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focused on the condition of washed, fresh ginseng in the market and analyzed consumer attitudes to the product to improve the consumption of fresh ginseng. A preference for fresh ginseng was high among every age class, and was particularly notable in older individuals. Fresh ginseng was usually eaten as ginseng chicken soup, mostly in summer and winter, and as a valuable health food, rather than because of desirable qualities of taste or smell. A total of 66.5% of those surveyed reported that they had purchased fresh ginseng, mostly from big discount stores. Such stores were preferred as outlets owing to a reputation for quality and shopper convenience (the stores were located near interviewees' homes). More than 70% of purchasers emphasized that they chose to purchase in department stores and traditional markets owing to the reputation for quality of such sources. Most consumers considered quality to be a prime element in purchase decisions. A total of 32.9% of those surveyed had bought washed fresh ginseng to give as a gift to a friend. Of those surveyed, 67.1% had never bought washed fresh ginseng. The following reasons were proposed to explain the preference for purchase of ginseng with attached soil. Most consumers (40.2%) thought the soil was a reflection of quality. Those who preferred washed fresh ginseng considered that the material was hygienic and convenient to store. When questioned about their intention to buy washed fresh ginseng, 55.0% of consumers replied in the affirmative and 17.1% in the negative. When consumers were asked whether they would be willing to pay an additional charge for the washing and packing of fresh ginseng, 58.8% answered in the affirmative.
We evaluated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a facility in which freshly cut onions were prepared. The total plate counts on walls, equipment, and raw materials were ND (not detected) to CFU/100 , CFU/100 , and CFU/g, respectively. No coliforms were detected on walls however, coliforms were detected at concentrations of ND to CFU/100 and CFU/g on equipment and raw materials, respectively. The total plate counts for falling and floating bacteria in the processing plant were ND to CFU/plate and , respectively. Pathogenic microorganisms such a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and Listeria monocytogenes were not detected on walls, equipment, or raw materials. Overall,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hygiene control at the fresh-cut processing plant should be improved.
본 연구에서는 포도의 객관적 품질 계량화 기술 개발을 위하여 포도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 및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설문 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구입 빈도, 구입장소, 구입 단위, 선호도, 포도 씨 유 무에 대한 선호도 및 내 외적 품질인자 등이었다. 총 519명의 응답자에 대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PSS Win program(Version 14.0)을 이용하여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을 실시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
본 연구에서는 버섯 선호도와 섭취빈도 등을 알아보고 버섯가공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등을 조사하여 소비촉진을 위한 버섯가공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총 조사 대상자는 1173명으로 성별로는 남자가 370명(31.5%), 여자가 803명(68.5%)으로 구성되었고,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0.0세였으며 조사대상자의 333명(28.5%)이 새송이 버섯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별에 따른 선호하는 버섯의 경우는 2
본 연구에서는 사과의 '고품질'이라는 개념 설정과 품질을 계량화 할 수 있는 기본 기술 개발을 위하여 20대부터 50대까지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내 외적 품질인자에 대한 소비자 기호도 및 인지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사과는 대형할인마트나 재래시장에서 소포장이나 낱개 단위로 구입되고 있었으며, 젊은 층 보다는 높은 연령층에서 많이 소비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소포장규격 정립과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한 사과소비 촉진 마케팅
본 연구는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의 지하수 화학 조건을 조절하는 수리지구화학 특성을 규명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처분장 주변의 관측공 중 12개의 관측공이 선정되었으며, 이들 시료를 심도별로 총 46 지점에서 채취하였다. 또한 지표수 3점과 해수 1점의 시료도 채취하였다. 채취된 시료는 양/음이온 분석이 수행되었으며, 물과 용질의 기원을 규명할 추적자로서 산소-수소, 삼중수소, 탄소, 황 동위원소도 분석되었다. 산소-수소 동위원소 분석 결과 지표수와 지하수는 모두 강우 기원임을 보여주었으며, 삼중수소 농도는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감소하고는 있으나 높은 삼중수소 농도는 최근에 충진된 물임을 나타내고 있었다. 양/음이온 분석 결과를 통한 수질 유형 분석에서는 연구 지역 지하수는 Ca-Na-HCO3 유형과 Na-Cl-SO4 유형이 대표적이었으며, 상관 분석 결과 이들 이온은 해염, 물-암석 반응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연구 지역에서 Na 비율이 높은 이유는 양이온 교환 반응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연구 지역의 산화-환원 조건의 경우에는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낮은 DO와 Eh 값을 나타내어 환원 환경이 형성되었음을 나타내며, 높은 Fe와 Mn의 농도는 Fe와 Mn 산화물의 환원 반응이 산화-환원 조건을 조절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New somatic chromosome numbers and karyotype analyses of 33 medicinal herbs (30 genera, 23 families) in Korea were investigated. The chromosome numbers of 4 taxa, Euryale ferox, Rodgersia podophylla,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ce, Eehinops setifer, showed results that are different from previous reports. Among 33 taxa, 23 taxa we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and karyotype analyses were newly conducted for 2 taxa (Tiarella polyphylla, Crepidiastrum denticulatum) in Korea. In addition, we observed for the first time the new chromosome numbers for 4 taxa distributed evenly over the world (Lindera erythrocarpa, Corylopsis glabrescens var. gotoana, Ardisia crenata, Callicarpa japonica var. luxuri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