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th increasing concerns of organic micropollutants, which are not removed by conventional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AOPs) are recently introduced. Among AOPs, electrochemical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EAOPs) have advantages of simple operation and reasonable costs for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However, low diffusion rate of pollutants from solution to electrode is regarded as a limitation. In this study, hollow fiber type of carbon nanotube (CHF) was fabricated and operated with flow through system to enhance mass transfer rate. The removal efficiency of BPA was achieved in following order: flow through, cross-flow, and batch methods. In addition, rate of removal in flow through system was significantly enhanced, comparing that of cross-flow operation.
Based on travel literatures written by the Joseon literati, the different picture of seventeenth- and eighteenth-century Buseok monastery from the one today emerges. Not only do the buildings removed from the monastery today reappear, but the quite different way of the monastic operation comes to light. This observation leads to a speculation that the monastery was functionally and spatially divided into two territories; that of the Immeasurable life hall and of the Dharma hall. The Immeasurable life hall's precinct was built at the site open to the west providing a grand vista of mountainous area. This siting, originally having a close relation with the visualization such as the Sixteen contemplation, not simply gave such a special attraction that the first built architectural composition has lasted through the centuries to the late Joseon, but also granted to the Chwiweon pavilion located at the western side of the precinct a special meditative quality. As the monastery has suffered from a number of heavy duties in the Joseon period, the architectural attraction of the precinct was mobilized to promote the monastic identity as the legitimate monastery first built by Uisang, the founder of Hwaeom Buddhsim. Especially, the Chwiweon pavilion offered a mental space so that the literati might form an affirmative attitude toward the monastery and the monks. The Dharma hall's precinct was built based on the direct replication of the architectural layout presented in liturgy books for the Water and Land rite as well as the Vulture Peak rite. This layout is generally called the Court-type enclosed by four buildings, which has been widely fashioned in the late Joseon period. This characteristic gave to the Dharma hall precinct an arbitrary and anonymous quality, which helped not only avoid the tourism of the literati, but also secure the sacrality and ritual efficacy at occasions of Buddhist rites. This division of territories of the monastery can be understood as the strategic reaction from the monks in order to survive in the age of oppression against Buddhism. In result, the identity of Buseok monastery in the late Joseon was established as the Nine-rank sanctuary where Bodhisattvas permanently resided.
맛버섯(Pholiota nameko)은 일명 나도팽나무버섯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봄부터 가을에 걸쳐 활엽수의 고목, 죽은 가지, 그루터기 위에 다발 발생하는 목재 갈색 부후성 버섯이며, 한국, 일본, 중국, 북아메리카 등 북반구 일대에 분포한다. 분류학적으로 주름버섯목(Agaricales), 독청버섯과(Strophariaceae), 비늘버섯속(Pholiota)의 일종으로 갓표면에는 인피와 점성이 있어 “나메꼬“라는 명칭이 유래되었으며, 일본에서는 4번째로 소비가 많이 이루어지는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이는 버섯으로 암세포 억제율은 86.5%로 신령버섯, 상황버섯 다음으로 식용버섯 중 가장 높은 항암력을 갖고 있다. 본 시험에서는 국내외에서 수집한 맛버섯 29계통에 대하여 균사배양 특성 및 병재배시 자실체 특성을 검정하여 수량 및 품질이 우수한 JNM- 19005등 12종을 1차로 선발한 후 선발된 12 계통의 단포자 분리 및 교배를 하여 4,200개 조합을 얻었으며 자실체 발생 유도를 통해 생육과 수량성이 우수한 우량균주 50계통을 선발하였다. 추가 특성 검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JNM 19005 와 JNM 19029와의 교배계통인 JNM-08-M-1630을 우량계통으로 선발하여 새로운 품종 ”금작“을 육성하였다. 주요 특성으로는 자실체 발생형은 송이형, 균사생장 최적온도는 25℃, 자실체 발생및 생육 온도는 12~18℃, 850㎖ 병재배시 균사배양기간은 전배양 14일, 후배양 49일, 발이 및 생육기간은 17일로 총 재배 기간은 80일이었다. 갓 단면의 형태는 얕은깔때기형, 갓의 색깔은 진갈색, 대의 길이는 6.7cm, 갓 직경은 1.6cm의 자실체 특성을 가졌으며 유효경수는 병당 99개로 많았으며, 수량은 164.8g이었다.
목이는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는 다량의 야생버섯이 발견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여름에서 가을에 뽕나무, 졸참나무 메밀잣밤나무, 수유나무 등의 고목에서 군생한다. 목이의 종류는 크게 나누어서 목이목 목이과 목이속에 속하는 목이(Auricularia auricula)와 털목이(Auricularia polytricha)가 있고, 흰목이목 흰목이과 흰목이속에 속하는 목이(Tremella fuciformis)가 있다. 본 시험에서는 국내 재배 초기인 목이버섯의 대량 재배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목이버섯과 털목이버섯의 균사배양조건, 배지 조성에 따른 생산성을 연구하였다. 배지조성별 목이버섯(JNM21002) 균사생장속도를 조사한 결과 균 밀도가 높고 생장속도가 빠른 배지조성은 포플러톱밥 40%+참나무톱밥 40% +미강 20%였다. 목이버섯 균사생육에 좋은 배지수분함량은 59%이었으며 수분함량이 낮으면 균밀도는 낮지만 생장속도는 빠르고, 수분함량이 높으면 균밀도는 높지만 생장속도가 느렸다. qowlwhtjddp 따른 목이버섯 봉지재배(1.5kg)의 배양기간은 67~80일이 소요되었고, 배양기간이 가장 짧고 수량성이 높았던 배지조성은 포플러 톱밥 80%+미강 20%로 3주기 수확 총435g/1,500g으로 회수율 29%였다. 털목이버섯(JNM21001)봉지재배시 배지조성별 배양기간은 61~68일로 목이버섯에 비하여 비교적 빠른다. 목이버섯은 수분함량 93.5%, 두께 23mm, 개체중 41.2g으로 섭취시 미끈하고 부드러운 느낌이지만 털목이버섯은 수분함량 84.6%두께 2.9mm, 개체중 35.5g이며 뒷면에 융단모양의 털이 있어 질감이 거칠지만 목이버섯에 비하여 탄력성, 씹힘성이 좋았다. 배양기간 단축을 위한 종균접종방법별 시험결과에서는 액체 종균 접종시 배양기간은 3일정도 빨라졌지만 톱밥종균에 비해 오염율이 10% 이상 높아지는 부분은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목이는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는 다량의 야생 버섯이 발견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여름에서 가을에 뽕나무, 졸참나무 메밀잣밤나무, 수유나무 등의 고목에서 군생한다. 목이의 종류는 크게 나누어서 목이목 목이과 목이속에 속하는 목이(Auricularia auricula)와 털목이(Auricularia polytricha)가 있고, 흰목이목 흰목이과 흰목이속에 속하는 목이(Tremella fuciformis)가 있다. 자실체는 지름 3~12 cm로 종형~귀형이며 젤라틴질이다. 식용버섯이며 중국요리 특히 잡채요리에 많이 사용되며, 목이의 식품적 가치는 특유의 맛과 향이 있고 씹는 질감이 좋으며, 건조가 잘되어 버섯이 변질되지 않고 보관과 저장성이 강한 장점이 있으며, 단백질이 11.3%, 칼륨 1,200 mg, 인 434 mg, 철 및 칼슘이 많으며, 각종 비타민의 함량이 높다. 맛은 담백하고 중국요리에는 없어서는 안 될 재료이며, 예로부터 불로장수약으로 사용되었고 또한 한방에서는 영양, 강장, 폐결핵치료 등 그 용도가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생목이 버섯의 시장을 확대하고 국내 생산 자급화 추세에 따라 국내 목이 고유품종과 육성계통 확보, 재배품종 다양화에 기여하고 하였다. 목이버섯 균주는 총 51균주를 수집하였으며 자실체 색깔과 표면에 털 유무에 따라 흑목이, 털목이, 갈색목이, 흰목이 4종류로 분류하였다. 균사는 대체적으로 온도는 25℃, PDA배지보다 MCM과 YM, pH6~7에서 잘 자랐다. 생육특성 조사결과 JNM 21012 수량이 268.0g/1.5kg 로 높고 개체수가 가장 많았으며 털목이 종류였다. 총 51균주 중 배양특성과 자실체 생육이 좋아 수량이 우수한 갈색, 털, 흑목이 7종을 교배 모본으로 최종 선발하였다.
팽이버섯 생산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한번 사용한 배지의 적정 혼합비율을 구명하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팽이버섯 재배 배지재료로 미송톱밥, 1회 팽이버섯 재배에 사용한 톱밥, 콘코브 그리고 영양원으로 미강과 밀기울을 이용하여 14가지로 배지를 조성하여 균사배양기간, 자실체 수량과 품질을 조사하였다. 두 가지 영양원에 따라 배양기간은 큰 차이가 없었지만 유효경수, 자실체 수량과 품질은 밀기울보다 미강이 좋았다. 폐배지를 20% 혼합한 처리 즉 미송톱밥 60%+폐배지 20%+미강 20% 배지가 관행처리 미송톱밥 80%+미강 20% 배지와 품질은 비슷하며 수량은 142.2g 으로 관행의 130g 대비 10% 증수하였다. 그러나 폐배지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자실체의 품질과 수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폐배지의 적정 혼합량은 20%이며 수량도 10% 증가하였다.
Thes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the superior strain selection, cultivation technique and optimum environmental condition of NAMEKO mushroom culture using plastic container. The results was following as: Mycelium of Pholiota nameko grown well at MCM and Hamada media, and its media acidity was pH 5~6. The optimum temperature condition for growing mycelium was 25℃. Under 15℃ and above 30℃ of temperature condition, mycelium growing speed was delayed remarkably. Among the 29 strains of NAMEKO mushroom, the most productive strains was JNM19007, JNM19026, JNM19027 and JNM19028. The optimum media composition rate for produce fruitbody was pine sawdust 80%+wheat bran 20%. In this condition, the average fruitbody amount was 188g per 1,100cc container. The optimum post-culturing period was 50 days and mushroom sprout appeared 7 days after old mycelia removed. The suitable temperature was 12℃ for induce sprout, growing period was 16℃ and the optimum relative humidity was 95% in all culturing periods.
맛버섯의 우량균주를 선발하고 병재배에 적합한 환경조건과 재배기술을 찾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맛버섯 균사는 MCM배지와 Hamada배지에서 잘 자랐고, 배지의 적정산도는 pH6~7이었다. 균사생육에 가장 적합한 온도는 25℃였으며, 15℃ 이하와 30℃ 이상의 조건에서는 균사생육이 현저하게 늦어졌다. 맛버섯 균주 29계통 중 생산성이 좋은 계통은 JNM19007, JNM19026, JNM19027과 JNM19028이었다. 자실체 생산을 위하여 가장 적합한 배지조성비는 미송톱밥 80%와 밀기울 20%(V/V) 혼합배지로 1,100cc 병당 평균 188g의 자실체가 생산되었다. 최적 후배양기간은 50일 이었으며, 균긁기 후 7일 만에 발이 되었다. 발이유기동안 적정 온도는 12℃이었고, 생육기에는 16℃였다. 맛버섯 전 재배기간 동안 적합한 상대습도는 95%였다.
Thes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the superior strain selection, cultivation technique and optimum environmental condition of NAMEKO mushroom culture using plastic container. The results was following as: Mycelium of Pholiota nameko grown well at MCM and Hamada media, and its media acidity was pH 5~6. The optimum temperature condition for growing mycelium was 25℃. Under 15℃ and above 30℃ of temperature condition, mycelium growing speed was delayed remarkably. Among the 29 strains of NAMEKO mushroom, the most productive strains was JNM19007, JNM19026, JNM19027 and JNM19028. The optimum media composition rate for produce fruitbody was pine sawdust 80%+wheat bran 20%. In this condition, the average fruitbody amountwas 188g per 1,100cc container. The optimum post-culturing period was 50 days and mushroom sprout appeared 7 days after old mycelia removed. The suitable temperature was 12℃ for induce sprout, growing period was 16℃ and the optimum relative humidity was 95% in all culturing periods.
600, 700, 800, 900, 1000㎍/50g 무기셀레늄(Na2SeO3)의 배지처리에 의한 노랑느타리버섯 균사배양기간, 균사밀도, 초발이소요일수, 유효경수, 개체중, 유기셀레늄 전이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Na2SeO3의 처리에 의한 노랑느타리버섯 균사배양기간은 대조구 22일에 비하여 600~ 1000㎍/50g처리는 3~8일 까지 농도가 진할수록 배양기간이 길어졌다. Na2SeO3의 처리에 의한 노랑느타리버섯 균사밀도는 600~1000㎍/50g처리 까지는 대조구와 동일하게 보통이었다. Na2SeO3의 처리에 의한 노랑느타리버섯 초발이소요일수는 600~1000㎍/50g처리는 대조구 5일에 비해 3~8일 까지 농도가 진할수록 초발이소요일수가 길어졌다. Na2SeO3의 처리에 의한 노랑느타리버섯 유효경수는 600~1000㎍/50g처리는 10~16개로 대조구 18개에 비해 2~8개 까지 농도가 진할수록 유효경수가 적어졌다. Na2SeO3의 처리에 의한 노랑느타리버섯 수량(개체중)은 600~1000㎍/50g 처리는 94~166g/850cc로 대조구 123g/850cc에 비해 5.7~23.5%까지 농도가 높을수록 수량이 감소되었다. Na2SeO3의 처리에 의한 노랑느타리버섯 축적된 유기셀레늄 량은 600~ 1000㎍/50g처리까지 9.1~10.8㎍/g/dry로 농도가 높을수록 대조구 0.05㎍/g/dry에 비해 182~216배까지 축적되었다. 결론적으로 노랑느타리버섯 균사배양기간, 균사밀도, 초발이소요일수, 유효경수, 개체중, 유기셀레늄 전이량은 600~ 1000㎍/50g에서 억제되는 경향이 나타남에 따라 가장 적당한 농도는 600~ 1000㎍/50g보다 낮은 400㎍/50g이라고 본다.
100, 200, 300, 400, 500㎍/50g 무기셀레늄(Na2SeO3)의 배지처리에 의한 노랑느타리버섯 균사배양기간, 균사밀도, 초발이소요일수, 유효경수, 개체중, 유기셀레늄 전이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저농도 Na2SeO3의 처리에 의한 노랑느타리버섯 균사배양기간은 대조구 22일에 비하여 100~400㎍/50g처리는 1~2일 단축되었고, 500㎍/50g처리는 1일 길어졌다. Na2SeO3의 처리에 의한 노랑느타리버섯 균사밀도는 100~500㎍/50g처리는 아주 치밀하였다. Na2SeO3의 처리에 의한 노랑느타리버섯 초발이소요일수는 100~400㎍/50g처리는 3~4일로 대조구 5일에 비해 1~2일 단축되었다. 500㎍/50g처리는 1일 길어졌다. Na2SeO3의 처리에 의한 노랑느타리버섯 유효경수는 100~400㎍/50g처리는 19~20개로 대조구 18개에 비해 1~2개 증가되었다. 500㎍/50g처리는 17개로 대조구 18개에 비해 1개 적어졌다. Na2SeO3의 처리에 의한 노랑느타리버섯 수량(개체중)은 100~400㎍/50g처리는 129~138g/850cc로 대조구 123g/850cc에 비해 4.9~12.2%까지 증수되었다. 500㎍/50g처리는 122g/850cc로 대조구 123g/850cc에 비해 수량이 감소되었다. Na2SeO3의 처리에 의한 노랑느타리버섯 축적된 유기셀레늄 량은 100~500㎍/50g처리까지 2.73~8.19㎍/g/dry로 농도가 높을수록 대조구 0.05㎍/g/dry에 비해 55~164배까지 축적되었다. 결론적으로 노랑느타리버섯 균사배양기간, 균사밀도, 초발이소요일수, 유효경수, 개체중, 유기셀레늄 전이량은 100~400㎍/50g까지는 촉진되었고 500㎍/50g에서 억제되는 경향이 나타남에 따라 보다 고농도 처리시 그의 영향을 조사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노랑느타리버섯 균사생장에 대한 영양원에 대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랑느타리버섯의 균사생장에 적합한 탄소원은 maltose로 균사생장량은 357mg/25ml/15일이다. 2) 노랑느타리버섯의 균사생장에 적합한 질소원은 peptone으로 균사생장량은 374mg/25ml/15일이다. 3) 노랑느타리버섯의 균사생장에 적합한 유기산은 glutamic acid로 균사생장량은 389mg이다. 4) 노랑느타리버섯의 균사생장에 적합한 비타민은 biotin으로 균사생장량은 399mg/15일이다.5) 노랑느타리버섯의 균사생장에 적합한 C/N율은 40이다.
노랑느타리버섯의 인공재배를 위한 우량균주 선발 및 균사배양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랑느타리버섯균의 적정배지는 MCM에서 87.8mm/10일로 균사생장과 균사밀도가 가장 좋았으며, 그 다음은 PDA, YM, MEA, Czapek 순이었다. 2) 노랑느타리버섯의 균사생장과 밀도에 가장 적정한 온도는 25℃이었으며 5℃에서는 균사가 사멸하였다. KNAC2003 균주는 25℃에서 87.8mm/10일로 균사생장과 밀도가 가장 양호하였으며, 온도별로는 25, 30, 20, 35, 10, 5℃ 순으로 균사생장 속도와 밀도가 좋았다. 3) 노랑느타리버섯의 균사생장과 밀도에 가장 적정한 산도(pH)는 6.0에서 88.3mm/10일이며 이보다 높거나 낮으면 균사생장과 밀도에 저해를 받는다.
In order to reveal the source of the architectural norm embodied in the first built-form of ChongMyo's Main Building, three analytic types were introduced into research. According to the level of accepting the architectural form of ChongMyo in the Koryo Dynasty, these types were defined by 'newly interpreted form', 'newly introduced form', and 'coventionally accepted form'. Among the first built-form in ChongMyo's Main Building, the form of 'TaeSil' was newly interpreted on the basis of the Tang's realating norm, and the form of 'HyupSil' was newly introduced according to the contemporary trend that had increasingly regarded it as an indispensible form. But the form of 'IkSil' had the different source, that is, the architectural form of ChongMyo in the Koryo Dynasty. After reconstructed by the King ChungSun, that form had been sustained without any change until the end of Koryo Dynasty. In result, that form had been accepted conventionally at the first time of building ChongMyo in the ChoSon dynasty.
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in the industries such as mechanical plants, automobiles, ships and marine structures, it is enlarged by the use of the SS 41 steel. This mechanical plants and marine structures are exposed m corrosion because of Cl-under marine environments. To protect their accidents, mainly applied anti-corrosion epoxy coating and various protective its structures. In this study, corrosion control characteristics on the epoxy coating were investigated by the galvanic corrosion of impressed voltage tester under marine environments The main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Corrosion current density of amine-epoxy coating becomes more increased than that of other epoxy coating and the time area rate of pin hole and pit until 5% becomes most rapid. 2. The potential of SUS 304 stainless steel(cathode) for Al-epoxy coating is nearly zero potential. 3. Corrosion current density of Amine-epoxy by shot blast becomes more decreased than that of not shot blast and cathodic potential becomes more noble. 4. As distance of anode and cathode is more decreased, corrosion current density of epoxy coating is more increased and cathodic potential becomes less noble.
우리 나라 남해안 연안에 부설된 소형정치망을 실험 수조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그 의 1/50의 크기로 Tauti의 어구 비교법칙에 따라 모형어구를 제작하여 유향 R(원통에서 헛통방향으로).L(헛통에서 원통방향으로)방향과 각각의 유속에 따라 그물 형상의 변화, 각 뜸의 침하량, 멍줄 장력의 변화 들을 측정,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그물형상의 변화는 유향 R의 경우 유속 0.2m/sec에서 헛통 끝그물이 조하쪽으로 20mm, 상방으로 10mm 이동어구 전체가 바닥으로부터 부상하였고, 유속 0.6m/sec에서는 원통에서 헛통 까지 거의 일직선을 이루었다. 유향 L의 경우는, 상방으로 18mm 이동하여 어구 전체가 바닥으로부터 부상하였고, 유속 0.5m/sec이상에서는 헛통에서 원통까지 거의 일직선을 이루었다. 2. 긱 뜸의 침하량은 유향 R의 경우 머리뜸은 유속 0.2m/sec부터 서서히 침하하시 시작하여, 유속 0.3m/sec에서는 20mm 정도 침하하고, 유속 0.6m/sec에서는 99mm 정도 침하하였다. 그러나, 끝뜸은 유속 0m/sec부터 0.6m/sce까지 침하하지 않고 약간의 요동만 일으켰다. 유향 L의 경우 끝뜸은 유속 0.1m/sec에서부터 서서히 침하하기 시작하여, 0.2m/sec에서는 5mm정도 침하하였고, 0.6m/sec에서는 108mm 정도 침하하였으며, 0.5m/sec에서 머리뜸만 남기고 어구전체가 수몰되기 시작하였다. 3. 멍줄 장력의 변화는 유향 R의 경우 머리뜸 멍줄에 작용한 장력은 유속 0.1m/sec에서 273.51g이며, 0.6m/sec에서는 1298.40g 정도로 증가하였다. 유향 L의 경우 한쪽 끝뜸줄에 걸리는 장력은 유속 0.1m/sec에서 137.08g이며, 0.6m/sec에서 646.00g 정도로 증가하였다. 멍중 장력의 분포는 유속의 증대와 함게 유향 RL 향 모두 조상측 멍줄에 집중하여 나타났으며, 다른 멍줄에는 현저한 장력의 증가는 관측되지 않았다.되지 않았다.
The component materials threatened by cavitation include ship propellers as well as turbine runners, pump impellers, pipe lines and radiators. Today it is known that cavitation damage takes place on many other components including on the coding water side of the cylinder liners of diesel engines. Cavitation erosion - corrosion implies damage to materials due to the shock pressure or shock wave that results when bubbles form and collapse at a metal surface within a liquid. To suppress cavitation erosion as well as cavitation erosion - corrosion to hydraulic equipment, innovations such as the improvement in the geometric design of the equipment or the selection of suitably resistant construction materials are necessar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at the cavitation erosion - corrosion damage under vibratory cavitation can be reduced by adding of side now velocity to the cavitation bubble group in order to eliminate bubbles formed in sea water environment.
본 논문은 아바타를 내장한 한글 지문자 학습 게임 개발에 관한 논문으로써, 초보자가 수화아바타에게서 지문자를 쉽게 배우고 쉽게 연습할 수 있도록 한글 지문자 인식 게임 프로그램개발을 제안한다. 지문자는 단어를 철자로 표현하는 한국수화의 어휘에 대응한다. 지문자 자모가 한글 자모에 일치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한글이 손 모양으로 표현되었다. 시스템은 OpenGL에 기반한 수화아바타강사 GUI 팝업윈도우와 지문자 인식모듈, 여러 한글 자음 글자가 아래로 이동하는 게임 모듈, USB 카메라로 구성된다. 지문자는 한글 자모를 표현하는 것으로써, 사용자는 아바타로부터 지문자를 배우고 USB 카메라를 이용하여 시스템에 지문자를 간단하게 입력한다. 우리는 사용자들의 검증을 통하여 개발된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최근 실감형 게임 (augmented game) 이라는 새로운 게임 장르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으며 실감형 게임이란 사용자가 실제 환경을 돌아다니며 컴퓨터에 의해 만들어진 가상의 적 또는 물체를 이용하여 진행하는 게임이다. 실감형 게임은 게이머에게 새로운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지만 비싼 가격의 'backpack' 시스템을 이용하기 때문에 일반 게이머에게 저렴한 가격에 게임을 제공하치가 어렵다. 이를 위해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실감형 게임들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지만, 가상의 적을 실제 공간에 접목하기 위해 대부분 색상 마커나 패턴 마커를 이용하기 때문에 마커가 미리 설치 되어 있는 장소에서만 게임이 가능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흥미도가 높고 가격 부담없는 게임을 제공하기 위해 기존의 갤러그를 실감형 게임에 접목한 모바일 기기에서의 실감형 갤러그를 소개한다. 실감형 갤러그는 모바일 화면상에서 실제 환경에 가상의 적을 접목하기 위해 실제 환경에 있는 물체를 그대로 이용하여, 크기분변의 특징변환(SIFT)와 유클리디언 거리(Euclidean distance)를 이용하여 물체를 인식한다. 가상의 적은 이식된 특정 물체의 주위에 임의로 출현하며, 게임흥미도를 높이기 위해 여러 개의 특정 물체를 이용하고, 게이머는 가상의 적이 출현하는 특정 물체에 모바일 기기를 직접 움직여 공격한다. 결론적으로 실감형 갤러그는 모바일 카메라에 의해 입력받은 실제 환경 과 모바일 기기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원 가상의 적 사이의 상호작용 (interaction) 을 제공하는 새로운 게임 패러다임(paradigm) 을 통하여 게이머에게 가격 부담없는 새로운 즐거움을 제공할 것이다.
겨울철 한반도와 부근 해역은 대륙에서 발달하는 시베리아고기압과 해양에서 발달하는 알류샨저기압으로 형성되는 전형적인 서고동저형의 기압배치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이 기압배치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와 주변 해역, 특히 서해에서는 강한 서풍 내지 북서풍의 계절풍과 강한 바람에 의한 높은 파랑, 폭설 등을 동반하는 악기상이 빈번히 발생한다. 이 연구에서는 겨울철에 서해에서 활동하는 국가어업지도선의 안전한 피항지를 선정하기 위하여 11년간 (1994-2004년)의 지상일기도를 분석하여 온대저기압의 주요 이동경로를 구분하였다. 그리고 온대저기압의 이동경로별로 섬들의 지형적 특성, 수심, 저질의 상대, 조류의 영향 및 어망의 분포 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서해에서 활동하는 국가어업지도선의 안전한 피항지를 선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