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벼 중생 고품질 내도복 복합내병성 중간모본 ‘중모1009호’ KCI 등재

A New High Qualilty Rice Intermediate Parent with Lodging and Disease Resistance, ‘Jungmo1009h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115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육종학회지 (Korea Journal of Breeding Science)
한국육종학회 (The Korean Breeding Society)
초록

‘중모1009호’는 국립식량과학원 영덕출장소에서 1999년 하계에 밥맛이 뛰어나면서 재배 안정성이 높은 벼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흰잎마름병에 강한 ‘익산443호’를 모본으로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하고 내도복성인 ‘밀양165호’를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실시하여, 2000년 하계에 57개체의 F1 식물체를 양성하고 YR21324의 교배번호를 부여하였다. 2001년 하계포장에 전개한 F2 집단 중 18개체를 선발하여 2002년 하계에 F3세대 18계통을 육성하고, 이후 F4, F5세대를 계통육종법으로 전개하여 고품질이면서 현미외관특성이 우수하고 병해 및 안정적인 재해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계통을 선발하여 2006년 생산력검정예비시험, 2007년 생산력검정본시험을 실시한 후 완전미율이 높고 외관이 우수하면서 재배 안정성이 높은 YR22207-5-3-1-3을 선발하여 ‘영덕48호’로 명명하였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중생종이면서 쌀 품위가 좋고 밥맛이 양호하며 내도복과 내병성에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어 2009년 12월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국가품종목록으로 등재 할 것을 결정하고 ‘중모1009호’로 명명하여 적응지역인 동해안 냉조풍지 및 남부중산간지에 보급하게 되었다. ‘중모1009호’의 출수기는 보통기 재배에서 평균 8월 13일로 ‘화성벼’와 같은 중생종 품종이다. ‘중모1009호’는 직립 초형이고 탈립은 잘되지 않고 이삭추출은 양호하고 까락이 거의 없다. ‘중모1009호’의 수당립수는 ‘화성벼’보다 약간 많은 편이고 현미천립중 22.0 g으로 ‘화성벼’와 비슷하다. ‘중모1009호’의 도정특성 및 외관특성은 ‘화성벼’와 비슷하고 완전미율은 96.4%로 ‘화성벼’보다 높으며, 밥맛은 ‘화성벼’와 ‘추청벼’보다 우수하다. ‘중모1009호’의 불시출수와 수발아가 안되는 편이고, 위조현상에 강하고 성숙기 엽노화가 느린 편이며 내냉성은 ‘화성벼’ 수준이다. ‘중모1009호’의 잎도열병 밭못자리 검정 결과 중도저항성을 보였고 도열병 내구저항성은 ‘화성벼’보다 매우 강하였고, 줄무늬잎마름병과 흰잎마름병(K1, K2, K3)에는 강하나 오갈병 및 검은줄오갈병에 약하고 벼멸구 등 충해에는 감수성이다. ‘중모1009호’의 수량성은 2007년부터 2009년 까지 3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보통기 보비재배 9개소에서 5.47 MT/ha로 ‘화성벼’ 대비 2% 감수되었으며, 이모작재배에서는 4.31 MT/ha ‘남평벼’ 대비 14% 감수되었고, 만식재배에서는 4.63 MT/ha로 ‘남평벼’ 대비 10% 감수되었다. ‘중모1009호’의 적응지역은 동해안 냉조풍지 및 남부중산간지이다.

A new rice variety ‘Jungmo1009ho’ is a japonica rice (Oryza sativa L.) with lodging tolerance and resistance to rice stripe virus (RSV) and blight bacterial disease (BLB) and good eating quality. It is develop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Yeongdeog Substation, National Institute Crop Science, RDA in 2009. This variety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Iksan443’ with good grain quality and ‘Milyang165’ with lodging tolerance conducted in 1999 summer season. A promising line, YR22207- 5-3-1-3, selected by pedigree breeding method was designated as ‘Yeongdeog48’ in 2006. After the local adaptability test was carried out at nine locations from 2007 to 2009, ‘Yeongdeog48’ was released as the name of ‘Jungmo1009ho’ in 2009. ‘Jungmo1009ho’ is very short culm length as 61cm and medium-late growth duration. This variety is resistant to races, K1, K2, and K3 of bacterial blight and stripe virus and moderately resistant to leaf blast disease with durable resistance, and also has tolerance to unfavorable environment such as cold and dried wind. ‘Jungmo1009ho’ has translucent and clear milled rice kernel without white core and belly rice, and good eating quality as a result of panel test. The yield potential of ‘Jungmo1009ho’ in milled rice is about 5.47 MT/ha at ordinary fertilizer level of local adaptability test. This cultivar would be adaptable to east-south coastal cold salty wind and south mid-mountainous area

저자
  • 김정일(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 작물부) | Jeong-Il Kim
  • 박노봉(국립식량과학원) | No-Bong Park Corresponding Author
  • 이지윤(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 작물부) | Ji-Yoon Lee
  • 박동수(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 작물부) | Dong-Soo Park
  • 여운상(국립식량과학원) | Un-Sang Yeo
  • 장재기(국립식량과학원) | Jae-Ki Chang
  • 강정훈(농업유전자원센터) | Jung-Hun Kang
  • 오병근(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 작물부) | Byeong-Geun Oh
  • 권오덕(국립식량과학원) | Oh-Deog Kwon
  • 곽도연(국립식량과학원) | Do-Yeon Kwak
  • 이종희(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 작물부) | Jong-Hee Lee
  • 이기환(농촌진흥청) | Gihwan Yi
  • 김춘송(국립식량과학원) | Chun-Song Kim
  • 송유천(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 작물부) | You-Cheon Song
  • 조준현(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 작물부) | Jun-Hyun Cho
  • 남민희(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 작물부) | Min-Hee Nam
  • 정진일(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Jin-Il Choung
  • 신문식(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Mun-Sik Shin
  • 전명기(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 작물부) | Myeong-Gi Jeon
  • 양세준(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Sae-Jun Yang
  • 강항원(국립식량과학원) | Hang-Weon Kang
  • 안진곤(농촌진흥청) | Jin-Gon Ahn
  • 김제규(농촌진흥청) | Jae-Kyu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