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86

        2603.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차원 유한요소 모델의 동일한 형상과 하중 조건에 있어서 6절점 요소의 굽힘 강성은 8절점 요소의 굽힘 강성보다 더 크게 나타난다. 이와 같은 현상은 3차원 16절점 요소와 20절점 요소에서도 나타나며, 완전 요소의 중간 절점들을 제거하므로 인하여 나타난다. 따라서 이 현상을 상대적 강성강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강성강화 현상을 보정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가우스 적분점 수정법을 도출하였으며, 이 방법은 확장적인 강성과 같이 다른 종류의 강성을 변화시키지 않으며, 또한 패취시험을 통과하였다. 적분점 수정량은 재료의 포아송비의 함수로 나타나며, 2차원 평면응력 상태와 평면변형율 상태에 대한 두개의 수정식을 구하였고, 또한 3차원 고체요소에 대하여 확장하였다. 가우스 적분점 수정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보와 판의 자유 및 강제운동 문제를 해석하였으며, 등방성 적층 보와 판에 대해서도 단층보와 단층판과 같은 방법으로 적용하여 그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4,200원
        2604.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300원
        2605.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의 방제에 효과적으로 이요할 수 있는 Bactllus thuringiensis 균주를 분리하기 위하여 전국의 다양한 토양을 채취하여 B. thuringiensis의 분포와 독성을 조사하였다. 총 548개의 토양을 전국 각지에 채취하여 포자와 내독소 단백질을 생산하는 64개의 B. thuringiensis를 분리했다. 분리된 64개의 B. thuringiensis를 나비목의 누에(Bombyx mori), 파리목의 빨간집모기(Culex pipens), 딱정벌레목의 쌀바구미(Sitophilus oryzae)의 세 종에 대해서 독성을 검정한 결과, 누에에 독성을 띠는 균주가 42.2%로 가장 많았으며, 누에와 빨간집모기에 동시에 독성을 띠는 균주가 31.3%, 빨간집모기에 독성을 띠는 균주는 20.3%의 비율로 분리되어 다양한 독성 분포를 보였다. 그러나 쌀바구미에 독성을 띠는 균주는 분리되지 않았고, 내독소 단백질은 형성하지만 독성이 없는 무독성 B. thuringiensis가 62%의 비율로 분리되었다.
        4,000원
        2608.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rcine follicular oocytes matured in culture were inseminated with frozen-thawed spermatozoa. When the oocytes were inseminated in the medium with oviductal epithelial cell monolayer, the penetration rates higher in those with (4.1, 31.7, 45.1, 54.5 and 69.4%) than without cells (0, 17.1, 34.8, 45.2 and 58.9%) at 4, 8, 12, 16 and 20 h after insemination. The proportions of polyspermy in penetrated oocytes in medium with or without cells increased with time of examine. In another experiment, the penetration rate was higher without (57.6%) than with (19.6~24.1%) preincubation of spermatozoa for 1~4 h in medium. However, when the oocytes were inseminated with spermatozoa preincubated for 1~2 h, the penetration rate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those with (65.6 and 55.9% for 1 and 2 h) than without (24.1 and 20.6% for 1 and 2 h) oviductal epithelial cell monolayer. On the other hand, the proportions of polyspermy decreased with time of spermatozoa preincub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e significant advantages of the spermatozoa preincubation with oviductal epithelial cell monolayer for 1 and 2 h to maintain penetration potential during in vitro fertilization in the porcine.
        4,000원
        2609.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xperiments reported here take advantage of the large number of in vitro matured and in vitro fertilized(IVM /IVF) bovine oocytes which can be produced, permitting the design of controlled experiments to establish a simple defined medium for the study of early embryo requirements. A total of 1,386 IVM /IVF oocytes were used to compare a simple defined medium(KSOM) with more complex culture conditions used successfully for culture of bovine embryos but do not permit study of specific requirements. All experiments were extensively replicated factorials. In Experiment 1, KSOM was superior to Menezo B medium in producing morulae plus blastocysts from IVM /IVF oocytes(33 vs 20%, P<0.()5). The yield of morulae plus blastocysts with KSOM was 22% and with BRLC added was 30%. In Experiment 2, (a 2x2 factorial of KSOM with or without BRLC and 0, 1 ng /ml of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PDGF) more morulae plus blastocysts (40%) were produced in KSOM-BRLC co-culture containing 1 ng /ml PDGF than in the control KSOM(12%). In Experiment 3, there was no dose response when 0, 1 and 5 ng /ml of PDGF were added. The results with simple defined KSOM medium are sufficiently promising to indicate that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embryo may be examined in future studies with KSOM as a base.
        4,000원
        2610.
        1995.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 금속분말을 zircon sand (ZrSiO4)와 A12O3혼합체에 첨가하여 반응소결시킴으로써 무수축 Mullite-ZrO2, 요업체를 얻고자 하였다. 반응식, 3(Al+Al2O3)+2ZrSiO4→3A12O3 .2SiO2+2ZrO2에 의하여 ZrO2-강화 Mullite 요업체를 제조하였다. Al 분말은 A12O3에 대해 0-30 무게 퍼센트까지 대체하였다. 평량한 분말을 볼밀하여 혼합 분쇄한 후, 정수압 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온도범위 1450-1600˚C에서 3시간 반응소결시켰다. Al의 충분한 산화를 위해, 한편으로는 1250˚C에서 5시간동안 열처리를 거친후 소성온도로 올리기도 했다. Al을 첨가함으로서 반응은 촉진되었으며, 소성수축도 산화한 Al의 부피팽창에 의해 상쇄되어, 무수축요업체 제조의 가능성을 보였다. 박편모양을 한 비교적 큰 Al분말이 잘 분쇄되지 않음으로 해서, Al이 자리했던 곳에 큰 기공을 남겼다.
        4,000원
        2611.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쌀바구미에 적응된 기생봉 Anisopteromalus calandrae를 대체기주인 팥바구미에서 누대 사육하면서 기생천적의 대체기주에 대한 적응과 그의 과정을 조사하였다. A. calandrae기 대체기주에 적응, 안정된 생활사 특성을 보이기까지 2세대가 경과하였다. 성충수명은 단축되어 1세대에서 8.7일을 보였으나 2세대 이후에는 5.7~7.3일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총 산란수는 1세대에서 29.37.7에서 2세대 이후 43.9~68.2의 범위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내적 자연 증가율, 순증가율은 증가하였으며, 개체군 배가 기간은 짧아졌다. 팥바구미에 대한 탐색효율은 적응 전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탐색효율의 변이계수가 감소하는 현상을 보여 탐색행동이 안정됨을 암시하였다. A. calandrae는 팥바구미에 적응된 이후에도 쌀바구미에 대한 탐색효율이 감소되지는 않았다.
        4,000원
        2613.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nied out to ddermine optimum areas for various sizes of land coverage of the farm machinery utilization in 1993-1994. A kind of machinery size and work systems were classed as the power tiller of 10HP+man power, the tractor of 35~46HP (tr
        4,000원
        2614.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91년부터 1993년까지 사료작물과 목초류 7종(호맥, 대맥, 연맥, Italian ryegrass, alfalfa, orchardgrass 및 혼과목초)을 공시재료로 하여 곤포사일리지(BS=baled silage making)조제이용을 위한 수확시기와 이때의 BS 생산성 및 품질을 평가하였다. 시험방법에 있어서 작물재배는 농촌진흥청의 사료작물 및 목초 표준경종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사일리지 조제작업중 BS는 자체적으로 제작한 각형 베
        4,000원
        2615.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razing performance of dairy cattle for winter rye, sorghum-sudangrass hybrid and oat including of rape in Hwa seong-gun, Kyeonggido, from 1993 to 1994. Each crops were utilized from the stage of 8-leaves to l
        4,000원
        2616.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ater extract, and methanol extract, its chloroform and hexane fractions, and estragole from Agastache rugosa O. Kuntze were tested to find the inhibiting effect on the growth of several microorganisms. The organisms used were: Escherichia coli ATCC 1129, Staphylococcus aureus 1AM 1011, Vibrio parahaemolyticus WP, Bacillus aubtilis ATCC 6633, Aspergillus oryzae KFCC 890, Aspergidlus niger KCCM 11240. Water and methanol extracts at the concentration of 0.5%, and chloroform and hexane fractions at the concentration of 0.05% inhibited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from 1/5 to 2/3 of the control group. Eatregole identified from the hexane fraction as a major component, its authentic compound completely inhibited the growth of Vibrio parahaemolyticus completely at the concentration of 0.03%, and the other bacteria were at 0.05% .
        4,000원
        2617.
        1995.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experimentally and theoretically, the wave deformation by two large cylindrical structure in relation to the case of one structure. The wave height around the structures varie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incident wave angles, the number of the structure, and the distances between the two structures. The wave deformation around the large cylindrical structures is shown to be well predicted theoretically by the diffraction theory based on the singular point distribution method using a vertical line wave source Green's function.
        4,000원
        2618.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yield performance and nutrient quality of barley for pellets making from whole crop material were discussed during 1993-1994. Barley (cv. Olbori) was grown on paddy land after rice cutivation and was harvested at early stage of physiological maturity.
        4,000원
        2619.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방분해 및 식욕억제 인자로 알려진 암독소 호르몬-L의 체지방 분해작용에 미치는 각국 인삼의 petroleum ether(PE) 추출불의 영향을 비교·관찰하고자 시도하였다. PE에 의해 추출되어진 지질성분의 수율은 고려홍삼, 중국홍삼 및 미국백삼이 각 0.64, 0.47 및 0.58%로 고려홍삼이 가장 높았다. 시험관내에서 PE 추출물의 체지방 분해작용 억제율은 2㎎/㎖ 반응농도에서 고려홍삼, 중국홍삼 및 미국백삼이 각 55.1, 50.0 및 44.9% 였고, 체지방 분해작용 총 억제활성은 각 18, 12 및 13 unit로 역시 고려홍삼이 모두 가장 높았다
        4,000원
        2620.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