벅스의 플레이리스트는 모호한 조성과 중간 템포 이상 의 빠르기를 가진 최신 팝 음악 그리고 가사가 있는 음악들의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장조, 느린 템포, 가사가 없는 음악과 같이 고객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는 기존 배경음 악의 이론과 배치된다. 또한 올드 팝, 오래된 재즈 음악을 주로 사용한다는 과거의 스타벅스 배경 음악에 관한 선행연구와도 차이가 있다. 따라서 스타벅스 매장 음악에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 었으며, 이는 세대교체에 따른 고객의 매장 방문목적, 연령대, 음악적 취향 등을 반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음악적 요소들을 통해 스타벅스 배경음악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분석 하고, 이를 토대로 배경음악의 트렌드 변화를 살펴본 첫 시도임에 그 의미가 있다. 또한 분석에 사용된 음악적 요소들은 배경음악 연구의 새로운 이론적 기준을 제시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서남부 농촌 경관 내에서 농경지로 고립되어 있는 숲과 연속되어 있는 산림 속 숲에 서식하는 나방의 종 다양성 양상이 10년 동안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알아보았다. 농경지 주변 숲 경관에서 나방 다양성은 과거와 현재 종수는 다소 늘어났지만 개체수는 줄어들었고 산림 숲에서 출현한 나방은 과거에 비해 현재 종수와 개체수 모두 증가하였지만 두 지역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나방 개체수 증감에 날개편 길이를 이용한 나방 크기를 살펴본 결과 농경지 주변 숲에서는 관련이 있었지만 산림 숲 지역에서는 관련이 나타나지 않았다. 농경지 숲과 산림지 숲 간의 시간적 공간적 분석결과 서식지 유형과 시간에 따라 나방 군집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이러한 나방 군집 변화가 나방 크기 이외 다른 생태학적 요인과 영향을 받는지 그리고 장기적으로 어떻게 변화가 이루어지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지구과학교육 분야의 개념변화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개념변화 연구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지구과학 개념변화 연구의 경향성을 논문의 키워드, 발표 연도, 논문 출처, 연구 목적, 연구 대상, 연구 영역, 연구 방법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우리나라 지구과학교육의 개념변화 연구 논문이 처음 발표된 1989년부터 2017년 7월까지, 총 126편의 지구과학교육의 개념변화 논문이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구과학 개념변화 논문은 ‘개념변화’라는 용어를 ‘오개념’, ‘선개념’ 보다 더 많이 사용하였다. 둘째, 개념변화 논문은 2000년대에 많은 양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셋째, 개념변화는 석사 학위의 연구주제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넷째, 오개념 조사와 그에 따른 교정을 함께 다룬 연구가 많았고, 오개념 조사로는 자유응답 검사법을, 오개념 교정 방법으로는 인지갈등 수업모형과 CAI 교수전략을 주로 활용하였다. 다섯째, 초등학생 대상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여섯째, 개념변화 연구의 지구과학 영역은 천문과 대기의 비중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연구 초기에는 양적 분석 방법을 많이 사용하였지만, 2010년대에 들어서는 질적 분석 방법을 많이 사용하였다. 향후 개념변화의 연구 과제로 예비 및 현직 교사 대상의 개념변화 연구, 지질·해양·대기 등 다양한 영역으로의 연구 확대, 오개념 형성원인 파악 및 정의적 요인에 관한 연구 등을 제안하였다.
A number of trend test methods, i.e., Military Handbook test and Laplace test etc., have been applied to investigate recurrent failures trend in repairable systems. Existing methods provide information about only existence of trend in the system. In this
과거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중국에 생산기지를 대거 구축하기 시작한 것은 국내 환경변화에 대응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런 불가피한 선택으로 중국으로 진출한 우리 중소기업들이 모두 성공적인 결실을 거둔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많은 기업들이 중국 투자에서 실패를 거듭하고 있다. 이는 우리 중소기업들이 중국 투자 후 3년 이내에 청산이 높게 나타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투자결정 과정에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진 후 결정하기보다는 한 두 번의 출장으로 인건비에서의 단순 비교만을 통한 성급한 투자 결정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더군다나 중국의 투자환경 또한 중국 경제의 변화만큼이나 급속히 변화하고 있으며, 중국 시장 상황 역시 중국 현지 기업 및 글로벌 기업의 경쟁적인 진출로 세계의 공장이 되면서 거의 전 부문에서 공급과잉이 심화되고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수익이 발생하는 곳이면 어느 곳이나 복제품이 등장하고 후발업체의 새로운 진입이 급증하여 생산량이 증가하게 되며, 그에 따른 공급과잉 심화와 저가 출혈경쟁이라는 악순환은 기업들의 수익성을 지속적으로 악화시킬 수밖에 없다. 그러한 수익성의 악화로 인해 중국 시장에서 퇴출하는 기업이 속출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술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우리 중소기업들은 중국 내수시장 공략에도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고, 투자환경의 변화에 따라 노동력지향형 중국 투자 전략도 타격을 입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하겠다. 따라서 우리 중소기업들은 기술경쟁력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무조건 싼 노동력만을 찾아 다른 낙후 지역으로 눈을 돌리기에 앞서, 임가공 기지로서의 중국 투자는 한계에 봉착하였음을 빨리 파악하여야 한다. 그런 다음 한국 본사와 역할 분담하여 중국에서 제3국으로의 수출비중을 줄이고, 세계 최대 시장 가운데 하나인 중국에서의 생존을 위해 부단한 기술개발에 매진하여, 그 기술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중국 내수시장을 공략하는 것이 가장 급선무라고 하겠다. 또한 중국 투자를 준비하거나 향후 중국 진출을 고려하는 기업들은 현장답사 뿐만 아니라 진출하고자 하는 지역에 이미 사업을 하고 있는 우리 기업들을 방문하여 생생한 현장의 목소리를 들을 필요가 있다. 그리고 중국의 투자환경과 중국 정부 정책이 이미 과거와는 달리 외자기업들에게 우호적이지만은 않다는 사실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장기간 관측한 정선해양관측자료와 연안정지관측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주변해역의 수온과 염분의 장기변화경향과 수층별 상관성을 보고자 하였다. 장기변화의 분석결과 한국연안수온은 하계냉수역이 발생하는 한국남서연안을 제외하고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해수온은 동해의 경우 표층은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50m 와 l00m 수층은 하강하는 경향을 보였다. 남해의 경우 전 수층에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해의 경우 표층에서는 상승하나 50m 수층은 하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해염분은 동해의 경우 표층에서 하강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50m 수층에서는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00ml 수층 하강정도가 미미하게 나타났다. 남해의 경우 표층에서는 하강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50m 와 l00m 수층에서는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서해의 경우 표층과 50m 수층 모두 하강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층별 상관성을 보면 수온의 경우 동해와 남해에서 50m 수층과 100m 수층이 높은 상관도를 보였으나 서해의 경우 표층과 50m 수층 사이에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분의 경우 동해에서는 표층과 50m 수층이, 남해에서는 50m 와 l00m 수층이, 서해에서는 표층과 50m 수층이 높은 상관도를 보였다.
This study tries to reveal abnormal trends in climate change from 60 stations in Korea during 1981-2010 by comparisons to the standard station, Chupungnyeong station. Trends in climate change from station with the abnormalities, and their implication and causes are also discussed. Although Wando, Wonju, Mungyeong and Mokpo stations show the most abnormalities, normal trends in climate change from some climate data are also found from Mokpo station. On the other hand, some climate data from Suwon, Jeonju, Jinju, Icheon and Geumsan stations indicate the most normalities. It should be noted that variabilities of climate data are largely different, indicating that clear trends in climate change may not be extracted. The fact that some stations with the abnormalities from some climate data also show the normalities should be also noted. This study suggests that most stations with the most abnormalities may be relevant to relocation of s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