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7

        81.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뇌졸중 환자의 형태 항상성의 특성을 조사하고 형태 항상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을 밝히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뇌졸중 환자 25명과 비슷한 연령의 정상인 27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 재료는 80개의 모양을 방향만 달리 회전하여 오른쪽과 왼쪽에 하나씩 제시하도록 3차원 그래픽을 사용하여 제작하였고 심리학 실험 프로그램 수퍼랩에서 재현되도록 하였다. 참가자는 프로그램이 제시하는 대로 반응하도록 하였다. 80개의 모양은 20개씩 4가지 조건으로 구성되었다(깊이 단서 없음, 음영 깊이단서, 선형조망 깊이 단서, 음영과 선형조망 깊이단서). 결과 : 뇌졸중 환자들이 정상인보다 형태 항상성 판단 실험에서 정확도가 떨어지고 반응속도가 느렸고 깊이 단서가 제시된 경우가 그렇지 않은 통제조건보다 정확도가 높고 반응 속도도 빨랐다(p < .01). 결론 : 뇌졸중 환자는 시지각 능력 중 형태 항상성에 어려움이 있으며 형태 항상성을 돕는 요인인 깊이 지각은 이러한 어려움이 있는 환자들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4,000원
        91.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에서는 철근콘크리트 장주의 극한저항력을 효과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설계 관계식이 제안되었다.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거동은 여러 설계변수들의 영향을 받는데 특히 콘크리트의 강도, 철근비, 세장비 및 편심 등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설계식의 제안을 위해 위의 4가지 변수들을 변화시켜가며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비선형 해석을 수행하였다. 콘크리트의 균열 등을 포함한 재료의 비선형성을 고려하기 위해 적층단면법이 사용되었으며, p-△ 효과를 구현하기 위하여 기하강성행렬이 고려되었다. 해석결과로부터 각 변수의 변화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저항력의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회귀분석 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철근콘크리트 장주의 극한저항력을 효과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회귀분석식을 제안하였고, 기존의 설계기준과 비교하여 제안식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4,300원
        92.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축방향 인장 부재의 균열거동과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인장강화현상을 고려하기 위한 새로운 해석적 기법을 제시하였다 균열 후 거동 규명을 위하여 부착응력-슬립의 관계나 부탁 응력의 분포를 가정하는 기존의 해석방법과는 달리, 철근과 콘크리트의 변형률 분포 함수를 다항식으로 가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일축 인장부재의 균열 해석 기법을 구성하였다. 제시한 균열 해석모델은 기존의 해석기법과 비교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유한요소해석을 위한 균열 후의 평균 응력-변형률 관계를 정의하거나,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철근과 콘크리트가 분담하는 하중 및 슬립량 산정시 매우 효율적이다. 제안된 모델을 이용하여 얻어진 균열하중과 보강철근의 신장률 값을 다른 해석기법 및 실험값과 비교한 결과 만족할만한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4,900원
        96.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임의의 체눈 모양에서 어떤 절점에서 출발하여 출발한 절점으로 되돌아 오는 최단 경로를 탐색함으로써 2차원 유한요소의 연결관계를 자동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한 절점에서 가능한 여러 경로 중에서 가능성이 큰 경로만을 탐색하게 하였고 추출된 경로에 대하여 요소로서의 유일성 및 적합성을 검사하였다. 제안된 방법이 완전함을 증명하였으며 예제를 통하여 일반적인 자동발생 기능의 적용이 어려운 체눈 모양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요소를 추출할 수 있음을 보였다.
        4,000원
        99.
        199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북 동해안 일대의 전통 향토식품인 꽁치 과메기의 건조방법을 자연건조와 인공건조로 달리하여 각각 15일 건조기간 중의 핵산 관련물질, 아미노산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핵산 관련 물질은 건조기간중 ADP, AMP 함량은 서서히 감소하는 반면 IMP함량은 증가하여 IMP 축적현상을 보였으며 건조기간 중 inosine과 hypoxanthine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K value의 변화는 건조과정 중 점차 증가하여 건조 중 핵산 물질의 부해가 진행됨에 따라 신선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핵산 물질의 변화에 의한 신선도 측면에서 인공건조가 자연건조보다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IMP 등의 조합에 의한 맛의 상승작용으로 과메기 특유의 맛을 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98이었으며 glutamic acid, aspartic acid, histidine의 함량이 전체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이 34% 이상 차지하였다. 자연 및 인공건조동안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glutamica acid, histidine은 건조 3일째 이후부터 9일째까지 급속히 감소하였고 자연건조보다 인공건조의 감소가 더 크다. 자연 및 인공건조 중 lysine함량은 점차 증가하였으며 threonine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