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23

        1.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선교사의 탈진 예방과 극복을 위한 멤버케어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초점은 멤버케어의 전략으로써 생활습관 교정과 푸드테라피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선교사는 새로운 문화적 환경에서 고립감, 언어 장벽, 생활 여건 변화, 과로 등으로 만성적인 스트레스와 탈진에 노출되기 쉽다. 이러한 탈진은 신체적, 정서적, 영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역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한다. 생활습관 교정은 규칙적인 운동, 수면 관리, 건강한 식습관, 스트레스 완화 기법 등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신체적·정신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푸드테라피는 면역력 강화와 탈진으로 인한 질병 치유를 돕는 영양소 및 식품을 섭취하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신체적·정서적 회복 을 촉진한다. 본 연구는 생활습관 교정과 푸드테라피가 선교사의 탈진 완화와 건강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제안한다. 또한, 이를 멤버케어 전략으로 활용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를 바탕으로 실질적이 고 체계적인 멤버케어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6,900원
        2.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발달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기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의 장 애인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하는 발달장애자녀를 둔 어머니 14명을 실험집 단과 통제집단 각각 7명씩 무선배치 하였다. 집단미술치료는 주 1∼2회, 회당 90분씩 총 12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자기효능감과 양육 스트레스검사, K-HTP와 PITR그림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대응 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집단미술치료가 실험집단의 자기 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질적 분 석에서 집단원들은 자기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 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발달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사회적 문제를 분석하여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8,000원
        3.
        202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ccupational therapy aims to restore patients’ functional abilities through rehabilitation, with dressing activities being a critical component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ssessments. Clothing is essential for physical protection, psychological stability, and promoting social participation. Despite the significance of dressing activities, research on training apparel incorporating occupational therapy principles remains limited. As a preliminary step in developing apparel for dressing activity training, this study aims to identify essential design elements that facilitate in daily living training and hold potential in occupational therapy.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essential clothing design componen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design features a pattern with a front-center opening, generous armholes, and ease allowances, along with modular components that enable variable collar and pocket configurations. A designated weight pocket is seamlessly integrated without restricting movement. Fabric selections emphasize human safety, comfort, stability, and durability, providing a soft texture and a broad range of color options within the modular design. Additional details include detachable collar and pocket elements, while trims and accessories are executed with buttons or zippers for closure and utilize Velcro, buckles, buttons, or drawstrings for size adjustments, all available in a variety of colors and sizes.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modular, userfriendly training apparel that support occupational therapy goals. The findings provide fundamental insights into dressing activity training wear, serving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future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4,800원
        4.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problem-based learning (PBL) is effective in learning majors in health care colleges. Objectives: To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self-efficacy, academic resili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physical therapy students after PBL. Design: Questionnaire design. Methods: 44 participated in a study using a Mandal-art chart for PBL in a first-year medical terminology class. Surveys assessing self-efficacy, academic resili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semester. The study evaluated changes in these competencies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Cronbach's α was calculated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each questionnaire scale.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pre and post PBL class levels of self-efficacy, academic resili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measurement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Self-efficacy, academic resilience, and self-directed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ter the PBL class compared to before the clas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self-efficacy and academic resilience, as well as between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dditionally, academic resili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Conclusion: PBL enhances self-efficacy, resili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which show positive correlations and interact to improve physical therapy education outcomes.
        4,200원
        5.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Recent cases of spinal cord infarction combined with cerebral infarction have demonstrated improved walking ability through pharmacological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However, studies on the efficacy of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remain limited.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rehabilitation strategies and establish a foundation for clinical practice, focusing on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for patients with spinal cord and cerebral infarctions. Design: A case study. Methods: A 70-year-old woman with combined spinal cord and cerebral infarction underwent 20 weeks of rehabilitation. Functional outcomes were assessed using Grip Strength, Manual Muscle Test (MMT), Trunk Impairment Scale (TIS), Manual Function Test (MFT), Berg Balance Scale (BBS), 10-Meter Walking Test (10MWT), and Korean Modified Barthel Index (K-MBI). Results: Over 20 weeks, Grip Strength improved to 6 kg (left) and 13 kg (right), MMT increased from 97 to 103 points, and TIS improved from 2 to 10 points. MFT scores increased to 18 (left) and 25 (right). BBS improved from 1 to 23 points, and the 10MWT time decreased to 19.84 seconds. K-MBI scores rose from 12 to 39 points. Conclusion: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cluding robotic therapy, significantly improved functional recovery, facilitating reintegration into daily life.
        4,000원
        6.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디지털 시기능 훈련용 게이밍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시기능 훈련 후 양안시기능의 변화를 조사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전신질환, 안과적 질환, 과거 수술력이 없고 사시 진단을 받지 않은 신체 건강한 성인 25명(남 자 14명, 여자 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언리얼 엔진을 기반으로 한 게이밍 프로그램은 시기능을 강화 및 훈련하 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모든 피검자에게 디지털 시기능 훈련용 프로그램을 한달 동안 일주일 2회, 30분간 시행하여 훈련을 진행하였다. 결과 : 디지털 시기능 훈련 전과 후의 조절근점은 13.08±2.26 cm에서 10.15±3.41 cm으로 향상되었다. 조절 용이성은 12.05±1.20회에서 9.78±1.32회로 개선되어 선명하게 초점을 맺는데 시간이 단축되었다(p<0.050). 버 전스용이성(Vergence facillity)은 12.89±2.34 회에서 9.14±1.75 회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 0.050). 외사위도는 –2.48±2.56 Δ(exo.)에서 -1.07±1.23 Δ(exo.)으로 외사위량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 하였고(p<0.050) 양성융합버전스 분리점은 21.99±4.26 Δ에서 24.55±2.89 Δ으로 개선되었고 음성융합버전스 분리점은 평균 17.57±2.12 Δ에서 18.69±1.60 Δ으로 약 0.1 Δ이 소폭 증가하였다. 결론 : 디지털 시기능 훈련으로 연구 대상자들의 외사위도가 감소하였고 조절력, 조절 및 버전스 용이성과 안구 운동성 능력이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디지털 시기능 훈련은 안구 운동성 기능과 양안시기능이 중요한 직군 의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고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활용가치 및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4,000원
        7.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case report discusses a 15-year-old female poodle with multifocal degenerative myelopathy, who achieved significant clinical improvement through intensive acupuncture and rehabilitation therapy. The patient presented with ataxia in both hind limbs, and imaging studies revealed multiple regions of disc protrusion. Rather than surgical intervention, conservative treatment was chosen, which included acupuncture, medication, and laser therapy. Following treatment, notable improvements in neurological symptoms and pain reduction were observed. This case highlights the potential effectiveness of non-surgical approaches in managing degenerative myelopathy.
        4,000원
        8.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Interest in cardiac rehabilitation therapy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after the addition of cardiac rehabilitation as a benefit item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n 2017. However, few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characterized cardiac rehabilitation in Korea. Objects: To assess the national epidemiological data on cardiac rehabilitation therapy in Korea from 2017 to 2023. Methods: This study analyzed MM453, a prescription code for cardiac rehabilitation therapy in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database. The data reviewed included the total number of cases per year and the number of cardiac rehabilitation therapy prescriptions per 100,000 people, along with sex and age distribution of patients undergoing cardiac rehabilitation therapy. Results: The number of cardiac rehabilitation therapy prescriptions in Korea increased from 4,443 in 2017 to 15,646 in 2023 (252.1% increase in 7 years). The incidence per 100,000 person-years rose from 8.64 in 2017 to 30.22 in 2023. The number of males undergoing therapy increased from 3,183 (incidence: 12.35) in 2017 to 11,276 (incidence: 43.53) in 2023. The number of females undergoing therapy increased from 1,260 (incidence: 4.91) in 2017 to 4,370 (incidence: 16.89) in 2023. The highest number of patients undergoing therapy from 2017 to 2023 was observed in the 60s age group (patients: 4,747, incidence: 9.17), followed by the 70s, 50s, and > 80s age groups. Conclusion: From 2017 to 2023, the number of patients undergoing cardiac rehabilitation therapy in Korea increased consistently. The therapy is approximately 2.6 times more common in males than that in females and is predominantly administered to individuals in their 60s, followed by those in their 70s, 50s, and 80s and above.
        4,000원
        9.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교정시설에 수감된 성폭력사범들의 인문융합치료 기반 교정프로그램 참 여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 구방법을 활용하여, 교정시설에 수감 된 성폭력사범 4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 하고, 참여자의 수기 기록물, 그림, 활동지, 연구자 노트 등을 자료로 수집하여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내면 성찰과 반성을 통해 과거의 잘못을 인정하고 교정하려는 의지를 보였으며, 삶의 변화를 기대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가족 내 갈 등과 상처를 극복하려는 노력과 함께 소통과 경청의 중요성을 깨달으며 관계 회복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경계 침해의 심각성을 깨닫고 타인의 권리를 존중하며, 성 범죄와 관련된 왜곡된 인식을 바로잡았다. 나아가 피해자에 대한 공감과 사회적 책임 의식을 강화하며 건강한 삶을 위한 결심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문융합치료 기반 프로그램이 재범 방지와 사회적응력 향상에 의미가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 는 성폭력사범 교정 및 재활 프로그램 개발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재범 방지 및 사회적응력 향상을 위한 새로운 접근을 제안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7,800원
        10.
        202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동물매개 활동에서 주로 사용되는 개, 토끼 등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매 개 치료 동물 외에도 다양한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동물 군을 발굴하고, 동물매개 활동 및 치료에서 파충류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매개치유 생물로 누에 나방(김소윤 외, 2022) 이나 수족관 물고기(최영복, 2023) 등을 이용한 선행 연구가 있었 다. 기존의 매개동물로 사용되는 개, 고양이, 토끼 등 포유류는 따뜻한 체온과 친밀감을 통해 안정감을 제공하지만, 파충류는 그와는 다른 자극을 유발하며 매개 동물로서의 안전 성과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있는 적합한 종들을 선별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대상 파충 류로 도마뱀은 호주 턱수염 도마뱀(Bearded Dragon), 푸른 혀 도마뱀(Blue-tongued Skink) 등 2종, 뱀은 공 비단구렁이(Ball python), 우유뱀(Milk Snake) 등 2종, 거북은 붉은 다리 육지 거북(Red-footed Tortoise), 중국 상자거북(Chinese Box Turtle) 2종을 선정하였다. 선정기준은 공격성이 낮고 인간의 핸드링에 익숙하며 체질이 강하고 환경변 화에 대한 스트레스가 낮은 종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비늘의 형태가 달라 다양한 질감을 느낄 수 있거나 신체 구조가 독특하여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종을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된 문헌조사를 통해 기존 연구들을 검토하고,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통 해 데이터를 검색하였다.
        4,200원
        1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연과 인간 활동을 결합한 치유농업은 현대 사회의 심리적·정서적 요구를 충족하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2021년 「치유농업육성 및 연구개발에 관한 법률」의 제정 이후 치유농업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국내 연구는 치유농업의 심리적·정서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구체화하는 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치유농업의 주요 영역인 원예치료에서 주요 치유 중재로 활용하는 작물재배활동, 특히 파종 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상징적 ‘평행적 주제’를 심층적으로 탐구하고자 수행되었다. 사회복귀를 준비 중인 수형자들이 참여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에서 수집한 활동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경력과 성취, 가족 및 인간관계, 개인적 성장과 회복력, 신앙과 영성, 공동체 기여와 같은 삶의 주요 주제와 파종 활동 간의 상징적 유사성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파종 활동은 대상자들에게 자기 성찰과 정서적 통합의 기회를 제공하며, 사회적 재통합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치유농업이 개인의 심리적 성장과 공동체 복귀를 지원하는 효과적인 치료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치유농업 이론의 심화와 실천적 적용 가능성을 확장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2.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작업치료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가정환경 수정 연구의 특성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RISS, KISS, e-article를 이용하여 2014년 7월부터 2024년 6월까지 국내 작업치료 분야에서 가정환경 수정 을 적용한 연구를 검색하여 최종 8편을 분석하였다. 결과 : 분석 논문의 질적 수준은 근거수준 2-5단계였으며 3단계가 가장 많았다. 고령자와 장애인이 대상자였으며, 가정 환경 수정은 평가, 중재, 재평가 과정으로 대상자에게 맞춤형으로 제공하였다. 평가와 중재는 작업치료사에 의해 이루어 졌고, 가정환경 수정만 적용한 연구 5편, 가정환경 수정과 다른 중재를 함께 적용한 연구가 3편이었다. 종속변인은 낙상 관련 요인이 가장 많았고, 주거환경, 건강상태, 작업 및 활동, 부양부담감 등이었으며, 평가도구는 총 13개로 낙상 위험 환경을 평가하는 HOME FAST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중재 결과 모든 분석논문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고하였다. 결론 : 국내 작업치료 분야에서 적용된 가정환경 수정 연구의 특성을 확인하고 임상에서 가정환경 수정을 적용하는데 기 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300원
        13.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 shift from traditional education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response to societal demands, emphasizes the need for developing assessment tools to measure major competencies—comprising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required to perform specific tasks. Thus, It is essential to develop assessing tools to measure the existing major competencies in physical therapy, enabling more effective management of educational outcomes on competencies.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ssessment tool for measuring major competencies within th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Design: Delphi survey research.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three major competencies and six sub-competencies of the Physical Therapy Department. To develop an assessing tool for measuring major competencies, conversion of the achievement factor into behavioral statements, and expert panel group Delphi survey was conduct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Delphi survey indicated 0.88 to 1, exceeding the established threshold and demonstrating adequate validity. Conclusion: A total of 54 preliminary questions for the major competency assessing tool were developed through the Major Curriculum Committee. Through the Delphi survey, the validity of the 54 preliminary questions for major competencies was secured.
        4,000원
        14.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Grit,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stress are crucial factors affecting a student’s ability to adapt to college. Objectives: The influence of grit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stress among college physical therapy students was analyzed. Design: Questionnaire design. Methods: A total of 208 three-year undergraduate physical therapy students were survey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at assessed their grit,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stress. The levels of each factor, the subfactors influencing each factor, and their correlations were analyzed. Results: Among college physical therapy students, having lower daily study hours was associated with lower grit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higher academic stress. Younger students showed lower self-regulatory efficacy and self-confidence and higher levels of academic stress (P<.05).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of each factor revealed a significant correlation: the higher the students’ grit, the higher their academic self-efficiency and the lower their academic stress. Additionally, higher academic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academic stress (P<.001). Conclusion: To enhance the grit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three-year college physical therapy students and reduce their academic stress,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ir learning time, develop educational support programs according to age, and apply various teaching methods.
        4,000원
        15.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ince core competence-based training is in demand, this study aimed to revise suitable major competencies for th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at U University and use them to propose appropriate educational processes. Objectives: This research was to modify the competencies established in 2020 for Physical Therapy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validate them using the Delphi survey, and modify a curriculum that aligns with competencies. Design: Panel survey research. Methods: This case study was conducted at U University. To reform curricula based on major competence, related documents were analyzed, expert opinions were obtained, and expert panel group Delphi survey was conducted. Results: The three major competencies of th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at U University and 6 sub-competencies were defined by focus group interviews and review by the Physical Therapy Department Curriculum Committee. Additionally, the validity of the major competencies was established by the Delphi survey. Conclusions: Through step-by-step analysis, the current curriculum was revised into three major competencies and six sub-competencies, and the validity of the selected competencies was secured through a Delphi survey.
        4,000원
        16.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자에게 심리적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상담 방법임을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불안 감소와 병식 향상에 대한 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S군 소재 정신병원에 입원 중인 18명의 알코올중독 환자를 대상으로 각 9명씩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연구를 실시 하였다. 실험처치로서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주 2회 4주간 총 8회기 진행하였다. 실험 전후에 우울 증상과 병식 수준을 측정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는데, 연구 결과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알코 올중독자의 우울 감소 효과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냈다. 병식에 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비교집단에서는 병식이 감 소한 반면, 실험집단에서 긍정적 수치 변화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 는 이야기치료 집단상담이 알코올중독자의 심리적 문제 개선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후 이러한 상담 방법을 더 확장하고 세부화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을 시사 하고 있다.
        6,100원
        17.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치매 노인의 사회참여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를 적용한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중재의 효과 및 종류, 평가도구를 분석하고 작업치료 임상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정립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14년부터 2024년까지의 문헌을 RISS, Pubmed, Embase를 통해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로는 “치매(dementia)”, “사회적 활동(social activity)”, “여가활동(leisure activity)”, “놀이 활동(play activity)”, “사회적 상호작용 활동(social interaction activity)”, “지역사회 기반 활동(community based activity)”, “사회참여(social participation)”, “작업치료(occupational therapy)”가 사용되었다. 선정 및 배제 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9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결과: 연구의 질적 수준, 비뚤림 위험, 중재의 종류, 중재의 효과, 평가도구를 확인하였다. 선정된 연구는 대부분 높은 질적 수준과 낮은 비뚤림 위험을 가지고 있었다. 중재의 종류는 크게 다섯 가지로 분류되었고 작업 및 활동 기반 접근과 인지 작업치료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선정된 모든 문헌에서 작업치료 중재가 치매 노인의 사회참여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사회적 활동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의 향상이 두드러졌다. 총 23가지의 평가도구가 사용되었는데, 캐나다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과 사회행동척도(Social Behavior Scale)가 가장 높은 활용 빈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작업치료 중재가 치매 노인의 사회참여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임상 활용의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5,700원
        18.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델파이 조사를 통해 뇌졸중 환자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델파이 조사 기간은 2023년 3월부터 2023년 6월까지 였으며, 총 3차에 걸쳐 진행되었다. 전문가 구성은 정신보건계열 작업치료 임상경력 3년 이상인 자, 작업치료학과에서 정신사회 작업치료 관련 강의 및 연구 경험이 있는 교수들 중에서 10명을 선정하였다. 근거에 기반한 설문을 구성하기 위해 문헌고찰을 실시하였으며, 1차 델파이 조사는 반개방형 설문을 통해 얻은 전문가들의 답변을 바탕으로 적합한 항목을 추출하였다. 2, 3차 델파이 조사는 각 항목에 대한 적절성을 묻기 위해 리커트 4점 척도를 이용하여 표시하도록 하였으며, 취합된 값을 정리하여 항목별 평균, 표준편차,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Ratio: CVR), 각 문항의 타당도(Item-level Content Validity Index: I-CVI), 안정도, 수렴도, 합의도를 산출하였다. 결과: 델파이 조사 결과 각 항목들의 최종 종합 평균은 3.60, 표준편차 0.48, CVR 0.96, I-CVI 0.98, 안정도 0.13, 수렴도 0.43, 합의도 0.77로 항목에 대한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선정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인지행동치료에 대한 교육, 인지적 재구조화, 행동적 개입(이완 및 호흡훈련⋅사회기술 훈련⋅행동시행), 활동의 마무리’였으며, 총 16개의 관련 주제가 도출되어 각 주제별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전문가들의 응답과 각 항목별 기준에 따라 최종 항목을 도출해 내었으므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고, 뇌졸중 환자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첫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5,100원
        19.
        2024.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주간 보호센터 노인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가 스트레스, 무력감 및 자아존중 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려는 것이다. 노인 인구 증가와 수명 연장으로 노년기의 행복한 삶이 중요 해지고 있으며, 자존감을 높여 노년기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한 치료적 개입이 필요하다. 연구는 P시 소재 J주간 보호센터 이용 노인 3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15명씩 무선 할당하였 다. 실험은 2023년 6월부터 9월까지 주 1회, 60분씩 총 15회기 진행하였다, 효과성 검증 도구로는 스 트레스, 무력감, 그리고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SPSS WIN 26.0으로 t-test와 Mann-Whitney의 U,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 단 사전-사후 스트레스 척도에서 유의한 감소로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둘째, 실험집단 사전-사후 무 력감 척도에서 유의한 감소로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셋째, 실험집단 사전-사후 자아존중감 척도에서 유의한 향상으로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주간 보호센터 노인의 스트레스 및 무력감을 감소시키고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이는 집단미술치료가 노년기 삶의 질과 행복감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집단미술치료가 노년기 자존감 과 행복감 향상에 의의가 있다.
        5,100원
        20.
        2024.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생체에너지를 응용한 에너지테라피 프로그램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 검증이다. 본 연구는 에너지 테라피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검 증하여, 불안을 호소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 연구 목적이다. 연구 대상 은 6개 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에너지테라피 프로그램 참여자 303명과 비참여자(대조군) 48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불안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 는 통계 프로그램 패키지 SAS 6.12를 이용하여 분산분석, T-검정,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불안은 남성보다 여성이 불안 지수가 높았으며, 연령은 30세 미만, 학력은 대학교 재학 중일 때, 결혼 유무는 기타, 월 가계 수입은 150만 원 미만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비참여자에 비해 에너지테라피 프로그램 참여자의 불안 지수가 낮았으며, 사전 사후 를 검증할 때, 불안이 감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 참여 강도가 크고, 참여 기간이 길수록 불안 감소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에너지테라피 프로그램 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정신건강 분야인 심리적 문제에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입 증하였다.
        4,9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