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andscape urbanism suggests direction on the method of performing landscape through a practical strategy to deal with urban problems, by using landscape as a medium. However, even though such a practical topic has been advocated, failure to resolve the differe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has been criticized. To identify the vagueness of the concept of landscape urbanism,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fferential properties of texts that appear in discourse. It analyzes the discourse on the word “landscape” and looks at the relation between texts and contexts that form the discourse from a semantic approach. The texts have been extracted from the discourse of Corner and Waldheim where their meaning and signification are derived through the contextual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the word “landscape”. In landscape urbanism, the word “landscape” has a conceptual representation of the theory, and the textual context contained in “landscape” is complex and multi-layered. The major texts related to the word “landscape” have semantic relations that have denotative and connotative meaning. The affiliation with the subject of landscape relates to the denotative meaning, and the texts related to the properties of landscape have a connotative meaning. The lexicon of the word “landscape” is a complex system, which forms its signification through emergence and self-organization. Meanwhile, the word “landscape” has the individuality of texts in complicated relations, including inevitable vagueness and contingency, which limits the study in applying and evaluating the analysis objectively.
        4,000원
        2.
        2015.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 will suggest a meta-ideology which encompasses two aspects: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It will deal with sustainable, sound, and healthy development,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promotion of culture and art. The ideology can be summarized as “Jeju, island of selective reception for protecting people and environment.” The problems regarding development on Jeju include 1) lifting designation of greenbelt areas and carrying out indiscriminate development, 2) damage from stream maintenance and coverage of rivers, 3) increase in land prices after foreign capital attraction, 4) development which heavily depends on casinos and dutyfree shops, 5) inconvenience with high traffic volume, 6) imbalance in development caused by growth pole strategy. The future strategies of conserving Jeju for making all the people happy include 1) selective closed system or selective choice system, 2) eco-systemic thinking and policies focusing on management, 3) reinvestment and circulation of development profits within the region, 4) sharing development profits, 5) embracing diversity through fostering art and culture, 6) returning to a healthy city by restoring the old downtown area, 7) limiting facilities damaging urban communities and culture, 8) decision making based on cooperation and companionship.
        4,000원
        3.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 도시는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하고 있다. 급속한 도시의 발전은 도시 내부의 환경적 문제를 가져왔으며 도시에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적 대안으로 그린웨이가 등장하였다. 선형의 녹지공간으로 불리 우는그린웨이는 도시 생태계의 중추인 그린 인프라스트럭처로써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목적 다기능의 역할을한다. 이렇게 도시를 하나의 생태계로 인식하고 자연 환경과의 유기적인 통합을 강조하는 관점은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사조와 일맥상통한다.이에 본 연구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관점으로 도시생태계에서 그린웨이가 갖는 다양한 기능과 역할에 대해 논의해보았다. 그린웨이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수평성”의 개념에 근거하여 하이브리드적 도시 경관을 창조함으로써 도시지역에건강한 거주(서식)공간을 만드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로써 그린웨이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이 실현될 수 있는 그린 인프라스트럭처로 작용한다. 특히, 그린웨이는 생태통로의 개념에서 발전한 것이기에 지역간의 연결성 및 도시 오픈스페이스와의 접근성을향상시키는 기능을 하는 도시 생태계의 유기적 구조체의 역할을 한다. 또한, 도시 환경의 변화와 생태적 교란을 방어하고여과하는 기능을 하는 그린웨이는 시간의 흐름을 반영한 “프로세스” 중심의 설계를 통해 공간의 유연성을 높여 도시 생태계의변화와 천이를 담아낸다. 이러한 그린웨이의 역할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그린웨이의 계획 및 관리 과정이 랜드스케이프어바니즘에서 제시하는 여러 영역간의 협업을 통한 “테크닉”과정으로 전략화 되어야 한다. 그렇게 될 때 그린웨이는 도시민에게다양한 여가활동을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지역적 경제성장 등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그린 인프라스트럭쳐로의 역할을다 할 수 있을 것이다.이와 같이 도시 그린웨이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관점에서 도시생태계의 다목적·다기능성 주요작동요소로써 도시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추구한다. 따라서 도시 생태계에서 그린웨이의 역할에 대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적 논의는 그린웨이가도시민의 쾌적한 거주환경을 제공하는 전략적 시스템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4,600원
        4.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실천적 주제를 통해 점차 도시화되어가는 건축의 실험적 영역의 가능성을 타진해 본다. 대표적인 랜드스케이프 건축가인 제임스 코너의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실천적 주제와 크리스트퍼 지롯과 세바츠찬 바롯의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개념간의 매스릭스 분석을 통해 시간기반프로세스, 표면의 잠재적 영역성, 실천적 방법론 상상력의 주제들이 이미 어바니즘을 넘어 건축의 영역으로 충분히 들어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전반적 랜드스케이프 개념의 트레이싱 그리고 건축적 랜드스케이프 개념간의 상호 관계를 드러내는 매트릭스 밀도를 통해 보다 세부적인 주제별 특성들과 전략들을 가늠해 볼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건축공간내 다양한 사건공간을 만들어 내는 현대건축의 주요한 공간특성을 구성하는 랜드스케이프의 전략은 외부공간으로 확대되어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으로 연속되어 건축도시공간은 거대한 사건의 장소로 강화된다.
        4,000원
        5.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epistemology of urbanism and rurality, that is, the justification of certain knowledge claims about how to intervene in understanding of urban and rural way of life and their implications to space. It is not concerned with the search for "truth" as such, but rather with the construction and presentation of knowledge as truth that subsequently lead to interpretation in the form of scholarly arguments. Rural areas vary considerably, and we define it as of a socially constructed category and so does urban as a comparative construction. As with community, rurality has been defined in widely different ways so has urbanism. In identifying and interconnecting these two concepts, we incorporate diverse western epistemologies such as empiricism and pragmatism. In addition, we heed particular attention to the intellectual history of Silhak, a philosophical ideology of Korea,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nd it's effect on social way of life encompassing the realm of rural and urban spaces. We found that Silhak is particularly useful in that it deals with substantive issu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urality and urbanism arising from the discordance between values and perceive conditions of the rural and urban way of lives. This paper argues that the epistemology of Silhak is particularly superior to those of western ideologies since it accentuates unity of spaces rather than differentiating urban and rural way of life. We concludes with demanding more studies in the field of urban and rural analyses incorporating more diverse concepts of Korean orthodox epistem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