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상북도 춘양지방 금강소나무림(이하 춘양목소나무림)의 식생구조 및 생육밀도를 밝히기 위하여 36개 조사구(단위면적: 100m2)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36개 조사구는 교목층의 흉고직경의 크기에 따라 군집을 분류한 결과. 군집 I (대경목), 군집 II (대경목), 군집 III(중경목), 군집 IV(소경목)의 4개 소나무군집으로 분리되었고, 교목층은 소나무, 아교목층은 쇠물푸레와 신갈나무, 관목층은 철쭉꽃과 진달래가 우점하였다. 4개 군집의 종다양도는 0.4320~0.9487(단위면적: 400m2)로 낮은 상태이었으며 군집간 유사성이 높았다. 생육밀도 분석결과 흉고단면적은 평균흉고직경 이 작은 군집일수록 낮았으며, 평균흉고직경, 개체수, 최단거 리 간의 회귀분석결과 생육거리(m) = 0.0934×흉고직경(cm)+0.6117, 개체수=242.47×흉고직경(cm)-1.1009, 생육거리=9.643×개체수-0.7016이었다. 아울러 본 군집들은 수령 30~50년생, 낙엽층 두께 0.5~2.5cm, 관목피도율 20% 정도로 송이생육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백두대간 태백산지역의 백천계곡에 대해 삼림군집구조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50개 조사구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 기법을 활용하여 군락을 분리한 결과 신갈나무-소나무군락(I), 소나무-신갈나무군락(II), 당단풍-신갈나무군락(III), 박달나무-당단풍군락(IV), 그리고 층층나무군락(V)의 5개 군락으로 최종 분리되었다. 각 군락은 층위별 상대우점치 분석을 통하여 식생구조를 밝혔다. 연륜분석결과 백천계곡의 임령은 소나무림이 50~75년. 신갈나무림이 40년 내외로 밝혀졌다. 단위면적당(100m2) 평균출현종수는 11.1±2.2종, 평균출현개체수는 74.6±28.1주였다. 흉고직경급별 분석을 포함한 이상의 결과로 식생천이를 예측한 결과 백천계곡은 소나무에서 신갈나무를 거쳐 층층나무, 박달나무 등의 활엽수로 전개될 것으로 판단된다
백두대간 중 청옥산 능선부주변의 삼림군집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35개 조사구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 기법 중 하나인 TWINSPAN을 이용하여 군락분리를 시도한 결과, 모두 신갈나무 우점종인 가운데 부 수종으로 군락 I은 물푸레나무. 군락 II는 당단풍, 군락 III은 미역줄나무, 군락 IV는 철쭉꽃으로 최종 분리되었다. 각각의 군락은 층위별 상대우점치를 이용하여 군집구조를 밝혔다. 연륜분석결과 청옥산 능선부 지역의 신갈나무의 임령은 약 30~150년 이상으로 밝혀졌다. 단위면적당(100m2) 평균출현종수는 6.5±1.8종, 평균출현개체수는 68.3±39.9주이었다. 이상의 분석결과 청옥산 능선부의 신갈나무림은 노령임분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동일한 토양명(송정통)을 갖는 인접한 토양에서 신개간 토양과 다소 숙전화 된 기경작 초지토양간의 비옥도 특성과 시비처리별 목초 생산성과 무기양분 함량차이를 비교.검토하고자 기초시험으로 pot 시험을 수행하였다. 초지토양의 비옥도 개량에 필수적인 퇴비(I보), 석회(II보) 및 인신(III보)의 시용효과를 단계별로 비교.검토하였다. 본보에서는 3요소 및 고토를 동일하게 기본시비를 한 조건에서 1) 무퇴비구, 2) 퇴비시용구(1,200kg/10a기준)를 처
The Middle to Late Cambrian Machari Formation in the Machari area, Yeongweol, Korea consists of 7 lithofacies and 3 facies associations, which are thought to be deposits of carbonate ramp (mid to outer ramp) to basin environment. These lithofacies are bedded lime mudstone, laminated lime mudstone, bioclastic/peloidal packstone to grainstone, poloidal/bioclastic wackestone, conglomerate, mottled lime mudstone, and shale. Bedded lime mudstone facies, a few cm thick lime mudstone alternating with shale layer, is believed to have been deposited by intermittent dilute turbidity currents. Laminated lime mudstone facies, alternating lime mudstone with laminated shale, is interpreted to have been formed by fine-grained turbidity currents. Bioclastic/peloidal packstone to grainstone facies was deposited by turbidity current and peloidal/bioclastic wackestone faceis was deposited by debris flow. Conglomerate facies is thought to be deposits of storm activities. Mottled lime mudstone facies is interpreted to have been formed by bioturbation. Shale facies is interpreted to have been formed by suspension settling. Seven lithofacies of the Machari Formation are divided into three facies associations. Facies association I consisted of bedded lime mudstone facies, mottled lime mudstone facies, conglomerate facies, and bioclastic/peloidal packstone to grainstone facies, is interpreted to have been deposited on the mid ramp. Facies assocaition II consisted of bedded lime mudstone facies, laminated lime mudstone facies, bioclastic/peloidal packstone to grainstone facies, and peloidal/bioclastic wackestone facies is thought to be deposits of the outer ramp. Facies association III consisted of laminated lime mudstone facies and shale facies is interpreted to have been formed on the basin environment.
본 연구에서는 DNA marker가 검정된 한우로부터 생산한 체외수정란을 이식하여 육질 및 육량의 유전적 능력이 우수한 한우를 대량생산하여 고품질 한우 쇠고기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전단계로서 DNA marker 검정 한우로부터 초음파유도 난포란을 채란하여 체외수성 및 수정란의 체외 발달에 미치는 각종 요인들과 배반포기 수정란의 부화율 개선을 위하여 투명대를 laser로 drilling을 실시하여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초음파유래 체외수정란의 분할률
The introduction of coastal vessel traffic services enables vessels in coastal waters to navigate in safety or to get her position with ease and prevents the vessel from becoming cause of casualties. But it needs relatively huge amount of cost to construct and operate and maintain. Thus we must be checked with economical adequacy of the the proposed coastal vessel traffic services by comparing the cost of the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intenance with the expected benefit made by the expected decrease in marine casualties. In previous paper, a proper cost-benefit analysis model for the Korean practice will be suggested. In this Paper, the proposed the cost-benefit analysis model of coastal vessel traffic services was applied to the Koje coastal waters 20mi1es from the top of Maemul-Do and Yokchi-Do. As the result, we confirmed the propriety of the cost-benefit analysis with the application of the proposed model to Koje waters. Also, it is verified that the introduction of coastal vessel traffic services, as proposed, is adequate and economical. The cost-benefit analysis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to investigate the economic Propriety of new aids to navigation and traffic safety facilities in the future.
We study the properties of supernova (SN) driven interstellar turbulence with a numerical magnetohydrodynamic (MHD) model. Calculations were done using the RIEMANN framework for MHD, which is highly suited for astrophysical flows because it tracks shocks using a Riemann solver and ensures pressure positivity and a divergence-free magnetic field. We start our simulations with a uniform density threaded by a uniform magnetic field. A simplified radiative cooling curve and a constant heating rate are also included. In this radiatively-cooling magnetized medium, we explode SNe one at a time at randomly chosen positions with SN explosion rates equal to and 12 times higher than the Galactic value. The evolution of the system is basically determined by the input energy of SN explosions and the output energy of radiative cooling. We follow the simulations to the point where the total energy of the system, as well as thermal, kinetic, and magnetic energy individually, has reached a quasi-stationary value. From the numerical experiments, we find that: i) both thermal and dynamical processes are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phases of the interstellar medium, and ii) the power index n of the B-p n relation is consistent with observed values.
본 연구는 1999 ∼ 2001학년도의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지구과학 II 선택 경향 및 선택과목간의 점수를 비교하고, 지구과학 관련 문항의 탐구과정 및 내용 요소별 분포와 각 문항에 대한 학생의 반응을 분석하여 정답률이 낮은 문항에 대한 오답 유형을 추출하였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자연계 응시자는 1995학년도에 43.14%이었으나 최근 2년 동안에 급격히 줄어들어, 2001학년도에는 29.51%이었고, 2002학년도에는 26.92%로 감소하고 있다. 자연계 응시자의 지구과학 II 선택 비율은 약 22%로 생물 II(약 38%), 화학 II(약 28%)에 이어 3번째이다. 탐구과정별로는 공통과학 및 지구과학 II 모두 자료 해석에 대해서 가장 많이 출제되고 다음으로 결론 도출 및 평가에 대해서 많이 출제되었다. 내용별로는 공통과학에서는 ‘지각의 물질과 지각변동’(20.83%)에서 가장 많이 출제되었고, ‘온실효과’와 ‘우주과학’에 대해서는 출제되지 않았으며, 다른 영역에서는 대체로 고루 출제되었다. 지구과학 II에서는 ‘지각의 물질과 변화’ (22.92%)영역에서 가장 많이 출제되었고, 전반적으로 고르게 출제되었으나 ‘환경과 자원’에서 출제되지 않았고, ‘태양계’에 대해서는 비교적 적게 출제되었다. 문항 난이도 분포를 보면 1999학년도는 예상정답률 40 ∼ 59%와 60 ∼ 79%의 문제를 각각 6, 10개 출제하였고, 2000학년도에는 40 ∼ 59% 1문항, 60 ∼ 79% 14문항, 80% 이상 1문항 출제하였으나 2001학년도는 16문항 모두를 60 ∼ 79%에 해당하는 것을 출제하였다. 정답률이 높은 문항은 문제 해결에 지구과학 개념이 요구되지 않고 탐구 과정만 요구되는 문항, 매년 출제되어 학생에게 익숙한 분야, 탐구 능력 없이도 특정 지식만 있으면 해결되는 문항이다. 반면에 정답률이 낮은 문항은 지구와 행성의 운동, 해파에 관한 문항이며, 특히 복합개념이 요구되는 문항의 정답률이 낮다. 학생의 오답 반응 분석 결과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가 미흡한 주요 내용은 공통과학에서는 변환단층 및 부정합에서 지질학적 현상, 혼합층과 수온 약층의 의미, 온대저기압 통과 전후의 날씨 변화이며, 지구과학 II 에서는 달의 위상과 위치변화, 화성암의 구성광물 · 화학조성 · 조직 변화와 마그마 분화 및 풍화와의 관계, 지진파 주시곡선, 대기순환의 종류와 규모, 해파, 혼합층과 수온 약층, 서안강화 현상, 행성의 위치와 운동, H-R도상에서의 별의 특성과 진화 등이다. 탐구 과정에 대한 학생의 성취도는 비교적 높으므로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에 대해 학생의 오답 유형을 참고하여 기본 개념 지도에 보다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계룡산국립공원 동월계곡의 삼림군집구조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41개 조사구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 기법 중 하나인 TWINSPAN을 이용하여 군락분리를 시도한 결과, 서어나무군락(I), 때죽나무군락(II), 소나무A군락(III), 상수리나무군락(IV). 소나무-굴참나무군락(V), 소나무B군락(Ⅵ). 그리고 신갈나무군락(Ⅶ)의 7개 군락으로 최종 분리되었다. 각각의 군락은 상대우점치를 이용하여 군집구조를 밝혔다. 연륜분석결과 동월계곡의 주요 식생의 임령은 약 30~50년 안팎으로 밝혀졌다. 단위면적당(100 cm2) 평균 출현종수는 15.6±4.7종. 평균 출현개체수는 124.9±36.4주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계룡산국립공원 동월계곡의 식생천이는 소나무림에서 굴참나무 등 참나무류를 거쳐 서어나무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칠산도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은 37과 74속 71종 13변종으로 총 84종류였다. 꾸지뽕나무나 예덕나무가 출현하는 것으로 보아 남부아구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제1도는 밀사초와 사철쑥, 제2도는 밀사초, 제3도는 밀사초와 예덕나무, 제4도는 누리장나무 그리고 제6도는 참억새와 띠가 우점하였다
연계논문 에서는 해양환경하중을 받는 스틸자켓의 기하학적 비선형을 고려한 정적 동적해석을 위한 유한요소 정식화 과정을 제시하였다. 또한, 스틸자켓의 극한거동을 추적하기 위하여 뼈대구조의 소성힌지 해석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틸자켓의 통합해석 프로그램 OSA2000을 개발한다. 연계논문에서 제시된 주처리 프로그램의 내용을 제외하고, visual basic과 OpenGL 그래픽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데이타 입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전처리 프로그램과 해석결과 분석을 위한 후처리 프로그램을 개발한 내용을 요약한다. 또한, 다양한 예제해석을 통하여 프로그램의 검증 및 해석결과를 제시한다.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urdough on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y of barley bread, sourdough starter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sanfrancisco and Enterococcus sp. were added to baking after 48 hours incubation at 37℃. 1. The pH of bread using Lactobacillus sanfrancisco starter was the lowest among tested starters. while the titratable acidity(TTA) of the strai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Enterococcus sp.. 2. In bread, moisture contents of control were 38%. It was decreased during 6 days. The moisture contents of bread using Lactobacillus sanfrancisco starter were the highest among tested starters, followed by Enterococcus sp.. 3. Oneset temperature(To), peak temperature(Tp) and enthalphy (δH) were increased during storage of 6 days. The enthalphy of bread using Lactobacillus sanfrancisco starter was the lowest among tested starters, followed by Enterococcus sp..
A molecular line survey towards the UC H II region G34.3+0.15 from 155.3 to 165.3GHz has been conducted with the TRAO 14-m radio telescope. Combined with our previous observations from 84.7 to 115.6GHz and 123.5 to 155.3GHz (Paper I), the spectral coverage of this survey in G34.3+0.15 now runs from 85 to 165 GHz. From these latest observations, a total of 18 lines from 6 species were detected. These include four new lines corresponding to ΔJ = 0, ΔK = 1 transitions of the CH3OH E-type species, and two new lines corresponding to transitions from SO2 and HC3N. These 6 new lines are CH3OH[1(1) - 1(0)E], CH3OH[2(1) - 2(0)E], CH3OH[3(1) - 3(0)E], CH3OH[4(1) - 4(0)E], SO2[14(1, 13) -14(0, 14)] and HC3N[18 -17]. We applied a rotation diagram analysis to derive rotation temperatures and column densities from the methanol transitions detected, and combined with NRAO 12-m data from Slysh et al. 1999. Applying a two-component fit, we find a cold component with temperature 13-16K and column density 3.3-3.4 ×10 14 cm-2, and a hot component with temperature 64 - 83K and column density 9.3×10 14 - 9.7 ×10 14 cm-2. On the other hand, applying just a one-component fit yields temperatures in the 47 -62 K range and column densities from 7.5-1.1 × 10 15 cm-2.
The molecular cloud associated with the H II region S301 has been mapped in the J = 1-0 transitions of 12CO and 13CO using the 13.7 m radio telescope of Taeduk Radio Astronomy Observatory. The cloud is elongated along the north-south direction with two strong emission components facing the H II region. Its total mass is 8.7 × 10 3 M⊙. We find a velocity gradient of the molecular gas near the interface with the optical H II region, which may be a signature of interaction between the molecular cloud and the H II region. Spectra of CO, CS, and HCO+ exhibit line splitting even in the densest part of the cloud and suggests the clumpy structure. The radio continuum maps show that the ionzed gas is distributed with some asymmetry and the eastern part of the H II region is obscured by the molecular cloud. We propose that the S301 H II region is at the late stage of the champagne phase, but the second generation of stars has not yet been formed in the postshock lay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