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사 한국어 교재 분석을 통한 교재 개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through the Analysis of Current Korean Textbook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83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시사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여 시사 한국어 교재 개발 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교재 선정, 교수학습의 측면을 고려한 시사 교재의 내외적 분석 기 준을 마련하였다. 그 결과 외적인 면에서 교재의 내구성이 좋고, 사용자 의 편의성이 뛰어난 교재와 그렇지 않은 교재가 있었으며, 자료의 실제 성 면에서 부족한 교재도 많았다. 내적인 면에서는 사용 지침이 불분명 고 읽기 중심이 대부분이었다. 일부 어휘와 번역을 제공한 경우가 있었 고 문법은 제공되지 않았으며, 학습 활동에서는 교재마다 차이가 많았고, 자기주도적 학습 교재가 드물었다. 따라서 시사 한국어 교재는 교수자 중심과 읽기 중심에서 벗어나야 하며, 학습자 수준 및 시의성과 실제성 을 고려한 교재가 필요하다. 또 학습자 요구조사를 고려한 시사 주제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학습 후 활동 문제의 체계성을 갖춘 교재, 새로운 교 수법을 고려한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다만 분량상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상기 분석 교재들의 보다 구체적인 내용상 분석과 특징은 향후 연구로 계속하겠다.

This study is to analyze domestic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and seek development direction and seek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textbooks for development direction.To this end, there was a standard analysis criteria for teaching materials, and external analysis criteria for teaching learning.As a result, there was a teacher with excellent durability of teachers, and there were no teachers who have excellent convenience in the actual nature of the data, and there were many teachers who lack of data.In my area, most of the use guidelines were unclear and read center. Some vocabulary and translation was not provided, and the grammar law was not provided, and there were many differences in learning activities, and self-directed learning classes were rare.Therefore, the Korean textbooks have to escape center and read center and reading center and reading center, and the actuality of learners.In addition, it was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implications for learner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new teaching methods after learning, and new teaching methods of activities. However, the specific analysi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bove analysis textbooks that were not covered in this study in terms of quantity will continue with future research.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시사 한국어 교재 분석 및 개발 방향
    1. 시사 한국어 교재 분석
    2. 시사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박영미(경성대학교) | Yeongmi Bak (Kyungsu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