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식품영양학회지 KCI 등재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Vol. 12 No. 3 (1999년 6월) 15

1.
199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누룩의 품질을 개선시키고자 전통누룩에서 분리한 Rhizopus japonicus T2, Aspergillus oryzae L2 및 Hansenula sp. BC26을 살균된 밀기울에 접종하여 개량누룩을 제조한 후에 현재 양조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발효제인 시판누룩 및 쌀입국과 중요 특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개량누룩은 구수한 좋은 냄새를 나타내었으나 시판누룩은 좋지 못한 냄새를 나타내었고 쌀입국은 특별한 냄새가 없었다. 침출액의 색은 개량누룩은 황색, 시판누룩은 연한 황색, 쌀입국은 무색이었고, pH는 개량누룩은 6.15, 시판누룩은 6.01, 쌀입국은 3.30이었다. 효모수는 개량우룩은 7.6×10 exp (6)CFU/g이었으나 시판누룩과 쌀입국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젖산균수는 시판누룩은 1.0×10 exp (2)CFU/g이었으나 개량누룩과 쌀입국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개량누룩은 시판누룩이나 쌀입국에 비하여 전분 당화력, 전분 호정화력 및 단백질 분해력이 현저히 높았다. 주모를 제조했을 때 개량누룩 주모는 좋은 에스테르향이 있었고, 시판누룩 주모는 불쾌한 냄새가 있었으며, 쌀입국 주모는 에스테르향도 없고 불쾌한 냄새도 없었다. 본 개량누룩을 주모 제조시에 사용할 경우에는 산의 보충이 필요할 것으로 보며, 그 품질은 시판누룩이나 쌀입국보다 훨씬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
199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Rhizopus japonicus T2, Aspergillus oryzae L2 및 Hansenula sp. BC26을 살균된 밀기울에 접종 및 배양하여 제조한 개량누룩의 양조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개량누룩, 시판누룩 및 쌀입국으로 각각 탁주를 담가 발효시키면서 술덧의 미생물 변화와 중요 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효모수는 개량누룩 술덧이 시판누룩 술덧과 쌀입국 술덧보다 높게 유지되었다. 젖산균은 시판누룩 술덧에는 높게 유지되었으나 개량누룩 술덧과 쌀입국 술덧은 그렇지 않았다. pH는 모든 술덧이 1일 이후에 안정화되었으며, 개량누룩 술덧의 pH가 시판누룩 술덧이나 쌀입국 술덧의 pH보다 높게 유지되었다. 총산 함량의 증가는 개량누룩 술덧과 쌀입국 술덧은 적절하였으나 시판누룩 술덧은 지나치게 많았다. 아니노산 함량의 증가는 개량누룩 술덧과 시판누룩 술덧이 쌀입국 술덧보다 훨씬 높았다. 알콜함량의 증가속도는 개량누룩 술덧과 쌀입국 술덧이 시판누룩 술덧보다 훨씬 빨랐다. 환원당의 함량은 시판누룩 술덧과 개량누룩 술덧은 쌀입국 술덧보다 높게 유지되었다. 개량누룩은 적은 양을 사용하였음에도 발효과정중의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가 정상적이었으며, 발효는 잘 진행되었다.
4,000원
3.
199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로운 Bacillus sp.의 숙주균주로서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알칼리 내성 Bacillus sp. YA-14의 형질전화최적조건을 검토한 결과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형질전화배지로서 0.4% MgSO_4, 0.5mM CaCl_2가 함유된 modified SPI배지 (pH 8.0)를 사용하였으며, 말기 대수증식기의 균체가 최적이었다. 또한 competent cell 1ml에 plasmid DNA 0.5g을 첨가하여 40분간 진탕배양하는 것이 형질전환에 가장 좋았으며, 이러한 최적조건하에서 형질전환율은 4.53×10 exp (-6)CFU/ml/㎍ DNA이었다. 전기영동실험을 통하여 transformant 내에 분자량 3.0×10 exp (6) daltons의 pUB110 plasmid DNA가 도입되었음을 확인하였고, 20세대 계대배양 후에도 안정하였다. 이로부터 알카리내성 Bacillus sp. YA-14는 Bacillus속 미생물의 host-vector system에서 새로운 숙주균주로서 이용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4,000원
4.
199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품 및 발효공업의 균체 제거에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미생물 응집체를 개발할 목적으로 토양에서 분리한 Bacillus megaterium 의 응집제 생산 특성을 조사한 결과 sucrose 2.0%, NaNO_3 0.3%, tryptone 0.01%, beef extract 0.01%, MgSO_4 0.05%, CaCO_3 0.005%가 최적 배양배지로 조사되었으며 최적배지에서의 응집활성은 257.8 unit로 기초배지에 비해 응집활성이 약 161% 증가하였다. 한편 본 균주는 탄소원 및 무기염의 첨가에 의해 응집활성이 크게 영향을 받았으나 질소원의 경우 다른 성분에 비해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어 본 균주가 생산한 응집체는 균체외 다당류의 일종인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조정제 응집제에 대한 정색반응 결과 생산 응집제를 조정제한 후 정색반응 실험 결과는 비환원성 당으로 fructose를 함유하지 않은 다당의 일종인 것으로 추측되었다.
4,000원
5.
199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개소의 대중 식당의 음식 찌꺼기의 배출원별 음식물 찌꺼기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음식물 찌꺼기 발생량은 한식, 중식, 일식, 양식, 분식 순이었다. 음식물 찌꺼기 수분함량은 평균 76.9%이었으며, 한식 업태별 수분함량은 80.2%로 타 업소에 비해 다소 높았다. 또한 계절에 따른 음식물 찌꺼기의 유기성분 분석결과 5월, 7월 시료에서 조섬유 함량이 높았으며 1월, 3월 시료에서 T-N과 조단백질 함량이 높게 조사되었다. 한편 음식물 찌꺼기의 pH는 평균 4.74였고 C/N율은 15.8, 평균 양이온 및 인산함량은 P 0.43%, K 0.57%, Ca 0.39%, Mg 0.22% 였다. 중금속 함량은 평균 Fe 154.37mg/kg, Zn 24.79mg/kg, Pb 0.27mg/kg, Cu 5.63mg/kg, Cr 5.49mg/kg, Cd 0.31mg/kg, Ni 1.07mg/kg 였다. 또한 음식물 찌꺼기 재활용에 있어 가장 큰 장애 요인 중의 하나인 식염 함량은 3.36%로 다량의 식염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6.
199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칼슘의 첨가가 밀가루의 아밀로그래프에한 호화 성질과 파리노그래프에 의한 반죽 성질을 조사하였고, 칼슘을 첨가하여 제조한 라면의 조직감과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밀가루에 대하여 1.0%∼3.0%를 사용하여 라면을 제조한 뒤 면의 조직 특성, 조리시험을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평가하였다. 칼슘의 첨가는 아밀로그래프의 호화개시 온도를 지연시켰으며, 최고 점도를 감소시켰다. 패리노그래프의 흡수율과 반죽의 안정도는 칼슘의 첨가에 의해 증가되었다. 칼슘을 첨가하여 제조한 라면의 층밀림 압출력과 경도는 대조구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3.0%의 칼슘을 첨가하여 제조한 라면의 무게 증가는 대조구 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부피 증가는 오히려 낮게 나타났다. 용출량의 변화는 칼슘의 첨가량에 따라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요오드 정색도는 모든 시료가 2.12∼2.22으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칼슘을 첨가하여 제조한 라면의 관능 검사 결과는 비교적 좋은 점수를 얻었다. 이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라면 제조시 칼슘의 첨가량은 3.0%의 수준이 효과가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4,000원
7.
199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심해성 붉은 대게(Chinoecetes japonicus)의 증자 가열에 의한 감량, 수율, 품질조사와 건조처리에 따른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분석·고찰하였다. 증자처리에 따른 감량 변화는 20.48~26.72% 범위로 통게 중량이 클수록 감소율이 적었으며 수작업에 의한 선육 수율은증자처리구가 생시료 선육 수율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5) 증자, 건조처리에 따라 pH 는 약간 상승하였으며 몸통육이 다리육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VBN치는 감압건조처리구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며 다른 처리구에서는 l0mg% 내외의 수준이었다. TMAO 성분은 생다리육 및 몸통육에서 각각 98.13mg% 와 101.13mg% 였고, TMA 함량을 감압건조시료에서 높게 검출되었다. 유리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유도체 물질이 30여종 분석되었으며 다리육의 함량 변화는 감압건조처리구가 높은 감소를 보이고 동결건조처리구에서 적은 감소를 보였다.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외 5종으로 총 유리아미노산의 39.94%를 차지하였다. 몸통육 중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다리육보다 함량이 낮았으며 주요 아미노산 함량비는 46.78% 정도이고 정미성 아미노산은 동결처리구가 높고 열풍건조처리구가 낮게 나타내었다.
4,000원
8.
199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요오드산-산화전분으로 Aspergillus sp. α-amylase를 변형시켜서 인공당단백질을 만들었다. pH 8.0에서 변형한 효소는 비변형효소의 87%, pH 9.7에서 변형한 효소는 80%의 활성이 남았다. 60℃에서의 열안정성은 α-cyclodextrin (α-CD) 존재 하에 변형하고 α-CD 존재 하에 분석한 효소가 가장 높았다. pH 안정성은 변형시켜서 α-CD 존재하에 분석한 효소가 가장 높아서 pH 3∼4와 9∼11에서 안정성이 매우 증가하였다. HPLC 분석 결과 변형시킨 것은 당결합으로 분자량이 커져서 유출시간이 빨라졌다. 반응산물 분석 결과 기질 특이성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4,000원
9.
199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병원성 Pseudomonas에 유효한 항생물질을 생성하는 방선균 LAM 98-80을 분리하여 형태학적, 배양학적, 생리학적으로 동정한 결과 Streptomyces sp. LAM 98-80으로 동정·명명하였다. 이 균을 이용하여 병원선 Pseudomonas에 유효한 항생물질의 최적 생성 조건을 검토한 결과 탄소원으로 1.5%의 soluble starch, 질소원으로는 1.0%의 yeast extract가 가장 양호하였으며 무기염으로 Mn^2+을 0.04%을 첨가로 항생물질의 생성량을 80%나 증가시켰다. 배지의 초기 pH는 7.0, 최적 온도는 30℃ 그리고 배양일수는 5일만에 최고의 생육 및 생성을 나타내었다. 시험균으로 사용한 cephalosporins 내성 병원성 Pseudomonas는 cepha계 항생물질에 대하여 내성을 띠었으며 β-lactam계인 ampicillin, amoxicillin에 대해서는 민감하였다. 그리고 조정제한 항생물질의 열과 pH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70℃에서 1시간동안 안정하였고 pH 3에서 9까지 넓은 범위에서 안정하였다. 각 종균에 대한 항생작용은 그람 양성 및 음성균에 모두 효과적이었으며 진균인 효모와 곰팡이에는 효과가 없었다.
4,000원
10.
199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광주시에 거주하는 344명의 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한국인 고지혈증 치료지침위원회의 기준에 따라 고콜레스테롤혈증군, 경계역 고콜레스테롤혈증군 및 정상콜레스테롤혈증군으로 구분하여 혈장 총콜레스테롤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적 인자 즉, 체위, 신체둘레, 피하지방 두께 및 비만도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고콜레스테롤혈증군은 정상콜레스테롤군에 비하여 체위의 경우, 체중과 BMI가 유의적으로 높았고, 신장과 HWR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신체둘레의 경우 허리둘레, WHR, WTR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상완, 엉덩이, 허벅지 둘레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피하지방 두께의 경우 이두근부, 삼두근부, 늑골하부, 복부 및 장골상부의 피하지방 두께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CSF와 PSF도 유의적으로 높았다. 체조성의 경우 체지방율과 체지방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체지방조직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혈장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허리둘레(r=0.1947, p<0.01), WHR(r=0.1274, p<0.05) 및 WTR(r=0.1651,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두박근부(r=0.1348, p<0.05), 삼두박근부(r=0.1799, p<0.01), 늑골하부(r=0.1704, p<0.01), 복부(r=0.2369, p<0.001), 장골상부(r=0.1845, p<0.01), CSF(r=0.2153, p<0.01) 및 PSF(r=0.1794, p<0.001)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체지방율(r=0.2254, p<0.001), 체지방량(r=0.2045, p<0.01)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고콜레스테롤혈증에 대한 상대적 위험비와 기여도는 각각 신체적 인자의 경우, 비만(BMI≥25)이 1.61과 0.17, 상체형 비만(WTR≥1.92)이 1.30과 0.11 및 중심부위형 비만(CSF≥95.7)이 1.54과 0.18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혈장 콜레스테롤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적 인자는 비만이며, 허리둘레와 복부의 피하지방 두께와의 관련성이 가장 크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또한 비만의 형태에 있어서는 말초부위형보다는 중심부위형 비만이, 하체형보다는 상체형 비만이 더 크게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따라서 고콜레스테롤형증의 예방을 위해서는 상기 신체적 인자의 적절한 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4,200원
11.
199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광주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남자 344명을 대상으로 고콜레스테롤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습관인자 및 각 인자의 기여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체 연구대상자의 29.1%가 비음주자였고 70.9%가 음주자였다. 음주자의 비율은 HC군이 낮은 경향이었고, 음주빈도가 많아질수록, 음주 기간이 길어질수록 HC군의 비율이 높았으며, 1회 음주량에 따른 비율은 NC군, BHC군, HC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대상자의 36.3%가 비흡연자였고, 15.1%는 금연자였으며, 48.5%는 흡연자였다. 흡연자의 비율 1일 2갑 이상의 과흡연자 비율, 및 30년 이상 장기 흡연자의 비율은 NC군과 BHC군에 비하여 HC군이 높은 경향이었다. 연구대상자의 34.9%가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 비운동자였고, 65.1%가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있었다. 운동자와 비운동자의 비율은 NC군, BHC군 및 HC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HC군은 NC군과 BHC군에 비하여 가벼운 운동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었으며, 운동의 빈도는 많은 경향이었고, 운동시 소요시간에 따른 비율은 NC군, BHC군 및 HC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대상자의 14.8%는 심혈관계질환의 가족력, 10.8%는 암의 가족력, 4.9%는 당뇨병의 가족력을 가지고 있었다. 순환기계 질환의 가족력을 가진 51명 중 21명(41.2%)이 HC군이었으며, 19명(37.3%)은 NC군이었고, BHC군은 11명(21.6%)이었다. 성격 유형은 전체 연구대상자의 31.4%가 B유형, 16.9%가 A형으로 조사되었으며 51.7%가 중간유형이었고, 각 유형별로 NC군, BHC군 및 HC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상생활에서 받는 스트레스 정도에 다른 비율은 전체 연구대상자의 18.6%가 가벼운 정도, 53.5%가 중등도, 27.9%가 심한 정도의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으며,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NC군, BHC군 및 HC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심한 스트레스를 받는 비율은 NC군과 BHC군에 비하여 HC군이 높은 경향이었다. 고콜레스테롤혈증에 대한 상대적 위험비는 심혈관계질환의 가족력(1.33)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심한 스트레스(1.22), 흡연(1.06), 비운동(1.04) 및 음주(0.71) 순이었다.
4,000원
12.
199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부산시 영도구 일부 지역의 주부들을 대상으로 영양지식, 식생활가치관, 체형인식도, 식생활 태도 등을 분석하여 지역사회를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계획되었다. 자신의 체형이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본인 스스로가 정상체중이 아니라고 인식하는 주부는 38.1%로 나타났고, 그 중 30.5%가 과체중으로, 2.5%는 비만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영양지식 점수의 분포는 good 62.7%, excellent 37.3%이었으며, 식생활태도의 분포는 good(63.6%), fair(32.9%), excellent(3.1%), poor(0.4%) 순으로 나타났다. 식사 시에는 `맛의 즐거움(27.6%)`과 `영양 섭취(27.1%)`에 높은 비중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고픔을 해결하는 것`이 23.1%, `습관적으로 먹는다`가 22.2%이었다. 식생활 태도는 `영양 섭취`와 `맛의 즐거움`에 가치를 두는 그룹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연령층에 비해 3·40대 주부의 영양지식 점수가 높았다. 식생활태도는 20대 주부가 가장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나이와 영양지식은 높은 음의 상관을 보였으며, 식생활 태도와 영양지식, 식사다양도와 식생활태도, 식사다양도와 영양지식은 높은 양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4,000원
13.
199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품영양전공과 비전공 여대생의 일반환경, 식태도, 식행동 및 영양지식을 파악하여 영양에 관한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과 수강하지 않은 학생들의 식태도, 식행동 등이 신장, 체중 및 비만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연구하고자 청주에 있는 2년제 대학 식품영양학과 여학생 98명과 비전공 여학생 98명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품영양전공과 비전공 사이에 거주형태, 동거인, 부모의 연령 및 교육수준에 차이가 별로 없이 거주형태는 자택이 많았고, 동거인은 가족 모두가 함께 살고 있는 여대생이 많았다. 어머니의 연령은 40∼49세가 대부분이었으며 아버지의 교육수준은 고졸이 많았고 어머니는 중졸이 많았다. 월수입은 100∼150만원인 중간 소득층이 식품영양전공과 비전공 여대생 모두의 가정에 많았고 150만원 이상은 전공 여대생의 가정보다 비전공 여대생 가정에 더 많았다. 식태도에 있어서 전공 여대생은 맛과 영양을 더 고려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비전공 여대생은 맛, 가격, 분량 및 음식이 나오는 시간을 더 고려하였다. 식행동을 살펴보면 아침식사는 식품영양전공과 비전공 여대생 모두 먹는 편이었고 결식한 경우는 "늦게 일어나서"가 그 이유로 가장 많았으며 저녁식사는 전공과 비전공 모두 주로 집에서 하나 비전공 여대생의 경우 외식이 전공 여대생보다 많았다. 또한 저녁식사는 약 반 정도가 일정한 시간에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간식은 전공과 비전공 여대생 모두 점심과 저녁 사이에 가장 많이 섭취하고 있었으나 비전공 여대생의 경우 저녁식사 후에 간식을 전공 여대생에 비해 더 많이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영양전공 여대생의 영양지식 점수는 난이도가 있는 영양지식에서 더 높았고 기본적인 영양지식에서는 거의 비슷하였다. 평균 체중은 식품영양전공과 비전공 여대생간에 비슷하였으나 평균 신장은 비전공 여대생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전공 여대생보다 더 컸다. 비만도에 의하면 식품영양전공 여대생이 정상체중을 더 많이 유지하고 비전공 여대생은 저체중이 더 많았다. 결론적으로 식품영양전공 여대생은 영양에 관한 수업을 받았기 때문에 영양지식이 많아 식태도와 식행동이 더 바람직하였고 정상체중을 더 많이 유지하였으므로 영양교육이 올바른 식생활을 영위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나 적절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식품영양 비전공 여대생들에게도 영양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4,000원
14.
199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앙공무원 연수원에서 연수중인 남자 공무원 213명을 대상을 비만과 관련된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20대가 52.6%로 가장 많았고, 대부분(96%)이 대졸 출신 이상의 높은 학력 수준을 지니고 있었다. 건강과 관련된 요인들 중 운동 실태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흡연율도 상당히 낮았으나, 74.2%의 높은 음주율을 보였다. 한편 22.1%가 질병을 보유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는데, 그 중 위장질환(22명)이 가장 많았다. 조사 대상자들의 평균신장과 체중은 172.1㎝, 70.5㎏이며, BMI는 23.8, 체지방량 16.1㎏, 체지방율 21.3%, 제지방량 55.4㎏, 체수분함량 40.9㎏으로 나타났다. 비만도는 BMI 기준으로 정상(20∼25)이 64.6%로 가장 많았고, 과체중(25∼27)이 18.4%, 저체중(<20) 9.9%와 비만(>27) 7.1%의 분포를 보였으며, 체지방율은 정상(14∼23%)이 58.7%이었고, 비만(>23%) 34.7%, 저체중(<14%) 6.6%의 순으로 나타났다. BMI와 체지방율은 연령과 정의 상관관계(p<0.01)를, 결혼과는 부의 상관관계(p<0.01)를 나타냈으나 학력이나 수입 정도는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영양에 대한 지식정도에는 비만도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으나, 비만과 관련된 식품에 대해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본 조사대상자들이 고학력임에도 불구하고 영양지식 점수가 양호하지 못하다는 점은 학교나 직장에서의 정규적인 영양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해준다.
4,000원
15.
199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lavonoids are one of the most numberous and widespread groups of natural constituents. The low molecular weight of benzo-γ-pyrone derivatives are ubiquitous in plants and are vegetables, nuts, seeds, leaves, flowers, and bark. The flavonoids constitute of a large class of compounds, ubiquitous in plants, containing a number of phenolic hydroxyl groups attached to ring structures, conferring the antioxidant activity. Epidemiologic studies suggest that the dietary intake of antioxidants constitutes a risk factor for vascular disease, indicating that oxidation may be important in the pathogenesis of human atherosclerosis. Elevated plasma low density lipoprotein (LDL) cholesterol concentration are associated with accelerated atherosclerosis, LDL is oxidized by smooth muscle cells, resulting in several chemicals and physical changes of LDL. Oxidized LDL is responsible for cholesterol loading of macrophages, foam cells formation and atherogenesis. There have been insulficient tests of the protective effects of flavonoids against LDL oxidation to make definitive statements about their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s. However, hydroxylation of the flavone nucleas can appears to be advantageous because polyhydroxylated aglycone flavonoids are potent inhibitor of LDL modification. This identification may lead to new and more effective antioxidant strategies for abrogating the atherosclerotic process, the leading cause of death and disability in industrialized societie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