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어교육 제도와 정책에 관한 비판적 검토 -한자․한자어교육과 관련하여- KCI 등재

A Critical review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 and policy : with regard to chinese character edu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371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0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이 글은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한자․한자어교육의 성패와 직결된 제도와 정책 적 사항들을 점검하고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우선 국어기본법 및 동법 시행령을 살펴본 결과, 국어발전기본계획의 수립, 어 문규범의 제정 및 개정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는 국어심의회의 언어정책분과와 어 문규범분과에 한자․한자어교육 전문가가 반드시 포함되도록 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사업 대상과 영역이 명확히 구별되지 않아 교재 및 교육과정 개발, 교원 양 성, 한국어 보급지원 등의 사업에서 중복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국립국어원과 세종학당재단의 역할과 기능을 분명히 구별하여 표준화된 교육과정 을 개발하는 한편 한자․한자어 교육을 필수이수과목으로 지정하여야 한다. 이렇 게 되면 한자․한자어 교재의 수준도 향상되고 교원들의 한자․한자어교육에 대 한 인식과 능력도 제고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어교원 양성기관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역량 있는 전문가로 하여금 해당 과목을 담당하도록 하여야 한다. 예시과목은 한국어교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초적 전공능력이 어디에 있는지를 가리킨다는 점에서 상징성이 크 다. 따라서 한자․한자어 관련 과목이 예시과목에 반드시 포함될 수 있도록 하여 야 한다. 또한 한국어교사들에 대한 재교육과정에 한자․한자어 관련 과목을 수 강하도록 제도화하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한자․한자어교육을 불요불급하게 여기는 인식을 바꾸기 위한 노력도 병 행되어야 한다. 한자․한자어교육을 한국어교육의 일부로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학계 차원에서 서로 교류하고 소통하는 기회를 자주 갖는 것이 중요하 다.

本文分析了韩国语教育方面与汉字汉字词教育成败直接相关的制度和政策性事项,并指出了正确的方向。首先从国语基本法和同法施行令来看,审议国语发展基本计划的制定、语文规范的制定和改定相关事项的国语审议会的言語政策分科和语文规范分科必须包括有汉字词教育专家。另外,还出现了事业对象和领域不明确,教材和教育课程的开发、教师培育、韩国语的普及支援等事业上出现重复的问题。因此,需要明确国内国语院和世宗学堂财团的作用和职能,开发标准化的教育课程,还需要将汉字汉字词教育指定为必修科目。这样汉字汉字词教材的水准才会有所提高,教师对汉字汉字词的认识和能力也将提高。接下来还要加强对韩国语教师的管理监督,让有实力的专家来负责相关科目。例示科目的象征性在于它指出了韩国语教师需要具备的基础专业能力。因此,汉字汉字词相关科目必须含入例示科目里。另外,还需要在韩国语教师的再培育课程中加入汉字汉字词相关课程,并对此进行制度化。另外,还需要改变对汉字汉字词教育“不要不急”的态度。还有,学界也需要不断增加交流的机会以便汉字汉字词教育能够被积极认可为韩国语教育的一部分。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ystem and political matters which are directly connected to success or failure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ggests some right directions. First of all, as a result of reviewing Korean basic Law and enforcement decree, it is necessary to includ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specialists for division of language policy and literary norms of the National Language Deliberation Council which deliberates establishment of ‘korean language development master plan’ and the elements of enactment and revision of literary norms. Furthermore, as target and scope of the business are not clearly identified, some overlapping issues in businesses such as text books and curriculum development, teacher training and supports for korean language distribution were found. Thus, roles and function of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Sejong-Hakdang Foundation shall be clearly identified, and also chinese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designated as a compulsory course. Then the level of chinese character text books will be improved and the awareness and capability of the teachers would be raised. Subsequently, supervision for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reinforced and only capable specialists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related subjects. Example subjects play important roles as this shows what korean language teacher should possess. Thus, chinese characters related subjects should be included in example subjects. And also, chinese characters related subjects shall be included in the reeducation proces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Efforts to change the attitudes that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s nonessential shall be conducted as well. It is significant to have more chances to have interactions and mutual understandings from the view of the academic world to adopt chinese characters as a par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목차
1. 들어가는 말
2. 국어기본법 및 동법 시행령
3. 한국어교원 양성제도와 한국어교육과정
4. 한국어능력시험
5. 한국어 보급사업
6. 결론 및 제언
저자
  • 김우정(단국대학교 사범대학 한문교육과 부교수) | Kim, Woo-j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