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에서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자녀교육 현장에서 체감하는 다문화가정 자녀교육의 현실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제가 무엇인가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해서 시도되었다. 이 연구는 S시에 거주하는 6명의 국제결혼이주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이들은 모두 출신국이 달랐으며, 연령 및 학력도 다양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주제별로 요약해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족이 겪고 있는 자녀교육의 문제는 사례마다 다르다는 점이며, 다문화가정 지원정책은 획일적이 아니라 가족이 처한 상황에 따른 맞춤형 지원이 이루어져야 소기의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다문화가정 자녀교육의 성공을 위해서는 가정의 안정을 전제로 하며, 가정의 안정은 부부간의 사랑과 신뢰가 바탕이 된다는 점이다. 셋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은 자녀교육의 성공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역량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에 대한 한국어능력 향상을 위한 지원이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넷째,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적절한 학습지원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의 지원으로는 절대 부족하며, 다문화센터 뿐만 아니라 정규학교의 적극적인 참여와 자원봉사의 확대가 절실히 요청된다. 다섯째, 학교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이해와 다문화 자녀에 대한 배려와 지원이 절실하게 요구된다는 점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 자녀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문화가정 가족이나 다문화가정 지원 관계자뿐만 아니라, 교사와 학생, 이웃, 그리고 사회 전체의 변화를 동반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 연구에서 살펴본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이 겪은 경험에서 나타난 현실은 다문화가정의 문제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각 사례에 적합한 지원방안을 수립, 추진하는데 가장 생생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가정 및 다문화가정 자녀교육의 문제를 심층적으로 이해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지원정책을 추진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표면영상유속계(SIV)는 영상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하천의 표면유속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유량을 산정하는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정식 표면영상유속계(FSIV) 시스템을 달천 수전교에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연속적인 유량 측정을 실시하였다. 수전교에 적용된 FSIV의 하드웨어 시스템은 영상 획득을 위한 2대의 디지털 카메라와 컴퓨터, 그리고 수위 측정을 위한 초음파 수위계로 구성된다. 이 현장 장비들에서 획득된 실시간 영상과 수위 자료는 무선인터넷을
공유하천에서 수문지형학적으로 비대칭일때 상류에 위치한 국가가 하류에 위치한 국가의 물이용을 제한할 경우, 현실적으로 이를 해결할 강제적 수단이 없다. 북한은 이런 점을 이용하여 북한강 상류에 임남댐을 건설하고 수력발전을 위해 유역변경식으로 물을 이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하류국가인 남한지역에서는 용수부족과 건천화 등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하류지역의 용수보장 및 하천기능유지를 위한 수리권 배분과 같은 근본적인 문제해결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
북한강 수계의 경우 북한이 임남댐을 개발하여 유역변경식으로 물을 이용하고 있어 하류지역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남 북한이 공유하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수량이나 수질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남 북공유하천에서 상 하류국가간 물이용의 공평성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남북공유하천의 공평한 물이용의 판단기준이 되는 수리권을 검토하기 위해 북한의 임남댐에 의한
본 연구는 근래 해운산업 현장 근로자인 우리나라 선원이 감소하는 현상에 대하여 이들의 이직의사를 결정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선원을 대상으로 실증적인 연구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원들의 임금, 근로조건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선원들의 이직의사는 낮다. 또한 선원들의 사회적 정체성 및 경력비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선원들의 이직의사는 낮다. 이에 부가하여 인구통계특성 중에서는 선원들의 나이가 많을수록, 미혼일 경우보다는 기혼자가 이직의사는 낮은 반면, 고졸이하 선원에 비해 대졸이상 선원의 이직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영남내륙지방을 사례로 강수특성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길게는 1909년부터 2009년까지의 짧게는 1988년부터 2009년까지의 9개 지점의 강수량 자료를 분석하였다. 영남내륙지방의 평균 강우일수는 약 97일이다. 강우일수는 최근 20년(1990~2009년) 동안에 추풍령, 구미, 의성에서 증가하고 나머지 지역에서 감소하는 경향이다. 일강수량 80㎜ 이상 일수와 일강수량 50㎜ 이상 일수는 대체로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일강수량 1㎜ 이하 일수는 문경, 영천, 봉화에서 감소하는 경향이며, 일강수량 5㎜ 이하 일수는 구미, 문경, 영천, 의성, 봉화에서 감소하는 경향이다. 영남내륙지방의 연강수량은 1,100㎜ 정도이다. 연강수량은 대부분 지역에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대체로 강우일과 미우일은 감소하고, 호우일과 강수량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하지만 2000년대에 들어서 그 경향이 반대로 바뀌어 나타난다.
ultiplies exponentially at that moment.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everyday and twice a week over a four month period (march~june) 2009 year to confirm maintenance of accuracy through Quality control of OBI. In short, measurement of exponentially multiplying accuracy of OBI and regular accuracy control was able to maintain accuracy from the center of treatment within 0.1 cm. Therefore, evaluation of exponentially multiplying accuracy using OBI accuracy control linear accelerator phantom on daily, weekly basis was confirmed.
본 연구는 LVEF값이 40% 미만인 환자와 정상인 환자의 심장 박동 수를 비교 분석하여 CCTA 검사 프로토콜의 최 적화를 통한 양질의 영상, 환자피폭과 재 검률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각 심장박동수와 LVEF에 관계에서 LVEF가 40%이하가 될 때 true 100HU에 도달하는 시간이 오래 걸림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40% 미만인 환자들에서 Premonitoring deay를 설정 할 때 5초정도 더 주어도 됨을 알 수 있었다. 조 영제는 Scan time x 4cc + 30cc의 용량을 4cc/sec속도로 주입한 후 이어서 Saline은 모든 환자에게 40cc를 4cc/sec속 도로 추가 주입하였으며, 40% 미만에서는 HR이 80이상을 제외하고는 큰 차이를 보이는 것 을 알 수 있다. 또한, 40% 미만에서는 조영제가 true 100HU에 도달하여 Scan을 시작 할 때 시간 차이가 커 조영제가 이미 Left ventricle에서 Wash-out 됐음을 예측 할 수 있었다. 40%이상의 LVEF와 정상 이하의 LVEF는 검사 도중 많은 차이를 가지고 있다. 낮은 LVEF 환자에게서 검사를 시작 할 경우. 따라서, 조영제 주입 프로토콜은 LVEF에 따라서 CCTA에 결정되어져야 한다. 그리고 우리가 낮은 LVEF에 따라 검사 실패를 감소시켜야 하기 때문에 낮은 LVEF의 경우에는 일반적 Pitch 보다 낮은 Pitch가 사용되어져야 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esent the measures for the stable organic rice production, farm income increase and consumption revitalization and so on by analyzing economic effects of the organic rice production complex and farmers by cultivation type. The farmers received prices of organic rice and Life and Environment Agriculture (LEA) were 2,965 won and 2,014 won per kilogram, respectively. Finally, the results of the productivity analysis show that LEA produces about 11% lower crop yiel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farming. Meanwhile, the profitabilities of the organic farming per 10a were about 15%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farming. But, LEA per 10a was individually 23% lower then the conventional farming.
강변저류지는 하천 제방의 일부를 낮춰 제내지에 홍수량을 저류하는 방식으로 홍수기에는 홍수조절효과를 얻을 수 있고, 비홍수기에는 습지, 농경지, 생태공원 및 스포츠 시설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친환경적 치수구조물이다. 강변저류지의 홍수조절효과는 강변저류지 설치 전·후의 첨두홍수량 또는 첨두홍수위 차이를 말하며 저류용량, 월류턱 높이, 횡월류부 길이, 하천 수위 및 홍수수문곡선 등 다양한 인자들에 의해 결정된다. 그 중에서도 홍수조절효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저류용량이다. 만약 홍수 수문곡선에 대하여 강변저류지의 저류용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첨두 홍수 발생 이전에 횡월류부의 월류턱 높이 이상으로 수위가 올라가게 되어 목표로 하는 홍수조절효과를 확보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강변저류지의 저류용량은 홍수 수문곡선에 따른 횡월류부의 수위변화를 충분히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차원 부정류 수치모형인 HEC-RAS를 이용하여 저류용량이 충분한 경우와 부족한 경우에 대해 강변저류지의 횡월류부 흐름특성과 홍수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강변저류지의 저류용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불완전 횡월류 흐름이 발생하여 강변저류지 직하류의 수위저감효과와 홍수조절효과가 작게 산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강변저류지 설계시 가능하면 불완전 횡월류 흐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저류용량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의 연안은 갯벌, 사구, 해안습지 등 독특한 자연적 특성을 갖고 있는 지역으로 다양한 생물의 서식과 함께 인간의 생산 활동에 이용되는 중요한 공간이다. 그러나 최근 연안 지역의 산업화 및 관광화로 인하여 침식 저감을 위한 연안정비사업으로 각종 호안구조물이 건설되었고, 대부분의 구조물은 성장위주의 경제 정책으로 그 기능이 상실되어 연안의 해안침식을 저감시키지 못하고 있다. 연안 해안침식 저감을 위해서는 해수와 사석과의 마찰면적 및 공극률과 관계가 깊으나, 기존에 설치되어져 있는 호안구조물은 피복사석 설계 시 연안 침식 저감에 효과적인 사석의 형상 및 배열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석 호안구조물 설계 시 연안침식 저감에 효과적인 사석의 형상 및 배열을 결정하고 천연자원의 고갈을 사전에 방지하기위해 건설폐기물을 규정에 맞추어 재활용한 순환골재를 사용하여 연안 침식방지를 위한 인공사석 호안구조물의 사석 설계 방안을 결정하였다. 사석의 형상은 반사파의 크기를 저감하기 위해 해수와의 마찰면적을 최대로 할 수 있으며 제작성과 안정성을 고려하여 정26면체의 형상으로 설계하였다. 또한 피복사석의 크기는 안정계수를 사용하는 경험공식인 허드슨공식을 사용하여 결정하였으며 피복사석i H 지름의 55%와 50%에 해당하는 크기의 사석을 내부사석으로 결정하고 사석의 배열을 달리하여 사석 호안구조물을 설계하였다. 사석의 부피 및 면적과 사석개수의 관계를 계산한 결과, 배열에 따라 해수와 사석과의 마찰면적 및 공극률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마찰면적이 작을수록 단위부피당 공극률이 크게 나타났다. 해수와 사석과의 마찰면적이 클수록 반사파가 감소하여 연안침식 저감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되나 공극률이 작을수록 해수의 침투가 불리하므로 이에 대한 상관관계를 추후 수행할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밝혀 연안침식 저감을 위한 호안구조물의 사석 형상 및 배열을 결정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친환경적 홍수방어대책의 하나로 강변저류지 건설이 적극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강변저류지를 치수대책에 포함하기 위해서는 강변저류지 설치로 인해 확보할 수 있는 홍수조절효과를 정확하게 산정해야 한다. 강변저류지의 홍수조절효과를 산정하기 위해 실무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방법은 하천의 수위 변화를 고려할 수 있는 1차원 부정류 수치모형인 HEC-RAS이다. HEC-RAS를 이용한 강변저류지의 홍수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횡월류위어 유량계수가 필요하다. 횡월류위어의 유량계수는 과거 많은 연구자들이 실험을 통해 제시하고 있지만 산정식들마다 차이를 보이고 있어 횡월류위어 유량계수 결정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횡월류위어의 유량계수를 수리실험을 통해 산정한 후 기존 산정식들로 구한 횡월류위어 유량계수들과 비교하여 강변저류지 홍수조절효과 분석에 기존 산정식들을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비교 결과 본 연구에서 가정한 모의조건에서는 수리실험으로 산정된 유량계수에 비해 경험식으로 계산된 유량계수가 약 19 ∼ 97 % 정도 크게 산정되었다. 그리고 기존 산정식들로 구한 횡월류위어 유량계수를 이용하여 횡월류량을 산정할 경우, 약 1.2 ∼ 2.4 배 정도 과다 산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강변저류지 홍수조절효과 산정을 위한 횡월류위어 유량계수 산정시 기존 산정식으로 구한 횡월류위어 유량계수의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수리실험을 통해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