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이츠의 “The Double Vision of Michael Robartes”는 대개 그가 쓴 A Vision의 맥락에서 분석되어지고 있다. 즉 Ellmann, Bloom, Henn, 그리고 Bornstein 같은 비평가들은 시인이 서로 대립되는 세계로 분류한 제 일 장과 제 십오 장을 합일하려는 시도에 초점을 맞추어 이 시를 해석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밝혀지지 않은 사실은 이 시는 전형적인 동양의 명상 과정을 모델로 그 구조가 이루어져있고 그 명상 의 목적은 육체나 영혼, 삶과 죽음, 그리고 움직임과 정지와 같은 서로 대립되는 세력의 조화로운 합일 뿐 만 아니라 동양과 서양의 합일이라는 예이츠의 정치적의식도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그가 그의 여러 글에서 주장했던 유럽과 아시아의 합일의 꿈이 자비를 의미하는 동양의 상징인 부처와 지성을 의미하는 서양의 상징인 스핑크스의 합일이라는 형식을 빌려 서서히 드러나기 시작했으며 이것으 로 우리는 그가 민족주의의 한계를 느껴 서서히 민족주의자에서 세계주의자의 의식으로 전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의 대부분의 시가 그렇듯이 동양과 서양의 결혼의 가능성에 대한 언급은 있지만 그것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지에 대한 시인의 명확한 대답은 유보되어 있는 형편이다. 이는 예이츠가 평생을 바쳐 풀려다 결국 풀지 못한 초월세계에 대한 의구심 때문이 아닌가 한다.
실제 구조물에 있어 확률, 통계 및 이론으로 구해진 랜덤성을 갖는 객관적 불확실성뿐만 아니라 설계자의 경험이나 공학적 판단에 의해 주관적으로 평가되는 인간오차나 시공중의 과오 또는 구조설계에 미치는 사회적, 정치적 및 경제적 요청 등의 퍼지성을 갖는 주관적 불확실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랜덤성과 퍼지성을 동시에 고려한 실뢰성평가 즉, 안전성평가에 대한 퍼지이론의 도입이 필수 불가결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구조물의 객관적주관적 불확실성을 동시에 고려한 신뢰성해석방법으로 베이즈의 의사결정이론에 퍼지이론을 병합한 퍼지-베이즈 신뢰성해석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건축구조물의 신뢰성평가 및 안전성평가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Modernism is not a rejection of the mass culture but rather an effort to produce a mass culture, perhaps for the first time, to produce a culture distinctive to the twentieth century, which Le Bon called “the era of the crowds.’ The conservatives who followed him, developed a different idea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aristocracy that built culture and the masses. Yeats viewed the theatre as a potential means of mobilizing and nationalizing the masses, something he recognized any successful nationalism in the age of mass politics must do. His wish to nationalize the masses led him to cast the playwright and stage as magicians with the power to transform the audience as Cathleen transforms Michael in Cathleen Ni Houlihan. Le Bon’s vision is very similar to Pound’s and Yeats’s: they all defined the goal of social change and of their art as the producing of a deep wave from the unconscious. Pound’s “In a Station of the Metro” is about a crowd. A wet, black bough is a restored cultural center that will hold together the chaotic small waves now agitating society. Modernism was an effort to write based the unconscious mass.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political aspects of Yeats's plays, and, for that purpose, four of his major plays are selected and analyzed: The Countess Cathleen, Cathleen ni Houlihan, The Dreaming of the Bones and Purgatory. In the introductory part, the present writer briefly surveys the ways how Yeats, finding in drama an effective means of achieving the unity of culture for Ireland, dedicated himself to the dramatic movement and related activities. The next and main part of the paper examines the selected plays, paying attention to the political themes and the other political elements specifically revealed in these plays. The early two plays, The Countess Cathleen and Cathleen ni Houlihan, show the rare and sublime cases of sacrifice and devotion directed toward the cause of Irish independence and wellbeing by creating two characters, an aristocratic lady who sacrifices her life and soul to save the starving peasants and a young man who rushes to the heroic death for Irish independence leaving behind his new bride and home. While The Dreaming of the Bones asks the political and historical meaning of the two most important events in Irish history: the Diarmuid and Dervorgilla episode of the 12th century and the EasterRising of 1916, Purgatory deals with the political and social implications of the destruction of an honored house caused by mesalliance. To the extent that both of these middle and late plays end in a tragic note of unforgiving bitterness and hatred, they can be regarded as the aesthetic expression of the real political and cultural situations of Irish society at the time of their writing. What this paper is trying to say as a conclusion is that the four plays discussed here reveal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positions of Yeats as they developed in his early, middle and late years of life. In other words, they reveal the specific ways in which Yeats as an Anglo-Irish poet and playwright tried to solve the problems and contradictions he faced in the changing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of Ireland.
예이츠 비평가들은 예이츠의『갈림길』(1889)을 주로 영적인 측면의 화합을 추구하는 작품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1948년 리차드 엘만이 예이츠의 시는 궁극적으로 화합된 의식을 좇고 있다고 갈파한 이래 이 말은 예이츠 비평의 정석처럼 되어 버렸다. 많은 학자들은 비록 왜 예이츠가 영적 화합을 그토록 갈망하는 지에 대한 이유에 대해서는 각기 다른 설명을 제시하고 있지만 그가 『갈림길』에서 영적 화합을 추구하고 있다는 사실은 부인하지 않고 있다. 1996년에 발표된『예이츠와 연금술』에서 윌리암 고르스키는 아직도 예이츠의 영적 화합의 추구에 대해 다른 결론을 내리기가 힘들다고 결론 짓고 있다. 이러한 결론은 결국『갈림길』의 일부의 시만 다룬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즉, 예이츠 학자들은 주로 이 시집의 전반부의 시들만 다루고 후반부의 시들 즉, 몰 메기의 발라드 , 여우사냥꾼의 발라드 , 등과 같은 시들은 언급을 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학자들의 이러한 접근 방법 및 결론이 전적으로 그르다고는 할 수 없지만 나는 이 논문에서 『갈림길』을 영적 화합의 추구로만 보면 예이츠의 의도를 부분적으로만 이해하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싶다.『갈림길』의 의도는 이 시집에 수록된 총 16 편의 시의 의미와 그 시들의 유기적인 관계를 잘 분석하여 결론을 지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시들은 일정한 원칙 하에 배치되어 있는데 그 원칙을 살펴보면 각기 8 편의 시가 한 그룹을 형성하도록 되어 전부 두 그룹이 만들어져 있다. 처음 그룹의 시들을 살펴보면 은 각각의 시가 동과 정, 이상과 현실, 순간과 영원 같은 반대의 요소들로 균형을 이루고 있고 두 번째 그룹의 시들은 공과 사, 과거와 현재, 카톨릭과 프로테스탄트, 상류와 하류, 그리고 연방주의자와 분리주의자 같은 반대의 요소로 균형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첫 번째 그룹은 영적 화합을 추구하고 있으며 이 의미는 우리가 아는 대로 동과 정의 두 반대 요소가 다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이 두 요소가 잘 조화를 이룰 때 우리의 영적 해방이 이루어진다는 종교적인 메시지가 담겨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똑같은 원리를 두 번째 그룹의 시에도 적용해야 하며 그 의미는 카톨릭과 프로테스탄트 같은 적대 세력이 서로 화합해야 아이랜드에 진정한 평화가 온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반된 두 요소 즉 영혼과 육체, 사랑과 미움을 모두 받아들이는 것이 새로운 자아 형성을 위해 필수적이듯이 상류층과 하류층, 연방주의자와 분리주의자들 모두를 받아들이는 것이 새로운 아이랜드의 건설을 위해 좋다는 것이다. 정확하게 말해서, 갈림길은 아이랜드의 정치적 분열을 치유할 수 있는 화합의 모델을 종교적인 개념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예이츠와 히니 모두 노벨 문학수상자로서 아일랜드를 문화관광국으로 만든 공로가 인정되는 작가들이다. 이들이 이렇게 아일랜드를 문화 강국으로 만들 수 있었던 것은 민족 정체성확립의 강한 의지로 아일랜드 고유문화를 발굴했고 아울러 자신들의 고유문화에 영어와 영국문화를 접목시켜 세계화를 도모했기 때문이었다. 아일랜드 현대 문학은 정체성추구의 단계에서 지역화와 세계화를 함께 추구했다. 그런데 이 과정은 크게 다섯 단계로 요약될 수 있다. 그 첫 번째가 오스카 와일드, 버나드 쇼우에서 보여진다. 즉, 영국인과 영국가치를 패로디 하면서 영국인 보다 더 영국적인 행세를 하려는 단계이고 두 번째는 민족주의가 강화되는 시기에 영국 민족주의를 모방하는 단계이다. 세 번째는 이제까지 진행된 민족주의와는 다른 방식으로 민족의 특성과 양심을 추구하는 단계이고, 네 번째 단계는 민족주의와 세계화가 함께 추구되는 단계, 그리고 마지막 단계는 얼스터 사태 때문에 민족주의가 강화됨과 아울러 유럽공동체의 일원으로서 보편적 다원성 역시 확장되는 시기다. 그런데 예이츠는 두 번째 단계에 속하고 히니는 마지막 시기의 특성을 나타낸다. 히니의 중기 이후의 시들은 히니 자신 몰두 에서 밝힌 것처럼 예이츠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이 두 작가는 그들의 국토와 전통에 애착을 나타낸 민족작가로서의 역할과 정치성을 벗어나려 했던 면에서도 공통점을 보였지만 이들에게는 많은 차이점이 드러난다. 이 들의 차이점은 국토를 다루는 시를 살펴보거나 아일랜드 문학의 특성을 논 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역사와 국가, 언어, 문화에 대한 두 작가의 해석을 고찰하면 잘 나타난다. 예이츠는 보라빛 환상의 국토를 그린 반면 히니는 검은빛의 상실되고 착취 된 국토를 그렸다. 역사적 폭력에 대해 예이츠의 해석은 매우 개인적인 정서를 노출시킨 반면 히니는 착취의 역사와 영국인이 강요했던 나약한 아이의 이미지로부터 벗어나려는 사실적, 공격적 시각을 노출한다. 예이츠의 시학은 빅토리아 속물주의를 공격한 19세기 심미주의의 전통을 따르 며 영국적 가치를 들어낸 반면 히니의 시학은 조이스식의 새로운 양심 창조라는 민족주의와 페트릭 카바나흐식의 지역주의, 아일랜드 공화주의와 역사적 사실주의 의 색깔을 표방하고 있다. 예이츠 하면 ‘귀족’, ‘big house’ 등을 연상하게 되고 히니하면 ‘방랑자’, ‘폐허’ 를 떠올리게 된다. 결국 이 두 작가의 큰 차이는 앵글로 아이리시와 카톨릭, 켈트 라는 인종, 정치, 종교적 차이에 따른 것이고 이 두 작가는 현대 아일랜드 문화의 두 개의 주요한 조류를 대변했다. 그러나 예이츠, 히니로 대변되는 두 문학 조류는 그 차이에도 불구하고 탈영국 화와 아일랜드 문학의 세계화에 공헌했다. 예이츠의 시학은 보편성을 띤 개인적 문체로써 히니의 시학은 중심과 전통추구, 영국적 가치에 대한 저항과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을 나타냄으로써 탈영국화와 세계화에 공헌했다.
이 논문은 정치망에서의 어군의 입망상태를 원격으로 감시하기 위하여 개발한 디지털 원격 어군 탐지기의 구성과 실험 결과에 대하여 기술한다. 그 원격 어군탐지기는 해상국와 육상국으로 구성하였다. 전자는 50 kHz의 초음파 송수신부, 자작한 16비트 싱글보드컴퓨터, 데이터 링크용 무선모뎀으로 구성하였다. 싱글보드컴퓨터는 초음파펄스 송신용 트리거 신호, 최대탐지거리, A/D 변환기의 샘플링 간격, 데이터 링크를 제어한다. 에코 데이터의 샘플링 간격은 80μs로 하였다. 후자는 해상국과 동일한 무선 모뎀, 에코그램을 표시하고 그 때의 raw data를 저장하는 노트북 컴퓨터로 구성하였다.필자는 시험 제작한 원격 어군탐지기의 실용성을 확인하기 위한 현장 실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에코그램은 정치망내의 어군행동을 감시하기에 충분하게 양호하고 명료하였다.
대형정치망에 있어서 등망을 중심으로하여 헛통으로부터 제1원통에 이르는 방어어군의 이동행동은 1992년 11월 9일부터 11월 13일까지 일본국 석천현 칠미시 연안에 있는 안단 정치망어장 3호망에서 스케닝 소나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등망의 어획기능에 관해서 분석, 검토하였다. 이상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방어어군의 출현은 헛통에서는 오전중, 제1원통에서는 오후에 가장 많이 볼 수 있었고, 망내에서의 체류시간은 길었다. 2. 등망을 통과하고 있는 어군의 규모는 헛통 및 제 1원통에 체류하는 어군보다 작았고, 이는 어군의 형상이 변하면서 등망을 통과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3. 등망으로 향한 어군중에서 제 1원통에 입망하는 어군의 비율은 24%이고, 제 1원통에 내등망으로 향한 어군중 헛통으로 도피하는 어군의 비율은 27%였다. 이는 외등망의 구조가 원통으로 유도하는 기능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고 내등망의 구조는 출망을 저지하는 효과가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4. 정치망의 어획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군의 입출망시각에 맞춘 양망작업이 필요하다. 조사기간중의 원통에 축적된 어군수로부터 그 다음날 아침의 양망은 시장유통과 노동력부족의 문제를 고려하여 적당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The moving behaviour of Yellowtail Seriola quinqueradiata schools in the main-net of a large scale set-net was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catching function of the funnel-net by a scanning sonar. The investigation was took place in the Kishihata set-net fishing ground located in Nanao city Ishigawa prefecture, Japan from Nov. 9 to Nov. 13, 1992. The obtain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Fish schools showed the greatest number at the playground in the morning and at the bag-net in the afternoon. The fish schools remained long time in the main-net. 2. The rate of fish school through the funnel-net was smaller than that of fish school which is though the playground and bag-net. Because the Yellowtail school changed the shape of school in passing the funnel-net. 3. The rate of entering the bag-net was 24%, among the fish school heading to the outer funnel-net. But, the rate of escaping to the playground was 27%, among the fish school heading to the inner funnel-net. It seems that the structure of the outer funnel-net was not enough to lead the fish to the bag-net.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inner funnel-net was very effective at preventing escape. 4. It is appropriate to haul the net in the morning in considering the number of accumulated fish in the bag-net during the survey.
예이츠의 학교 어린이들 사이에서 (1927)와 파운드의 빌라네레: 심리적인 시간 (1916) 은 모두 장소의 개념을 시의 주제와 연결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두 시인이 모두 외부경치의 묘사로 서두를 장식하는 낭만주의 명상시의 영향 아래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두 시인이 사용한 장소의 개념과 각 시의 주제를 연결시켜 보면 두 시인의 다른 성향을 알 수 있다. 먼저, 학교 어린이들 사이에서 에서 예이츠가 사용한 교실은 생로병사 같은 인간의 한계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며 그 새장 혹은 감옥의 좁은 방과 같은 한계성을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이 시의 주된 관심사라고 할 수 있다. 이 시의 마지막 시구 (“춤과 춤추는 이를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 것인가?”)는 비록 학자마다 그 해석을 달리하여 아직도 논란이 있는 게 사실이지만 나의 소견은 예이츠가 추구해온 합일의 신비적인 힘을 결정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해석하고 싶다. 즉, 처음에 설정된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는 길은 합일의 힘 뿐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인간의 주관적인 힘에 더욱 더 무게를 두는 낭만주의의 전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한편, 파운드의 빌라네레: 심리적인 시간 은 집의 묘사로 그 서두를 장식하고 있는데 우리는 그 집이 화자의 시각 (주관적인 관점)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장소의 선택으로 인간이 필연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주관의 한계(집의 내부에서 밖을 보는데는 분명한 한계가 있음으로)를 극복하게 하려는 파운드의 치밀한 계산이 깔려있는 것이다. 파운드의 방법은 객관적인 시각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래서 보다 다양한 관점을 유지하여 주관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것이 다. 그러나 이 시에서는 파운드가 기다리고 기다리던 객관적인 관점은 이루어지지 않고 주관적인 관점의 한계만 드러낸 채 끝을 맺는다. 이는 예이츠와는 달리 파운드는 주관적인 힘 그리고 인간의 상상력의 힘에 대한 한계를 인정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예이츠의 상상력에 대한 동경으로 시를 쓰고 그에게 인정받으려고 노력했던 파운드가 이제는 예이츠의 시적 노선에 대해 조금씩 거부반응을 보이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예이츠가 그 자신을 마지막 낭만파 시인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파운드는 이 시를 기점으로 이후에 보다 주관이 배제된 형식으로 객관적이고 사회적, 그리고 정치적인 시들을 발표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시가 시인의 내적세계라는 좁은 울타리를 나와 보다 이 사회의 발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파운드의 시학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옥천대의 남서대와 영남육괴의 북서 경계부에 대략 평행한 2열로 분포되어 있는 전주 및 순창 엽리상화강암류의 근원마그마의 분화과정 및 성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양 암체의 암석학적 및 지화학적 특성을 비교, 고찰하였다. 주성분 원소의 분석결과는 전주 및 순창엽리상화강암이 암석화학적으로 퍼알루미나 또는 칼크알칼리 계열에 속함을 보였으며, 기존의 화강암류 성인에 대한 I/S형 및 자철석/티탄철석 계열의 분류기준을 적용할 경우 비록 원소화학적으로는 I-형과 자철석 계열이 우세한 경향을 보이지만 일관성있게 분류되지 않는 특성을 보였다. 주성부 원소의 분석결과에 의한 CIPW norm 조성에서, 전주암체는 분화가 진행됨에 따라 화강섬록암에서 화강암으로 진화되는 반면, 순창암체는 화강섬록암에서 석영몬조섬록암으로 진화되는 특성을 보였다. 이는 양 암체가 지각물질과의 동화 혹은 결정분별과정 등을 포함하는 마그마 진화의 후기 과정에서 서로 상이했음을 시사한다. 전주 및 순창암체의 희토류원소 분포형태는 양 암체 모두에서 Eu(-) 이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LREE가 HREE에 비해 극도로 부화된 경향을 보여 서로 매우 유사했다. 이러한 희토류 원소의 분포형태는 우리나라의 선불국사 화강암류에서 보여지는 공통적인 희토류원소의 분포형태와 유사한 것이다. 이상의 결과들은 전주 및 순창엽리상화강암이 그 조성에 있어 서로 유사한 근원암 즉, 화성암질 조성을 갖는 대륙지각의 부분용융에 의해서 형성된 마그마를 기원으로 하고 있으며, 서로 유사한 마그마 분화정치과정을 거쳤음을 시사한다.
제주도 연안 정치망어장에 다량 내유아여 어획되고 있는 전갱이,고등어, 오징어를 실험어로 하여 백열등에 의한 어군의 유집효과와 어군의 유도 효과에 관한 실험을제주대학교 해양연구소 옥외 수조에서 실시한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백열등에 대한 전갱이, 고등어, 오징어 어군의 행동은 백열등에 잘 유집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백열등에 대해서 유집하는 적정조도와 반은행동은 어종에 따라 조금씩 다른 경향을 보였다. 2. 유도등을 한 등씩 순차적으로 점등후 소등하는 방법에 의한 전갱이, 고등어, 오징어어군의 행동양식은 어종에 따라서 약간 다르지만, 이들 어군을 목적지까지 유도할 수 있었다. 3. 유도등 3개를 모두 점등한 후 1번 등부터 순차적으로 한 등씩 소등하는 방법에 의한 전갱이, 고등어, 오징어 어군의 행동양식은 어종에 따라서 약간 다르지만, 이들 어군을 목적지까지 유도할 수 있었다. 4. 백열등의 이동에 의한 전갱이, 고등어, 오징어 어군의 행동양식은 어종에 따라서 약간 다르지만, 이들 어군을 목적지까지 유도할 수 있었다.
우리 나라 남해안 연안에 부설된 소형정치망을 실험 수조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그 의 1/50의 크기로 Tauti의 어구 비교법칙에 따라 모형어구를 제작하여 유향 R(원통에서 헛통방향으로).L(헛통에서 원통방향으로)방향과 각각의 유속에 따라 그물 형상의 변화, 각 뜸의 침하량, 멍줄 장력의 변화 들을 측정,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그물형상의 변화는 유향 R의 경우 유속 0.2m/sec에서 헛통 끝그물이 조하쪽으로 20mm, 상방으로 10mm 이동어구 전체가 바닥으로부터 부상하였고, 유속 0.6m/sec에서는 원통에서 헛통 까지 거의 일직선을 이루었다. 유향 L의 경우는, 상방으로 18mm 이동하여 어구 전체가 바닥으로부터 부상하였고, 유속 0.5m/sec이상에서는 헛통에서 원통까지 거의 일직선을 이루었다. 2. 긱 뜸의 침하량은 유향 R의 경우 머리뜸은 유속 0.2m/sec부터 서서히 침하하시 시작하여, 유속 0.3m/sec에서는 20mm 정도 침하하고, 유속 0.6m/sec에서는 99mm 정도 침하하였다. 그러나, 끝뜸은 유속 0m/sec부터 0.6m/sce까지 침하하지 않고 약간의 요동만 일으켰다. 유향 L의 경우 끝뜸은 유속 0.1m/sec에서부터 서서히 침하하기 시작하여, 0.2m/sec에서는 5mm정도 침하하였고, 0.6m/sec에서는 108mm 정도 침하하였으며, 0.5m/sec에서 머리뜸만 남기고 어구전체가 수몰되기 시작하였다. 3. 멍줄 장력의 변화는 유향 R의 경우 머리뜸 멍줄에 작용한 장력은 유속 0.1m/sec에서 273.51g이며, 0.6m/sec에서는 1298.40g 정도로 증가하였다. 유향 L의 경우 한쪽 끝뜸줄에 걸리는 장력은 유속 0.1m/sec에서 137.08g이며, 0.6m/sec에서 646.00g 정도로 증가하였다. 멍중 장력의 분포는 유속의 증대와 함게 유향 RL 향 모두 조상측 멍줄에 집중하여 나타났으며, 다른 멍줄에는 현저한 장력의 증가는 관측되지 않았다.되지 않았다.
연얀 내만에서 행해지고 있는 양식어업, 정치망어업 등의 생산과 관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기초 쟈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어류의 서식환경과 분포상태를 원격으로 측정할 수 있는 원격계측 시스쳄을 구성하여 1995년 10월부터 1996년 5월까지 경남 통영시 산양면 육삼양어장에서 시스템의 기능, 수온.염분과 어군행동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해양환경정보 원격시스템 해상국의 정보송신 테이터 모뎀의 기능은 원활한 작동을 하였으며, 육상국에 설치한 정보 수신용 노트북에서의 Quick BASIC 통신 프로그램의 작업은 정밀도가 높아 수온과 염분의 환경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원격 계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2. 실험 수역 축양조내에서의 4월~6월사이의 5m와 10m층의 평균 염분 농도는 34.2‰,34.4‰로 10m층이 녹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4. 축양조내 시험어 우럭(체장 25cm)의 평균 유영속도는 0.60m/sec로 체장대비 약2배의 빠르기를 나타내었고, 주간과야간의 평균 유영속도는 각각 0.60m/sec, 0.62m/sec를 나타내어 주간이 약간 보다 빠른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같은 기간 내에서의 5m층과 10m층의 평균 수온 변화 폭인 0.3℃이내의 수온변화에서는 상관성을 발견하기 어려웠다. 5. 어군의 수직분포 변동이 가장 뚜렷했던 시간은 일출몰 전후였으며, 일몰을 전후하여 부상한 어군을 야간에는 주로 표층 가까이에 분포하고, 일출 40분전부터 하강하기 시작하여 일출과 함께 어군을 3m이하의 수심에 분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양어장내에서의 수온, 염분등의 환경정보의 어군의 원격계측을 동시에 측정하여 고정도의 측정자료를 얻을 수 있음은 확인할 수 있었으나, 환경정보와 어군과의 정밀한 상관관계는 또 다른 환경요인에 대한 실험을 행하여야 규명도리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