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식품영양학회지 KCI 등재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Vol. 8 No. 2 (1995년 6월) 10

1.
199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lasma cholesterol함량은 n6 LA에 의한 영향은 없었으며 n3 LL와 EPA의 순으로 감소되어 plasma cholesterol의 저하는 EFA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Plasma TG함량은 CO, PO, FO군에서 모두 낮았으며 특히 PO, FO군에서 유의성있게 감소되었다. n6 LA의 경우 plasma와 간조직의 TG함량은 n6 LA에 의해 감소되었으나. lipogenic enzyme활성도는 변화가 있었다. n3 LL를 투여한 PO군의 경우 plasma와 간의 TG함량은 n6 LA에서와 마찬가지로 감소된 반면, lipogenic enzyme활성은 다소 증가되었으나 간의 TG합성을 증가시킬 정도는 아니었다. n3 EPA에 의해 plasma TG는 BT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감소되었으며 lipogenic enzyme활성이 낮아졌음에도 불구하고 간의 TG함량은 BT군에 비해 변화가 없었다. Plasma와 간조직의 지방산 조성은 식이지방산에 의한 영향이 잘 나타났는데 CO군은 C_18:2와 C_20:4의 양, C_20:4/C_20:5의 비율이 높았다. PO군은 C_18:3과 C_20:5, C_22:6의 양이 증가되어 C_20:4/C_20:5의 비율이 남았으며 FO군에서는 C_20:5와 C_22:6양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따라서 C_20:4/C_20:5의 비율은 가장 낮았다.
4,200원
2.
199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이성 항원에 특이적인 IgG 및 IgA가 모유 중에 어느 정도 함유되어 있는지를 측정하고, 모체가 섭취한 식이 내용과 이들 특이 항체가 어떠한 상관성을 갖고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대상 임산부의 모유에 함유된 식이성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 수준은 초유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행유로부터 성숙유 사이에서의 수준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측정된 우유단백질 및 계란단백질에 대해서는 특이 항체가에 커다란 차이는 없었으나 밀단백질인 gliadin에 대해서는 IgG, IgA 모두 높은 항체가를 유지하였다. 한 종류의 식이성 항원에 대해 높은 항체가를 나타내는 경우는 다른 특이 항체도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IgG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모유 중에 함유된 특이 항체 수준은 임산부의 열량 및 단백질 섭취량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특이 항체 수준이 모체가 섭취한 식이 단백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24시간 회상법 및 식품섭취 빈도 조사에 의해 살펴보았다. 24시간 회상법에 의해서는 특이 항체와 식이내용 중 그 특이항체를 유도할 수 있는 특정 식품 단백질 섭취량 사이에서의 상관성을 살펴볼 수 없었다. 식품섭취 빈도조사에서는 IgG의 성우 우유의 섭취빈도는 우유 유래의 특이 항체가에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보이나 알류섭취량과 OVA항체 수준 사이에서는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고, 육류의 섭취빈도는 α-La을 제외한 모든 항체수준과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IgA의 경우는 육류의 섭취빈도가 항-BSA항체의 유도에 매우 유의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
199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유의 allergenicity를 감소시켜 우유에 대하여 allergy성 질환을 일으키는 사람들에게 이들 식품의 섭취 및 이용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하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allergy 조제분유의 개발을 위하여 열처리, 자외선 및 microwave의 조사, 축합 인산염 처리, 효소처리 등을 한 후 guinea pig를 이용한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PCA) inhibition 실험과 Non Proteic Nitrogen(NPN) 정량을 통한 가수분해율의 측정 실험을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우유의 allergenicity는 가열에 의해 감소하였으며 가열시간이 길수록 단백질 가수분해율 및 PCA inhibition을 증가시켰다. Ultraviolet조사와 microwave조사는 단백 가수분해율과 PCA inhibition을 증가시켜서 allergenecity를 저하시켰으며 ultraviolet이 저해초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효소처리는 단백질의 가수분해율 및 PCA inhibition를 증가시키며 allergenecity를 현저히 감소시켰으며 neutrase가 alcalase보다 저해효과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Polyphosphate의 첨가는 단백질의 가수분해는 유도하지 않았으나 PCA inhibition을 증가시키며 allergenicity를 감소시켰다.
4,000원
5.
199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0일, 15일, 30일, 45일 냉동 저장 기간에 따라 닭의 가슴살과 다리 살로 패스트 푸드와 가정에서 많이 이용하고 있는 조리법중 튀김(frying), 전자레인지(microwaving)를 이용, 조리 한 것과 조리후 4일 간 냉장 저장후 재가열한 것을 실험재료로 하였다. 실험하는 동안 지질의 자동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항산화제인 BHT를 첨가했을 때와 첨가하지 않았을 때, malonaldehyde의 농도와 TBA가 그리고 fluorescence의 생성 정도를 측정하여, 냉동 저장과 조리법, 재가열 등이 닭고기의 지질 산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삽입▷(원문을 참조 하세요) 지방 함량은 다리살이 가슴살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조리법으로는 튀김조리가 전자레인지 조리보다 높게 나타났다가 저장 0일에서 부터 30일까지는 지방 함량이 증가하다가 45일 저장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30일 저장후 재 가열한 시료의 지방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BHT무첨가군과 BHT 첨가군 비교시 지방 함량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Malonaldehyde의 농도는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부위별로 살펴보면 가슴살이 다리 살보다 다소 높은 함량을 나타내긴 했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 튀김 조리가 전자레인지 조리보다 높은 malonaldehyde량을 보였으며, 재가열시는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의 malonaldehyde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BHT무첨가군의 malonaldehyde 농축량이 BHT 첨가군의 malonaldehyde량 보다 약 40%이상 증가함을 보였다. TBA가는 저장기간 동안 전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다리살이 가슴살보다 다소 높은 수치를 보였다. 조리법별로 살펴보면 튀김 조리시 TBA가가 전자레인지조리시보다 높게 나타났다. BHT첨가군, 무첨가군 모두 재가열시 높은 TBA가를 보였다 2차지질산화물인 형광물질은 저장기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세를 보였으며, 가슴살의 수치가 다리살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재가열시에는 재가열 전보다 배 이상의 급격한 증가세를 보였다. ◁표 삽입▷(원문을 참조 하세요) 이상의 결과로 보아 냉동 저장 동안 지질의 자동 산화는 계속 진행되고 있고, 특히 반복된 열처리와,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많은 부위가 유의적인 산화를 보였다. 항산화제인 BHT 무첨가군이 BHT 첨가군보다 높은 산화가 일어나는 것을 보았을 때 식품내에서의 항산화작용에 관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4,300원
6.
199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방분해 및 식욕억제 인자로 알려진 암독소 호르몬-L의 체지방 분해작용에 미치는 각국 인삼의 petroleum ether(PE) 추출불의 영향을 비교·관찰하고자 시도하였다. PE에 의해 추출되어진 지질성분의 수율은 고려홍삼, 중국홍삼 및 미국백삼이 각 0.64, 0.47 및 0.58%로 고려홍삼이 가장 높았다. 시험관내에서 PE 추출물의 체지방 분해작용 억제율은 2㎎/㎖ 반응농도에서 고려홍삼, 중국홍삼 및 미국백삼이 각 55.1, 50.0 및 44.9% 였고, 체지방 분해작용 총 억제활성은 각 18, 12 및 13 unit로 역시 고려홍삼이 모두 가장 높았다
4,000원
7.
199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려홍삼의 산성다당제 성분이 암독소 호르몬-L의 체지방 분해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인삼분말을 petroleum ether로 지질성분을 추출한 후 얻은 잔사를 다시 methanol로 추출하고 여기서 얻은 잔사를 다시 ethanol로 처리하여 침전되는 성분인 소위 조산성다당체를 수집한 바, 조 산성다당체의 수율은 63.5%였다. In vitro에서 고려홍삼 조 산성다당체 성분의 체지방 분해 억제율은 500 ㎍/㎖반응농도에서 38.8%였고, 총 억제활성은 원료인삼 g당 4, 928 unit로 나타났다. In vivo에서는 암 mouse에 고려홍삼 조 산성다당체 추출성분(40 ㎎/㎖ of saline soln.) 을 체중 g당 16㎕(0.64g/㎏ of body weight)로 복강내에 3일마다 1회씩 주사시 수명연장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대조군에 비하여 체중이 감소(P < 0.05 ∼ 0.02)된 효과를 나타내었다.
4,000원
8.
199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영양 생리적으로 중요성이 인정된 식이섬유가 인체내에서 나타내는 생리기능은 식이섬유의 각 구성성분들의 함량과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각 성분들을 분별 측정할 필요가 있으나 국내에서는 식이섬유의 함량을 측정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가열조리시 조리 전후에 있어서 식이섬유 함량이 어떻게 변화하는가에 대해서는 검토된 바 없다. 그러므로 본연구에서는 한국인이 상용하는 채소 15종(근채류 3종, 과채류 3종, 경채류 2종, 엽채류 7종)에 대해, 식이섬유 각 구성성분의 함량을 측정 비교하였으며, 각종 조리방법과 김치발효에 따른 식이섬유의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 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각종 채소의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건물 기준으로 총 불용성 식이섬유인 Neutral detergent fiber(NDF)는 11.8 ∼ 31.9 %, acid detergent fiber(ADF)는 10.9 ∼ 25.4 %, cellulose는 8.8 ∼ 23.8%, hemicellulose는 0.6 ∼ 10.6 %, lignin은 1.0 ∼ 5.2 % 범위였으며 특히 고추류에서 총 불용성 식이섬유함량이 높았다. Cellulose는 총불용성 식이섬유인 NDF의 63%정도를 차지하여 본 실험에 사용된 채소들의 경우 불용성 식이섬유의 대부분이 cellulose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조리시 NDF, ADF, cellulose 함량은 원료시료보다 증가했으며 이들 성분들의 변화는 cellulose의 함량변화에 기인했다. 그러나 hemicellulose와 lignin 함량은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발효 시 NDF, ADF, cellulose 함량은 원료시료보다 약간 증가했으나, hemicellulose와 lignin은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조리나 발효와 같은 처리에 의해 불용성 식이섬유 분획 중 cellulose만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4,300원
9.
199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od created the havens and earth and god gave man every seed-bearing plant and every tree that has fruit with seed in it. These food is all vegetable food that don`t take diseases of adult people. But God gave Noah the green plants. Everything that lives and moves will be food for Noah. Just as God gave man the green plants. And then man must not eat meat (animal protein food) that has its lifeblood still in it and God must not eat fat in it. The fat contains much fat(saturated fatty acids) and cholesterol that have susceptibility to disease of coronary heart, hypertension and atheriosclerosis etc. God must not eat these fat before we don`t know that it have susceptibility to disease of adult people.
4,000원
10.
199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ipid oxidation in foods produce the peroxidation products, toxic substance and rancidity odor. In vivo, lipid peroxidation by free radicals or molecular singlet oxygen cause such as a damage of DNA, cancer and aging. 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new compound inhibit lipid oxidation in foods and in vivo is very important. Antioxidants are generally used as a protection material of oxidation for a storage and preservation of foods. In terms of stability of foods and health for human, development of a high effective antioxidants in a nature is required. In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presents the research trends of a kind of natural antioxidative substances and its antioxidative activity.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