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2

        121.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 다양한 블루베리 품종이 재배되고 있으나 품종 도입이 묘목업자들에 의해 주도됨으로써 정확한 품종의 판별이 어렵고 구입한 품종의 특성이 상이하여 재배자들이 고충을 겪는 일이 많아 국내 도입된 블루베리 품종의 형태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블루베리 신초 마디의 길이는 대부분 품종이 10~20mm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북부 하이부쉬블루베리 품종 계통의 마디가 길고 래빗아이블루베리 품종의 마디가 짧은 편으로 나타났으나 품종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나타나 일관적인 특성으로 볼 수는 없었다. 잎의 종경은 품종에 따라 3~8cm으로 나타났으며, 횡경은 1~4cm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잎은 하이부쉬블루베리의 경우 짙고 빛나는 왁스층을 띄는 녹색을 띄는 특징을 지닌 것들이 대부분이었으며 래빗아이블루베리나 남부 하이부쉬블루베리의 경우에는 하얀 분가루가 있는 듯한 연녹색 잎색을 띄는 특징을 보였으나 품종별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하이부쉬블루베리의 경우 화기의 색은 하얀색이 대부분이었으며 래빗아이블루베리 계통은 붉은색을 띄는 것이 많았으며 그 종간교잡종인 남부 하이부쉬블루베리에서도 붉은색을 띄는 품종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화기의 종경은 대부분 5~9mm, 횡경은 8~13mm로 나타났으며 화관 크기는 2~6mm로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과실의 무게는 품종에 따라 1~3g으로 나타났으며 과실의 종경은 14~20mm, 횡경은 10~15mm으로 나타났다. 과실의 경도는 0.4~0.6N으로 대부분은 0.5~0.6N으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당도는 11~16oBrix으로 조사되었으나, 대부분 품종의 당도는 11~12oBrix로 나타났다. 과실의 산도는 0.3~1.3%로 ‘Bladen’, ‘Duke’, ‘Friendship’, ‘Georgiagem’, ‘Northsky’, ‘Polaris’가 산도 0.3%로 가장 낮아 반수고 하이부쉬블루베리 품종의 산도가 대부분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확기는 북부 하이부쉬블루베리 조생종인 ‘Weymouth’가 5월 23로 가장 빨랐으며 래빗아이블루베리인 ‘Tifblue’와 ‘Southland’의 수확이 8월 초순으로 가장 늦었다. 수확 기간은 짧게는 2주일부터 길게는 품종에 따라 7주 정도가 소요되었다. 이와 같이 블루베리 품종별 형태적 특성 조사를 군집 분석한 결과, 종에 따른 차이는 항목에 따라 나타나기도 하였으나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아 형태적 차이에 따른 품종의 구분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어 품종 구분을 위해서는 형태적 특성 외에 분자 마커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122.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도 송이다듬기는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므로 노동력을 감 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송이다듬기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 구를 수행하였다. 포도의 송이다듬기 기술은 지경솎기가 알솎 기에 비하여 작업효율성이 6.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실 품질은 지경솎기 및 알솎기가 무처리구보다 과방과 과립수가 적지만 가용성 고형물은 높고, 산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압상률 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송이다듬기에 의한 포도의 송이 품질 균일도를 조사하기 위해 송이의 기부, 중간 및 선단 부분의 가용 성 고형물 함량과 산도를 측정한 결과 350~450 g의 과방중을 가진 포도송이가 송이 내 위치에 따른 품질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123.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도입된 하이부쉬 블루베리의 품종 선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블루베리의 형태적 및 품종별 화기 특성에 관 해 연구하였다. 블루베리의 수술의 형태를 보면 화사는 판형이 었고 모용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개약 시 약벽이 열개되지 않고 돌출된 두 개의 관으로 꽃가루가 배출되어 독특하였다. 화분은 3월 하순경에 감수 분열된 후에 분리되지 않은 채로 성숙한 사분 자 화분(tetrad pollen)이었다. 약당 사분자 화분립 수는 400~ 1,300개였으며, 화분립 수가 많은 품종이 발아율도 높은 편이었 다. 블루베리의 암술은 5개의 심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화주는 갈라진 부분이 없이 하나였다. 자방당 배주 수는 39~67개 정도 였으며, 각 품종별로 변이 계수가 11.6~31.0%로 큰 편이었다. ‘Bluejay’와 ‘Sharpblue’간의 자가 및 타가교배 결과 자가교배보 다 타가교배에서 종자 형성률이 높았다.
        124.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양구조물의 말뚝기초 주변에서 일어나는 세굴 현상은 구조물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구조물의 기능을 잃게 만들기도 한다. 기초 주변에서 발생하는 와류는 세굴의 주된 요인이며, 그것은 유동조건, 지반조건, 기초의 형태 등에 영향을 받는다. 세굴에 의해서 해양구조물 기초말뚝의 근입깊이가 감소하면 지지력이 감소하고 구조물에 큰 변위가 일어나 결국 구조물의 붕괴로 이어지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구조물 주변에서의 세굴심을 예측하기 위해 STAR-CCM+라는 3차원 상용 CFD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다. 해저면을 높은 동점성계수와 밀도를 갖는 유체로 가정하여 VOF multiphase 모델을 이용한 세굴심 예측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 모델은 RANS (Reynolds Averaged Navier-Stokes) 방정식 기반의 k-Є 난류모델을 해석하여 세굴심을 산정한다. 모델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험 논문과의 비교가 이루어졌으며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125.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충부란 하천형상의 영향으로 유수가 제방에 부딪혀 유속이 상대적으로 상승하는 구간을 말한다. 특히 만곡의 수충부에서는 만곡부 외측에 빠른 유속이 발생하여 제방의 침식을 야기하므로 유속의 흐름 방향을 적절히 조절하여 피해를 줄이는 수리구조물의 설계가 필요하며 대표적으로 수제를 들 수 있다. 수제는 유속을 제어하여 제방이나 하안의 침식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 외에도 수생 생물들의 서식처를 제공하고 수제역 내의 재순환 영역이 하천생태 개선의 도움을 주는 등 다양한 기능들로 국내 및 국외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직선 수로에서 수제의 방향, 투과율 변화에 따른 흐름 분리 영역, 선단유속과 선단흐름각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하지만 만곡 수로의 경우, 만곡부 내 이차류 거동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진행되었을 뿐, 만곡 하천에서의 수제 설치로 인해 생기는 흐름 변화를 파악하고 그 효용성을 판단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국외의 경우, 만곡부에서 변형된 수제(vane, barb)을 설치하여 하상 형상의 변화와 3차원 흐름 패턴과 난류 특성에 대하여 정량적인 수치로 제시하였지만 변형된 수제를 설치하였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곡수로에서 수리구조물의 설치로 인한 유속의 변화와 그에 따른 난류 인자들의 변화 파악하여 수충보를 보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로 길이 24.4m 주수로폭 0.5m 비탈면경사 1:2, 수로경사 2%의 사행수로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단일수제의 설치 여부에 따라 두 가지 실험으로 나누어 수행하였으며, 하류수위 0.25m, 유량 0.13m3/sec로 흐름조건을 동일하게 하였다. 평균수심을 특성길이로 산정한 Reynolds 수는 1.35×105으로 수로 내 흐름이 난류 특성을 띄기에 충분히 큰 값을 보였다. 유속의 흐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Acoustic Doppler velocimeter(ADV)를 사용하였으며 흐름방향의 수직 단면에 대하여 횡방향과 수심방향에 따라 등간격으로 나누어진 65지점에서 3차원 유속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유속은 이차류와 Reynolds 전단강도와 난류운동에너지를 파악하는 데 이용되었다. 실험결과, 수리구조물 설치로 인해 만곡부 외측에서의 유속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주수로에서 제방을 향했던 유속 벡터 또한 그 편각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26.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map of farmland vulnerability to flood inundation based on morphologic characteristics from the flood-damaged areas. Vulnerability mapping based on the records of flood damages has been conducted in four successive steps; data preparation and preprocessing, identification of morphologic criteria, calculation of inundation vulnerability index using a fuzzy membership function, and evaluation of inundation vulnerability. At the first step, three primary digital data at 30-m resolution were produced as follows: digital elevation model, hill slopes map, and distance from water body map. Secondly zonal statistics were conducted from such three raster data to identify geomorphic features in common. Thirdly inundation vulnerability index was defined as the value of 0 to 1 by applying a fuzzy linear membership function to the accumulation of raster data reclassified as 1 for cells satisfying each geomorphic condition. Lastly inundation vulnerability was suggested to be divided into five stages by 0.25 interval i.e. extremely vulnerable, highly vulnerable, normally vulnerable, less vulnerable, and resilient. For a case study of the Jinju, farmlands of 138.6km2, about 18% of the whole area of Jinju, were classified as vulnerable to inundation, and about 6.6km2 of farmlands with elevation of below 19 m at sea water level, slope of below 3.5 degrees, and within 115 m distance from water body were exposed to extremely vulnerable to inundation. Comparatively Geumsan-myeon and Sabong-myeon were revealed as the most vulnerable to farmland inundation in the Jinju.
        127.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브로콜리 74 계통 화기 구조를 통한 소포자 배 발생을 살펴본 결과 18개 계통에서 소포자 유래 배 발생이 확인되었다. 특히 08-8-8 계통과 08-8-33 계통에서 petri dish 당 20개 정도의 소포자 유래 배 발생이 확인되었다. 높은 소포자 유래 배 발생 계통인 08-8-8 계통과 소포자 유래 배 발생이 되지 않는 08-8-10 계통을 대상으로 화뢰의 크기에 따른 소포자 발달 단계 및 밀도를 조사하였다. 소포자 유래 배 발생 효율이 높은 08-8-8 계통과 소포자 유래 배 발생 효율이 낮은 08-8-10 계통 사이에 화뢰의 구조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화뢰의 크기가 M 사이즈인 경우에만 주두의 길이가 화엽의 길이보다 더 길었다. 화뢰의 크기와 소포자 수와는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나 S 사이즈의 화뢰인 경우에는 소포자를 관찰할 수 없었다. 화뢰 당 소포자 밀도는 08-8-10 계통보다 08-8-8 계통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화뢰 M 사이즈의 1핵성 후기 소포자 비율은 08-8-8 계통에서는 91.3%, 08-8-10 계통에서는 45.7%로 나타났다.
        128.
        201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compared equilibrium evaporation(Eequili) eddy-covariance(Eequili) with soil moisture data(ESMseries) which were measured with a 2 hours sampling interval at three points for a humid forest hillslope from May 5th to May 31th in 2009. Accumulations of Eeddy, Eequili for the study period were estimated as 2.52, 3.28 mm and those of ESMseries were ranged from 1.91 to 2.88 mm. It suggested that the eddy-covariance method considering the spatial heterogeneity of soil evaporation is useful to evaluate the soil evaporation. Method A, B and C were proposed using mean meterological data and daily moisture variation and the computations were compared to eddy-covariance method and equilibrium evaporation. The methods using soil moisture data can describe the variations of soil evaporation from eddy-covariance through simple moving average analysis. Method B showed a good matched with eddy-covariance method. This indicated that Dry Surface Layer (DSL) at 14:00 which was used for method B is important variable for the evaluation of soil evaporation. The total equilibrium evapora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o those of the others. However, equilibrium evaporation showed a problem in estimating soil evaporation because the temporal tendency of Eequili was not related with the those of the other methods. The improved understanding of the soil evapor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s of water cycles in a forest hillslope.
        134.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석간주는 적색과 적갈색 등 붉은 빛을 띠는 전통 광물성 안료로 주성분은 산화철이다. 석간주의 광물학적 특성과 기능성을 연구하기 위해서, 문헌에 옛 산지로 나와있는 울릉도 주토굴에서 석간주를 채취하였다. 울릉도주토굴의 석간주광석은 감람석현무암과 각섬석조면암 경계면에서 단속적으로 산출하며, 적갈색 또는 황갈색을 띠고 대체로 점토질이며 부분적으로 암편을 함유하고 있다. 석간주광석 중 적색은 적철석에 의한 것이며, 황갈색은 훼리하이드라이트에 의한 것이다. 울릉도석간주광석의 색상을 결정하는 산화철광물들은 고토양중에서 함철 수용액으로부터 훼리하이드라이트라는 광물로 침전되었으나 부분적으로 적철석으로 전이되었다. 석간주광석을 전통방식에 의해 안료로 제작하여 목재에 재현한 색상은 전통 건축물에서 측정한 붉은색 색상과 유사하였다. 울릉도석간주안료의 내습기능과 방염기능은 화학석간주안료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연소시험에서 화학석간주안료는 발화와 연소를 촉진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울릉도석간주안료가 함유된 배지에서 목재부후균의 성장이 저지되는 경향을 보여 울릉도석간주는 방부성을 지닌 채색안료로 판단된다.
        135.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연물로부터 새로운 미백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식물 추출물들의 미백활성을 조사한 결과, 엉겅퀴의 열매로부터 추출한 silymarin이 우수한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다. Silymarin으로부터 유효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각종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HPLC 등의 기법을 실시하여 silybin과 isosilybin을 분리한 후 이성질체인 silybin A와 B, 그리고 isosilybin A와 B를 각각 순수 분리하였다. Silymarin은 Mel-Ab melanocyte에서 세포독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동시에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였고 IC50 값은 28.2 μg/mL이었다. 또한 Silymarin은 cell-based tyrosinase의 활성을 저해하고, western blot 분석 결과 tyrosinase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Silymarin으로부터 분리한활성 화합물인 silybin 및 isosilybin의 미백 효과를 측정한 결과, 각각 42.25 μM 및 16.32 μM의 IC50 값을 가지며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tyrosinase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Diastereoisomer 형태로 존재하는 silybin A 및 B, 그리고 isosilybin A 및 B의 멜라닌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네 가지 화합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부 미백 임상연구를 실시한 결과, silymarin 2 % 함유 크림을 사용할 경우 피부 미백 효과가 유효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활성물질 silymarin은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한 안전한 화장품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37.
        2009.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MS DATS C&M 소프트웨어는 통신해양기상위성(COMS)의 송수신자료전처리시스템에 대하여 상태감시 및 원격조정기능을 제공하는 통합관리시스템이다. DATS C&M 소프트웨어는 시스템 관리 모듈, 감시 및 제어 모듈, 데이터 관리 모듈, 그리고 상태 데이터 분석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시 감시 및 제어 모듈은 위성운영센터가 기상위성센터의 백업 시스템으로 송수신자료전처리시스템을 운영하도록 결정됨에 따라 동일한 두 시스템의 동기화를 지원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DATS C&M 소프트웨어의 설계, 구현, 그리고 개발 결과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140.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선시대에 녹색 광물 안료로 사용되었던 "뇌록(磊綠)"은 경북 포항시 장기면 뇌성산에서 제 4기 현무암질 화산쇄설암 내에 맥상 또는 공극충진상으로 산출되며, 주 구성광물은 셀라도나이트(celadonite)로 소량의 녹니석/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과 모데나이트 및 단백석을 함유한다. 뇌록의 원석인 뇌록석은 주로 수백 μm~수십 μm 크기의 미세한 셀라도나이트라는 일종의 점토광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 μm 이하의 작은 입자들은 응집현상을 보여준다. 입자크기가 71μm 이하로 감소하면서 그 착색율은 월등히 증가하였다. 은폐력은 입자 크기가 0.2~0.3μm일 경우 최대값을 나타내었으며, 초미분인 200 nm 이하에서 투명도가 최대값을 보였다. 내광성과 항균성은 일반안료와 비교했을 때 뛰어난 효과를 보여준다. 현존 단청 기술을 접목한 전색제 채색 실험 결과 32μm 이하의 입도에서 가장 양호한 도색효과를 보여주고, 이상의 입도에서는 도색이 불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