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조 구기자의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SDE 방법으로 정유성분을 추출한 다음 GC 및 GC-MS로 성분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성분은 54종으로써 알코올류 12종, 에스테르케톤류 12종, 알데히드류 7종, 산류 6종, 탄화수소류 5종, 케톤류 8종, 푸란류 1종 및 피라진류 3조이었다. 그중 에스테르류의 상대적 면적비가 가장 높았다. 건조 구기자의 주요 휘발성 성분은 hexadecanoic acid의 에틸에스테르, 1-octadecanone, tetrapyrazine, 2-furancarboxaldehyde, ethyl linoleate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러 종류의 coumarin 유도체가 광화학 반응에 의하여 OH^- 라디칼을 생성하는 반응을 ESR ?I 레이저 섬 광분해 반응으로 진행시키고 반응속도 상수를 구하여 반응성과 메카니즘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9종류의 coumarin 유도체는 모두 OH^- 라디칼 생성반응 메카니즘으로 반응이 진해이되었으나 1-ethyl-3-nitro-1-nitrosoguanidine은 광조사에 의해 OH^- 라디칼 생성반응이 일어나기 전에 분해하여 카르벤 중가체로 변하였다. 9개의 coumarin 유도체는 DMPO-OH스핀부가 생성물에 해당하는 시그날을 나타내었다. OH^- 라디칼을 소진시키는 NAN_3, EtOH, HCOONa등은 강한 광증감제로 작용하였다. 수화된 전자의 소멸 속도 상수는 N_2O를 첨가했을 때가 K_3Fe(CN)_6를 첨가했을 때보다 크게 나타났다.
동면어류인 미꾸라지를 일정시기(산란기전:5월, 산란기후:8월, 동면직전:11월, 동면직후:3월) 별로 채취한 다음 자·웅별 전육질부를 시료로 취하여 지방질과 중성 및 인지질 조성을 분석, 검토하였다. 중성지질이 구성지질의 대부분은 이루었고 다음은 인지질, 당지질순이었으며 그 조성과 변화 pattern이 자·웅이 거의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3월 이후 중성지질의 조성비가 점차 많아져 8월에는 90% 가까이 증가하였고 이후 점차 감소하여 이듬해 3월에는 60% 이하로 떨어졌으나 당·인지질은 역으로 3월이 가장 많았다. 중성지질과 인지질 중에는 각각 triglyceride와 phosphatidyl choline 조성이 가장 많았으며 그 함량은 8월에 최고치를, 3월에 최소치를 나타내었다. 중성지질의 주요지방산은 16:0, 16:1, 18:1, 18:2 18:3(ω3) 등으로 이 중 16:1 조성은 인지질보다 월등히 많았고 20:4(ω6), 20:5(ω3), 22:6(ω3) 등 고도 polyene산은 훨씬 적게 분포되었다. 중성지질의 지방산중 16:0 조성은 연중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16:1, 18:1, 18:2, 18:3(ω3)은 3월보다 5월이 2∼4% 정도 높았고 고도 polyene산 조성은 그만큼 적었다. 이중 16:1 조성은 5월 이후 계속 줄어든 반면, 18:1, 18:2 조성은 11월까지 거의 비슷하였다. 또, 8월에는 18:0, 14:1, 17:1 조성의 증가로 포화 및 monoene산 조성이 다소 높아지고 고도 polyene산 조성은 더욱 줄어들어 불포화도가 최소치를 나타내었다. 11월부터는 그 반대로 포화 및 monoene산 조성이 점차 줄어들어 동면 직후인 3월에는 18:0, 16:1, 18:1, 등 대부분의 포화산과 monoene산 및 18:2 조성이 더 큰 폭으로 떨어졌고 20:1, 20:4(ω6), 20:5(ω3), 22:6(ω3) 조성비는 그 만큼 더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인지질은 16:0, 16:1, 18:1, 18:2, 20:4(ω6), 20:5(ω3)이 주요 지방산이었고 3월과 5월 사이에 포화산과 monoene산 조성은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polyene산 조성은 중성지질과 비슷하게 변하였다. 8월에는 16:0, 18:0등 주로 포화산 조성이 높아지고 고도 polyenene산조성은 그만큼 줄었으나 11월부터는 16:0, 18:0과 18:1, 18:2, 18:3(ω3)조성이 다시 줄고 대부분의 고도 polyene산 조성은 점차 많아져 이듬해 3월에는 중성지질과 마찬가지로 불포화도가 더 큰 폭으로 커지고 특히 18:2, 18:3(ω3)와 20:4(ω6)와 22:6(ω3)의 변화가 두드러졌다.
늙은 호박의 기능성 검토를 위하여 껍질, 과육, 섬유상 물질 및 가식부의 4 부위를 열수, 70%아세톤, 70%메탄올을 이용하여 환류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수율은 과육의 경우 63.7∼68.2%를 나타내었다. pH는 70% 아세톤 추출물에서 5.01∼5.45였고, 열수 추출물이 5.78∼6.22로 나타났으며, 부위중에서 과육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 부위는 과육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는 섬유상 부위, 총당은 과육, 섬유상, 껍질의 순으로 그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폴리페놀과 플라보이노드 함량은 껍질 부위에서 함량이 가장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 작용은 용매 종류로 볼 때 껍질, 과육 부위의 경우 열수 추출물, 섬유상, 가식부의 경우 아세톤과 메탄올로 추출할 경우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여작용은 껍질의 경우 아세톤이나 메탄올, 과육과 가식부는 메탄올, 섬유상물질은 아세톤 추출물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열수 추출물의 전자공여작용의 크기는 총폴리페놀 함량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질의 과산화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엉겅퀴(Silybum marianum)로부터 silymarin 및 silybin을 정제하여 실험하였다. Silymarin 및 silybin은 xanthine oxidase system에서 superoxide anion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쥐의 간 mitochondria에서는 silymarin 및 silybin은 reduced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NADPH)에 의해 효소적 또는 ascorbic acid 또는 Fenton`s reagent에 의하여 비효소적으로 유도되는 지질의 과산화를 억제하였다. 또 mitochondria의 지질과산화도 silymarin 및 silybin에 의하여 억제되었고 NADPH 의존 cychrome P-450 reductase에 의한 Fe^2+의 산화도 silymarin 및 silybin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Silymarin 및 silybin은 microsome의 효소 시스템 및 linoleic acid hydroperoxide induced peroxidation system에서 지질의 과산화의 연쇄반응에서 유리기의 억제효과가 있었다.
요석증은 비뇨기과에서 흔히 관찰되는 질환으로서 30∼50대에 많이 발생하고, 남자가 여자보다 발생빈도가 높고, 좌측보다는 우측이 많으며, 문화가 발달한 나라에서는 상부요로 결석이 많으나 후진국에서는 하부요로 결석이 많다. 결석성분은 수산칼슘, 인산칼슘, 인산마그네슘암모늄, 요산, 시스틴 결석과 그들이 혼합결석으로 분류된다. 병태생리학에 따르면, 결석의 발생원인은 요중의 무기질 농도가 과포화 상태가 되면 결정체핵이 생성된다는 과포화/결정체설, 기질관여설, 억제물질의 결핍설, 에피택시설 등이 있고, 상피소체기능항진중, 과칼슘뇨증, 과요산뇨증, 과수산뇨증, 시스틴뇨증외에도 원위세뇨관 산증, 과비타민 D증, 소화기계 질환이 통계적으로 유의성있게 관여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란성 위염 환자 K43에서 화학분석법, 적외선 흡수 분석, image analysis법을 사용하여 재발성 상부요로 결석성분을 분석한 결과 제 2 수산칼슘과 인산칼슘의 혼합결석으로 확인되어고, 혈액화학 검사와 요 검사등 임상검사 성적은 정상치를 유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K43의 재발성 요로결석은 보고된 생성원인이나 인자들에 대한 통계수치와는 연관성이 없었으며 미란성 위염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는 증거도 없었다.
Aspergillus fumigatus IFO 5840이 생산하는 cytosine deaminase에 미치는 cytosine analogue의 영향을 조사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Cytosine deaminase의 강한 저해를 나타내는 cytosine analogue는 2-thiouracil, 2-thiocytosine, 2-mercaptopyrimidine, 및 6-azacytosine이었다. 2.본 효소에 대한 2-thiocytosine 및 6-azacytosine의 50% 효소활성 저해농도(HIC)는 각각 0.80mM 과 1.15mM 이었다. 3. 2-thiocytosine은 일정한 수준에서 본 효소의 반응을 정지시키는 반면, 6-azacytosine은 반응시간에 비례하여 일정한 비율로 저해하였다. 4. 2-thiocytosine과 6-azacytosine은 cytosine이나 5-fluorocytosine의 기질 종류에 관계없이 본 효소의 저해제로 작용하였으며 2-thiocytosine이 6-azacytosine보다 약 2배 정도의 높은 저해를 나타내었다. 5. cytosine을 기질로 하였을 경우, 2-thiocytosine과 6-azacytosine에 의해 경쟁적 저해를 나타내며 이들에 대한 K_i값은 각각 4.5 × 10^-4M 과 1.756 × 10^-3M 이었으며 cytosine, 2-thiocytosine 및 6-azacytosine에 대한 Hill 게수(Hn)는 각각 1.80, 1.81, 2.45로 나타났다.
백설기의 기준조리법 설정을 백설기의 조리과정에서 품질특성에 영향을 미친다구 생각되는 제반요인을 찾아냈고 그 요인들 중에서 가장 유의차가 크게 나타난 요인은 첨가하는 물의 양, 찌는 시간, 첨가하는 설탕의 양으로 나타났다. 그 중 첨가하는 물의 양과 찌는 시간과의 상호작용을 보면 제 Ⅰ보^14)에서 검토하였다. 다음은 첨가하는 설탕의 양과 찌는 시간과의 상호작용이 백설기의 texture와 기호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기계적 측정과 관능검사에 의하여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백설기 제조시 첨가하는 설탕의 양과 찌는 시간을 달리한 시료들의 기계적인 측정치를 분산분석한 결과 첨가하는 설탕의 양은 hardness, adhesiveness, gumminess에서 유의적인 차이(P<0.001)를 나타내었으나 찌는 시간, 설탕의 양과 찌는 시간과의 상호작용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 백설기 제조시 첨가하는 설탕의 양이 15, 20%인 시료와 5, 10%인 시료간에 찌는 시간에는 관계없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첨가하는 설탕의 양이 많을수록 hardness, adhesiveness, gumminess가 큰 수치를 나타냈다. 3. 찌는 시간을 20분으로 통일하고 설탕의 양을 달리한 시료들의 관능검사결과 첨가하는 설탕의 양이 15, 20%인 시료가 adhesiveness, sweetness, chewiness, overall quality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4. 관능검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된 시료들의 기계적인 측정결과는 대체로 hardness, adhesiveness, gumminess가 큰 수치를 나타냈다. 본 결과와 제Ⅰ보^14)에서의 결과를 요약하여 보면 12시간 침수한 멥쌀에 1%의 소금(NaCl)을 첨가하여 분쇄한 후 10%의 물을 첨가하여 물내리기를 한 후 김이 오른 후 물내린 쌀가루에 15%이상의 설탕을 첨가하여 20분간 쪄서 만든 백설기가 가장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실험중 가장 중요한 조건은 첨가하는 물의 양이 10%이며 첨가하는 당이 설탕일 경우는 김이 오른 후 설탕을 섞어 바로 쪄야 하며 설탕의 양이 15%이상이라는 것이다. 이 조건은 대체적으로 hardness, adhesiveness, gumminess가 큰 수치를 나타낸다.
본 실험은 벌꿀이 흰쥐(Sprague Dawley, ♂)의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저 설탕, 아카시아, 붉나무 그리고 잡화벌꿀을 각각 10%와 20%의 수용액으로 만들어 7주간 섭취 한 수 벌꿀의 효과를 비교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LDH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아카시아꿀, 붉나무꿀, 잡화꿀용액 섭취군에서 증가하였다. α-HBDH활성은 설탕용액, 아카시아꿀, 붉나무꿀, 잡화꿀용액 섭취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벌꿀 섭취군 중 20% 아카시아꿀 용액만 GOT, GPT의 활성이 증가하였다. ICD 활성은 붉나무꿀 용액에서 증가하였으나 아카시아 및 잡화꿀 용액에서 뚜렷하게 감소되었다. 벌꿀용액 섭취는 PHI, 전혈 G-6-P DH 활성을 감소시켰으나, aldolase역가를 증가시키는 경향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phenol이 암예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으며 phenol 이 TBARS에 미치는 영향, TBARS와 암과의 상관관계 규명에 초점을 맞추었다. 식이 phenol이 조직산화와 종양 발생(tumor onset)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영양적으로 우수한 amino acid-based diet와 transgenic mouse model을 이용한 protocol을 사용하였다. Mice는 human lymphotropic virus(type-1) transactivator (taxl) gene을 carry하며 동시에 종양이 외부로 나타난다. 25마리의 transgenic mice를 대조군, 2, 4, 8 mmol catechin/kg diet 군 및 wine solid군으로 구분하였으며, 대조군은 catechin과 wine solid를 전혀 주지 않았으며, wine solid를 군은 red wine 750ml/kg을 주었다. Mice는 매일 관찰하여 맨 처음 종양이 발현하는 날짜를 기록하였다. Catechin과 wine solid를 섭취한 mice에서 종양이 발현하는 시기가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더욱이 4mmol catechin diet 군과 8mmol catechin diet군에서는 실험기간동안 각각 1마리에서 종양이 발견되지 않았다. Catechin와 wine solid를 섭취한 mice의 뇌조직과 비장의 TBRAS 수준은 대조군 mice의 동일한 조직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낮았다. 또한 조직의 TBRAS 수준은 종양 발생과 유의적으로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연구의 결과는 phenol의 종류에 상관없이 식이 phenol에 조직의 항산화(산화억제)를 통해 암예방(cancer prevention)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시해 준다.
쌀 20%, 엿기름 4%를 가하여 7시간 동안 당화시켜 제조한 식혜는 말토오스 11.01%, 이소말토올리고당 5.31%, 말토트리오스 1.75%, 글루코오스 0.28%를 나타냈다. 알코올침전, Toyoperal HW-40S의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식혜의 이소말토올리고당. 말토오스, 말토트리오스를 분리 정제하였다. NMR분석 결과 말토오스와 말토트리오스는 α-1, 4-글루코시드 결합만으로 이루어졌고, 이소말토올리고당은 α-1, 4-글루코시드 결합과 α-1, 6-글루코시드 결합이 5 : 1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소말토올리고당을 pullulanase처리한 결과 말토오스와 말토헥사오스까지의 분포를 나타냈다.
식혜에 함유된 이소말토올리고당과 밥알에 30unit/ml의 α-아밀라아제, 글루코아밀라아제, α-글루코시다아제, β-아밀라아제를 가하여 작용시킨 결과 글루코아밀라아제 외에는 일부밖에 가수분해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인체의 효소인 α-아밀라아제와 α-글루코시다아제를 함께 작용시켜도 25%이상 가수분해하지 못하므로 비피두스균의 활성인자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밥알은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식이섬유로도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시판 식혜에는 설탕과 프룩토오스, 글루코오스, 말토오스 및 여러 사이즈의 말토올리고당, 한계덱스트린이 함유되어 있다. 그 중 한계덱스트린은 0.09%, 밥알은 0.2%를 나타냈다. ^1H-NMR분석 결과, 한계덱스트린은 α-1, 4-결합 및 α-1, 6-결합이 15 : 1 의 비율을 나타냈다. Pullulanase 처리로, 말토오스에서 글루코오스 10 잔기 이상의 말토올리고당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냈다. 한계덱스트린은 여러 아밀라아제 처리 결과, 전통 식혜보다 가수분해율이 훨씬 높았다. α-글루코시다아제와 타액 α-아밀라이제를 공동작용시킨 경우는 62% 가수분해되었다. 그러나, 밥알의 가수분해율이 매우 낮았다. 그래서 전통 식혜에 비해 한계덱스트린의 비피두스인자로서의 효과는 적고, 밥알의 식이섬유 작용은 커졌다.
시판 간장이 유통되는 동안에 가스가 형성되어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서 가스가 형성된 시판간장에서 효모를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가스가 발생된 시판간장에서 6개의 효모(SS-1, SS-2, SS-3, SS-4, SP-1, SP-2)를 분리하였는데, 그 중 3가지(SS-1, SS-2, SP-1) 효모는 막을 형성하였고, 나머지 (SS-3, SS-4, SP-2) 효모는 막을 형성하지 않았다. 분리된 효모중 SS-3를 제외하고는 간장에서 가스를 형성하였다. SS-3균주는 발효력이 약한 효모인 것 같다. SS-1, SS-2, SP-1는 Zygosaccharomyces rouxii var. halomembrains(산막효모)로 SS-4, SP-2는 Zygosaccharomyces rouxii(비산막 효모)로 동정되었고, SS-3는 Candida globosa(비산막 효모)로 동정되었다.
효소반응과 부분 산가수분해 결과를 해석하여 Leuconostoc mesenteriodes M-12 덱스트란수크라제 억셉터 반응 산물이 새로운 분지올리고당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분지올리고당 B_4의 구조는6^2-O-α-D-kojibiosylmaltose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분지올리고당 B_5의 구조는 6^3-O-α-D-kojibiosylpanose였다. 억셉터 반응산물을 덱스트라나제로 분해한 결과 새로운 올리고당인 D_4를 확인할 수 있었다. 억셉터 반응의 산물을 억셉터로 이용한 두 번째 억셉터 반응의 생성물을 덱스트라나제 처리하여 D_4를 얻었는데 덱스트라나제와 글루코아밀라제에 의해 분해되지 않았다. 그 구조는 6^2-O-α-D-kojibiosylisomaltose로 확인되었다. 직선상 또는 분지결합을 가진 d.p. 6이하의 억셉터 반응산물의 생성 패턴도 확인하였다.
여과제균한 배추즙에 김치에서 분리한 7주의 젖산균을 단독 접종하고 10℃, 20℃, 30℃ 및 40℃에서 배양하면서 각각의 증식곡선을 작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배양온도에서의 유도시간과 세대시간을 구하였다. 30℃에서 배양할 때의 유도시간은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은 168분,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s는 204분. Leu. paramesenteroides은 612분, Lac. bavaricus은 258분, Lac. homohiochii는 228 분, Lac. plantarum는 270 분 그리고 Lac. brevis는 264분이었고, 세대시간은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및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는 36분, Lac. bavaricus는 33분, Lac. homohiochii는 39분, Lac. plantarum는 66분, Lac. brevis는 42분 그리고 Leu. paramesenteroidse는 162부이었다. 배양온도를 30℃에서 10℃로 낮출 때 모든 균주들의 유도시간과 세대시간이 크게 연장되었는데, 이러한 연장은 Lac. plantarum에서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 10℃, 20℃ 및 30℃에서는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의 유도시간과 세대시간이 Lac. plantarum의 그것보다 더 짧았다. 그러나 40℃에서는 이러한 양상이 완전히 전도되었다. 전반적으로 보아 배양온도가 낮아질수록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의 증식에 상대적으로 더 유리하였고, 배양온도가 높아질수록 Lac. plantarum 의 증식에 상대적으로 더 유리하였다.
Arthrobacter sp. L-3로부터 glucose isomerase의 생산성을 검토하였다. 배지의 탄소원으로는 glucose와 xylose를 혼합해서 공급한 것이 효소 생산성이 가장 높았다. 질소원으로는 yeast extract가 가장 높은 효소 생산성을 나타내었다. Glucose isomerase의 생산성은 배양시간이 40시간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Bifidobacteria have been known as beneficial inhabitant of human intestine. Therefore, bifidobacteria began to be noticed as a starter inthe manufacture of fermented dairy products. Perhaps the key for effective use of bifidobacteria in commercial dairy products is the maintenance of viability of bifidobacteria during large scale preparation of starter culture and distribution of products. So we tried to obtain the bifidobacteria having suitable characteristics for using as a starter in the manufacture of fermented dairy products. Among bifidobacteria isolated from Korean, E-4 strain showed the highest resistance to oxygen. To know whether the selected strain will be fit for manufacture of fermented dairy products, we also investigated resistance of the selected strain to HCl. The selected strain, E-4, was more resistant to environmental stresses such as oxygen, H_2O_2 and HCL than Bifidobacterium longum known as resistant strain to environmental stresses. According to carbohydrate fermentation pattern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E-4 strain was identified as B. bifidum. In conclusion, the selected strain, E-4, was thought to be fit for manufacture of fermented dairy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