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3

        41.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사진을 활용한 언어활동이 유아의 어휘력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D시의 2개 병설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집단 유아 20명에게 하위 집단별로 8주 동안 주 2회씩 총 16회 사진을 활용한 언어활동을 진행하였으며 실험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어휘력과 언어표현에 관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사후 검사 점수에서 사전 검사 점수를 뺀 증가분에 대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사진을 활용한 언어활동은 유아의 어휘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언어표현력의 하위 영역인 단어 수, 문장 수, 내용의 일치도, 내용의 연계성, 창의적 표현을 포함하여 언어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 단위로 시공되는 플로팅 구조물의 거동은 콘크리트 모듈 접합부의 거동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극한하중조건에서의 플로팅 구조물의 구조적 거동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 모듈 접합부의 구조거동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모듈 접합부 전단키의 전단거동, 전단강도 및 균열 패턴을 파악하였다. 실험결과는 전단키의 경사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단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구속응력이 증가함에 따라 전단키의 전단강도가 증가한다. 실험결과와 AASHTO 제안식에 의한 예측값을 비교하였으며, AASHTO 제안식은 실험값을 과소평가하고 있다.
        43.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현재 어플리케이션 마켓 시장에 공급되고 있는 유아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양한 기준으로 분석하고, 유아들의 발달 특성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특성이 유아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아이폰 웹스토어 및 안드로이드 마켓 등의 교육 카테고리에 탑재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중 61개의 유아용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였고, 학습 유형별 콘텐츠 유형, 인지부하원리, 멀티미디어 설계원리에 기반을 둔 분석기준을 토대로 유아용 어플리케이션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좀 더 다양한 유형의 어플리케이션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스마트폰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설계원리를 준수하고, 무분별한 멀티미디어 사용을 지양하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44.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들이 본인들의 실제 수업을 어떻게 이해하고, 그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의 양상과 이에 대한 교사 자신의 개선방안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치원 교사들과 개별면담과 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치원 교사들은 크게 수업을 준비하고 실행하며 실행 후 평가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준비과정에서 연간 및 월간, 주간 교육계획 준수와 수업자료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수업을 준비하고 수업자료와 수업준비 시간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경험하며, 동료교사와 장학자료 등을 수업에 긍정적인 자극을 주는 요인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실행과정에서는 유아 통제와 불예측적인 업무 측면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수업평가과정에서 수업개선을 위하여 동료교사의 만남, 보조 인력 확보 그리고 교사 자신의 인식의 변화가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45.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s paper tries to identify the deep meaning beneath the seemingly chaotic opposites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poem seems to insinuate. The fact is that The Waste Land is not so much a post-modern poem as a pre-modern one, provided we acknowledge that pre-modernity has trust as its hermeneutical principle. The Waste Land can be compared with Hopkins’ “God’s Grandeur”, which uses resurrection epistemology, as opposed to the extinct immanent epistemology, to demonstrate to the intellects the providence of God revealed in their lives and their environment. Like the resurrection epistemology of the 19th century, Eliot’s poem demonstrates the existence and working of God among themselves, in spite of the negativity of death and unreality prevalent in the modern world. Broadly speaking, modern scholarships of T. S. Eliot have been made with special reference to post-modern poetry, since there appear a lot of opposites in his poem. Appended for the explanation of the poem, “Notes” to The Waste Land use the languages of philology and impressionism in an exclusively confusing way, twisting the reading of the text into a worse confusion, with the result that it does not shed any light on the explanation of the poem. Chapman’s theory of doubleness the poet frequently resorts to in the making of his poetic works, points to the specific perspective beyond the ambiguity and chaos prevailing in the poem. Special reading strategy is in dire need for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text. Every reader approaching his text must retain the hermeneutics of trust, which is the “leap of faith.” With the hermeneutics of trust, every reader can penetrate into “the third” in the text, which can be identified as Jesus Christ whom the disciples met on the way to Emmaus. Without proper reader’s response, the reading practice itself would be futile and unreal, because the subjects it tackles are concerned aboutthe great proposition, salvation.
        46.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유아 교사들과 수업분석활동을 실시하여 예비교사들이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유치원 수업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어떠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실제 유치원 수업 동영상을 시청하고 수업에 대한 저널을 작성하였으며, 이에 대하여 조별토의와 개별면담을 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수업을 바라보는 과정에서 유아보다는 교사를 중심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수업이 이루어지는 과정 중 교사의 통제 필요성과 계획과 실천의 일치를 강조하여 수업을 보았다. 또한 수업의 구성요소로서 교수매체, 음성, 목표를 중심으로 인식하였다.
        47.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뇌발달 연구모임을 통한 영아반 교사의 역할 수행 변화 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뇌발달 연구모임을 구성하여 운영하였다. 뇌발달 연구모임의 구성원은 본 연구자와 뇌발달 연구모임 참여에 동의한 행복한 어린이집의 영아반 교사 6명이다. 뇌발달 연구모임의 운영기간은 2007년 1월 12일부터 2007년 10월 1일까지 총 10개월이다. 모임이 운영되는 기간 동안 협의 자료, 교사 면담 자료, 연구자의 약기, 교사의 기록, 기타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분석은 전사 및 자료의 통합, 영역 분석, 자료 분류 및 분석, 분류된 내용의 해석 단계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뇌발달 연구모임 초기 영아반 교사들은 영아를 모르는 영아반 교사였다. 영아를 미숙하고 미흡한 존재로서 교육이 불가능한 존재로 바라보고 단지 크기가 작은 유아로서 영아로 바라보고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뇌발달 연구모임이 운영되면서 영아를 ‘미흡하고 미숙한 존재’가 아닌 ‘무한한 가능성의 존재’로 바라보게 되었고 영아에게 환경이자 환경제공자로서 자신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인식하고 영아에게 적합한 가르침을 제공하기 위하여 고민하고 노력해 나갔다. 또한 영아의 무한한 가능성 발휘를 위하여 정서적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영아와 영아의 정서를 존중하는 정서적 보살핌을 제공하기 위하여 노력해 나갔다. 영아반 교사들은 영아교사로서 역할 수행의 초석이 되는 바람직한 교육관을 형성하게 되었다.
        48.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아평가란 교육과정 운영계획에 따라 교육 활동을 전개하면서 교육활동 전, 교육활동 과정 중, 그리고 교육활동 후에 나타나는 유아들의 발달 상황에 대한 이해를 말한다. 유아평가는 유아의 건강, 기본생활습관, 정서적 안정감, 사회적 적응, 창의적 표현, 의사소통능력 및 탐구심 등에 중점을 두고 유아 개개인의 발달에서 진보된 부분과 지연된 부분의 발견에 초점을 두도록 해야 한다. 또한 평가는 유아의 개인적 발달 수준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학급에 속한 모든 유아의 발달 수준의 범위를 발견하기 위해서 그리고 학습의 효과 및 발달적 변화를 비교하고 다음 단계의 학습에 대한 준비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서 필요하다(교육부, 1995). 결국 유아평가의 목적은 각 개별 유아를 더 잘 이해하는데 있으며,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아에게 긍정적 도움을 주어 유아의 발달을 돕는데 있다 하겠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유아평가는 주로 검사의 형식으로 이루어졌으며, 따라서 평가방식도 주로 표준화된 도구를 이용한 측정방식을 따랐다. 이러한 경향에 대해 많은 유아교육자들이 비판하고 있다. 예를 들어 표준화 검사에서 제시하는 검사문항은 대부분 아동에게 기계적 암기만을 강조한다는 점, 검사가 유아의 능력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 그리고 검사문항이 유아의 실제생활과 관련이 없다는 점 등을 지적하고 있으며, 아동의 상위사고기술(higher-order thinking skill)을 측정하지 못한다는 점도 약점으로 지적하고 있다. 더구나 표준화 검사는 학습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이 영향은 계속 누적된다. Paris, Lawton, Turner & Roth(1991)연구에 의하면 학습자가 검사를 받으려는 동기는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 결과는 학습자가 검사 경험이 증가될수록 검사를 싫어하게 된다는 것을 뜻한다. 학습자는 표준화 성취검사에 대해서 불쾌하게 생각하거나 불안해하며 검사결과 자체를 인정하려 하지도 않는다. 더구나 낮은 점수를 받은 학습자는 다음 검사나 시험에 성공하려는 노력을 포기하는 방법으로 검사에 대한 불안을 줄이고 자아 존중감을 지키려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표준화 검사와 같은 검사에 대한 의존은 검사의 내용에 따라 교육과정의 내용이 결정되는 폐해를 가져왔다. 이러한 검사주도의 교육과정은 교육의 질을 떨어뜨리고 학습의 기회를 제한한다(Shepard, 1991). NAEYC(1988)에서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 "유아들은 검사지 문항에 대해 한 가지 옳은 답만을 찾도록 배웠고, 생각하도록 격려되지는 못했다"라고 개탄했다. 이러한 전통적인 검사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좀 더 유아의 발달과 학습을 정확히 이해하고 그 이해를 교수과정에 반영할 수 있는 유아평가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그 성과의 하나가 포트폴리오 평가이다. 학자에 따라서는 이를 참 평가(authenticassesment), 대안평가(auternativessessment), 수행평가(performance assessment)등으로 부른다. 포트폴리오나 수행 평가방법은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서 나오는 자연스러운 결과물이다. 포트폴리오 평가란 유아가 하고 있는 작업 활동과 그 활동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관찰하고, 기록하고, 진술하는 과정이며 이것은 유아에게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교육적 결정을 하게 될 때 기초가 될 수 있다(NAEYC & NAECS/SDE, 1991, p21).
        49.
        2007.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 동화를 활용한 언어활동을 실시하여 봄으로써 유아의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 유아는 충청북도 청주시에 위치한 S유치원 2개 학급 유아들이다. 2개 학급 모두 만5세 반이며, 유아 수는 실험집단은 30명(남:15, 여:15), 통제집단은 29명(남:14, 여15)이었다. 연구 결과 컴퓨터 동화를 활용한 언어활동은 유아의 언어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유아들은 컴퓨터 동화를 활용한 언어활동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그 결과 유아의 언어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0.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 놀이와 자유선택활동의 교육적 의의를 뇌과학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뇌는 인간 모든 행동을 관할하는 기관으로 학습 또한 뇌에서 이루어진다. 뇌의 학습을 도모할 수 있는 뇌 기반 학습은 위협이나 스트레스가 없는 정서적으로 안정된 분위기와 풍부한 학습 환경에서 유의미한 내용을 정서와 신체적 움직임을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자유선택활동은 긍정적인 정서와 신체적 움직임을 수반하는 놀이를 맥락적인 연결을 맺고 있고 다감각을 활용하게 하는 흥미영역환경에서 유아가 자신의 자유 의지에 따라 주도적으로 선택 및 계획하고 실행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유의미한 내용을 유의미하게 학습하게 한다. 따라서 자유선택활동은 뇌 기반 학습에 부합되는 학습활동으로 학습의 효과를 거두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자유선택활동의 뇌과학적 이해는 자유선택활동의 교육적 의의에 대한 과학적 입증으로 바람직하고 적극적인 지도를 위한 노력이 요구됨을 제시한다.
        51.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터넷과 다양한 전자 매체들은 교실 수업에서 유아들에게 다양한 학습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전통적인 학습 활동들이 공간과 자료들의 한계로 인하여 유아 개개인의 요구와 수준을 맞추는 것이 어려웠다면 인터넷과 전자 매체와 같은 공학기술들은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해 줄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장점들을 갖는 것이 바로 e-learning이고, 유치원에서는 e-learning을 통해 학습의 극대화를 꾀하고자 하는 것이다. e-learning은 학습 환경의 경계를 확대시키고 최신의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해 주며, 다양한 인적 물적 자원들과 상호작용 하고, 공통 관심사에 대해 학습공동체를 형성시켜 주는 등의 특징들로 인하여 많은 교육효과를 줄 수 있다. 이는 인터넷이나 멀티미디어 자료, 웹기반 협력 테크놀러지, 개방적 소프트웨어/프로그램 등이 갖는 장점들이 연합하여 학습을 촉진한다(강숙희, 2001; Hannafin, Hannafin, Land, & Oliver, 1997; Haugland, 2000; Papert, 1980). 또한, 새로운 공학기술 자체가 교육의 효과를 줄 수도 있지만 이와 더불어 전통적인 학습활동과의 통합 운영, 효과적인 교수 학습 접근들을 함께 고려한다면 유아의 학습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e-learning의 특성들은 구성주의 관점과 여러 측면에서 유사한 점을 갖고(강숙희, 2001), 컴퓨터는 다른 매체에서 이루기 어려운 구성주의 전략을 실행하는 데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하기 때문에( Driscoll,, 2002), e-learning 활동에서 구성주의 접근을 함께 고려하는 것은 유아의 학습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learning 환경이 갖는 특성을 이해하고 유치원에서 행해질 수 있는 e-learning 활동을 제시한다. 또한, 구성주의 접근을 위한 학습 원리와 구체적인 교수-전략도 함께 제시한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