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가정폭력 경험 청소년의 정서안정을 위한 모래상자치료 사례연구 KCI 등재후보

A case study of Sandtray therapy for Emotional stability of Adolescent Experiencing Domestic viol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49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아유르베다 융합 연구 (Korean Journal of Fusion Ayurveda)
한국아유르베다학회 (Korean Ayurveda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는 가정 폭력 청소년의 모래상자치료 사례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여중생으로 모래상자치료를 활용한 단일 사례이다. 본 연구의 사례는 총 30회기로 2020년 8월 13일 ~ 2021년 5월 10일까지 총 30회기를 주 1회 50분간 실시하였다. 초기 연구참여자는 정서적 불안정감과 우울감이 높았으며 아빠에 대한 분노감과 불신감이 팽배되어 인연을 끊고 싶을 정도로 분노가 내재되어 있었다. 또한 학교생활에서 선생님과의 갈등이 심해 자존감이 낮고 학업 성취도에서도 뒤처지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꾸준한 모래상자치료로 어둠 안에 서 갇혀만 지냈던 폐쇄성의 틀을 깨고 차츰차츰 밝고, 명랑한 성격으로 바뀌었다. 또한 왜곡된 인지에서 오는 부정적이었던 생각들보다는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사고의 전환으로 갈등 완화가 이루어졌다. 후반에는 자신의 진로에 대한 결정과 학업에 대한 열정이 높아 컴퓨터에 관련된 다양한 자격증을 취득하여 성취감을 얻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과거 가졌던 우울감과 불안감이 감소 되었으며 정서적 안정감이 향상되어 대인관계에도 원만함을 볼 수 있었다.

This is a case study of sandtray therapy on an adolescent domestic violence.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single case of using sandbox therapy for middle school girl. The case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0 sessions, and a total of 30 session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or 50 minutes from August 13, 2020 to May 10, 2021. At first, the study participant showed acute depression and emotional instability, and substantial anger and distrust made her want to repudiate her father. At school, she had heavy conflict with her teacher and was unfulfilling in her academic achievement. As she got the constant sandtray therapy, however, she broken out of her closure in the dark, getting brighter and more cheerful personality, as well as more active and positive thoughts rather than the negative ones from distorted cognition. Later on, she could decide what career to take and became highly passionate in her studies, to acquiring various certifications about computer. In conclusion, the depression and anxiety that I had in the past decreased, and emotional stability improved,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smooth.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설계
    2.3 측정도구
    2.4 자료분석
3. 연구 결과
4.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재옥(Developmental Psychology Support Center) | Jae-Ok Kim Corresponding Author
  • 정미숙(Dept. Naturopathy, Dongbang Univ.) | Mee-Sook Ch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