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

        21.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구례 농촌지역에 서식하는 1쌍의 너구리(Nyctereutes procyonoides koreensis) 행동권을 측정하고 이전 너구리 연구와 비교하는데 있다. 원격무선추적은 2개체의 너구리를 이용하여 2개월 간격(2000년 6, 8, 10, 12월)으로 2일씩 주기적으로 수행되었다. 모니터링 기간 동안, 무선추적은 주간과 야간에 걸쳐 보통 1~3시간 간격으로 실시되었다. 전체 46~64개의 무선추적 자료의 분석 결과는 95% 최소볼록다각형(MCP) 방법에서 1쌍의 너구리의 전체행동권 크기가 0.41km2, 평균행동권 크기가 0.32km2임을 보여주었다. 암컷과 수컷의 행동권은 상당 부분 중첩되었고(약 70~95%), 행동권 크기는 서로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주간(0.01km2)과 야간(0.35km2)의 행동권 크기는 매우 큰 차이를 보였고, 여름(0.56km2)에 가장 컸지만 겨울(<0.01km2)에 가장 작았다. 추가적으로, 1쌍의 너구리는 1개의 핵심지역과 4개의 서로 다른 섭식지역들을 가지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동일한 개체들을 이용하여 하루 동안 더 빈번한 추적 수와 더 긴 추적 간격을 이용한 이 너구리 행동권 자료는 하루 동안 덜 빈번한 추적 수와 더 짧은 추적 간격을 이용한 이전의 연구와 매우 유사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4,200원
        22.
        200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vestigation for the species composition and catch in the deep East Sea was carried out with commercial trawlers from 2004 to 2006. The catches were 6,043kg and were composed of 43 species with 34 hauls between 250m and 1,030m in depth. The principal species caught were Allolepis hollandi, red crab (Chionoecetes japonicus), Careproctus rastrinus, Argis lar, Chionoecetes opilio, Malacocottus gibber, Petroschmidtia toyamensis, Pandalus eous Makarov, and Dasycottus setiger. The rate of discarded catches in situ was about 50%. The diversity indexes of 2005 and 2006 were 1.152 and 0.878, respectively, and the evenness indexes at those years were 0.752 and 0.583, respectively, which implied one dominant species caught in 2006.
        4,000원
        23.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겨울철 눈 위 발자국 조사를 통해서 도로횡단구조물(교량, 박스형 통로, 박스형 수로, 원형 수로)에 대한 야생동물 생태통로로서의 기능과 종별 이동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총 86개소의 구조물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구의 면적이 넓을수록 동물들의 이용률이 높아졌다. 둘째, 원형 수로, 박스형 수로, 박스형 통로 등 조사된 모든 구조물 유형이 중소형 식육목에 속하는 너구리 삵 족제비의 생태통로 기능을 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형 초식동물인 고라니는 교량 하부로만 이동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고라니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도로 구조물의 규격에 대한 연구가 향후 진행되어 고라니 의 교통사고와 서식지 파편화에 대한 취약성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4,000원
        25.
        199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temperatures and fishing conditions of common squid by the squid angling fishery from June to September in 1993-1995. The condition of the common squid fishing largely depended on the fluctuation of water temperature in the coastal area of Gampo. Monthly mean water temperatures during June m September in 1993 and 1994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in 1995 in Gampo area. But the values between July and August in 1995 were about 5℃ lower than those in 1993 and 1995. Coefficients of variation (CV) of water temperature showed the lowest value during July ~ September in 1993, however, the highest value was observed in July and August in 1994. Catch per unit effort (CPUE ; kg/angling) showed a peak with 73.7kg in 1993 when the CV was low. On the other hand, the lowest CPUE of 39.6kg was observed in 1994 when the CV was high. It was concluded that the high stability of water temperatures and the weak strength of cold water have caused the good fishing conditions of common squid.
        4,300원
        26.
        199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stribution of Anchovy was analyzed from the experimental operations by the small anchovy drag net fishery in the coastal area of Yang yang - gun and Myongju - gun of Kangwon Province from October to December, 1994. Temperature ranged from 11.4℃.to 17.4℃.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Fishes caught by experimental operation vessels were composed of anchovy, Clupanodon Punctatus, Pleuronectidae, Tetraodantidae, Acanthopagrus Schlegeli etc., and the anchovy occupied more than 99.6% of the total catch. Anchovy was characterized by the most abundance of the catch for the individual less than 6cm and the gradual increase after October for those larger than 6cm. CPUE(catch per tow) of anchovy was 684kg in October, 784kg in November, 1,590kg in December and mean CPUE of 3 months from October to December was 1,066kg. Fishing grounds of anchovy were formed in coastal area, from 37˚45'N to 38˚04'N, off Kangwon Province. Distribution density of anchovy in Chumunjin - up, Kyohang - ri Sachon - myon, and Sachonjin - ri coasts was higher than the other areas. Anchovy caught in this surveyed area was recruited from July to September at the length class between 2cm and 3cm, and grew to the sizes between 4cm and Bem in October, between 5cm and tcm in November, between tcm and Bem in December. Recruitment of anchovy increased from July to September and suddenly decreased after September. Individual number of the population was the largest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to October and gradually decreased after October. Biomass continuously increased after August, and was the largest in December.
        4,300원
        27.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establish one of the forecasting model for the fishing conditions of squid angling fisheries in the Eastern Korea Sea, the catch data for the years of 1955~1991 and the water temperature data for the years of 1979~1990 were analysed, and then some parameters, that is, the water temperature normal year anomaly in the spawning and the rapidly growing season, the adult resource amount and etc were examined statistically correlation with the catch fluctuation of the main fishing seasons. From the result, authors suggested a formula as a forecasting model, Y=25785+1099X sub(1)+1074X sub(2)+6.033X sub(3)+3.95X sub(4)+1.330X sub(5)(M/T)(R super(2)=0.867, P<0.01) in the case that Y is the yearly catch, X sub(1) and X sub(2) are the water temperature normal year anomalies in October and December of the previous year and that in February and April, and X sub(3), X sub(4) and X sub(5) are the catches in October, in September, in November of previous year respectively. Because these parameters could be checked in earlier time of a half year before the main fishing season, this model was assumed to be very useful for the prediction of fishing conditions of squid angling fisheries.
        4,000원
        28.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70~1988년의 19개년간 한국 남해안에서 어획된 멸치의 어황조사 자료와 해황조사 자료를 토대로 멸치 기선권현망의 어장형성과 어황변동에 관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멸치 기선권현망어업의 어획량은 1970년에 21, 000M/T에 불과하였으나 그 후 크게 증가하여 최근에는 10만 M/T 내외의 어획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주대상어종은 멸치로서 이 한 종이 전체 어획물의 98%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 멸치 기선권현망어업의 어기는 1월~3월, 7월~12월까지이며, 이 중 성어기는 7월~12월(최성어기: 8월)이고 한어기는 1~3월로 나타났으며, 어장은 여수해협으로부터 남해연안을 거쳐 방어진 사이의 해역에서 형성되나 계절별로 다소의 변동을 하고 있다. 3. 멸치의 춘계(4~6월) 산란군의 어획량(X)과 추계(7~12월) 어획량(Y)과의 사이에는 Y=62,246+1.30X, r=0.63의 관계식으로 나타나므로서 멸치의 춘계 산란군의 양과 추계 멸치 기선권현망의 어황사이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멸치 기선권현망어업의 어황 풍.흉은 해양구조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멸치의 중심 어장인 남해 중동부 해역과 동해남부 및 남해서부해역의 수온이 심한 차이를 보이므로서(수온표준화지수 FI는 남해 중동부 해역이 -50~-150) 수괴의 분리 현상이 나타나거나 수온전선이 연안측 가까이에서 형성될 때 해황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 최성어기인 8월에는 수온약층이 20~22℃의 수온대를 중심으로 10m에서부터 20m 이내의 수층에 조밀하게 형성 될 때 좋은 어장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불황을 보인 해에는 남해 중동부 해역에서 현저한 저수온(FI=-50~-150)을 보이거나 해역간의 수온 분포가 동질적이어서 수괴의 분리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또 8월의 수온약층도 30m보다 깊은 수층에서 나타났다.
        4,000원
        29.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design/control method that can be used for the improvement of harbour tranquility and water quality of fishing ports. For this end, firstly, the hydraulic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fishing ports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Korean Peninsula are analysed and discussed combined with disasters of facilities and vessels in the ports. Secondly the problems of water quality control is pointed out considered with the improvement measures of harbour tranquility such as the methods of lengthen of main breakwaters and construction of wave absorbing structures. Finally, the control characteristics of composite functions of water quality and tranquility of fishing port are discussed and the improved control method si proposed using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various measures. The proposed measure is proved to be a applicable method to improve these two main functions on the design of fishing port.
        4,300원
        30.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curacy of cultivated crop database in agricultural farm business using UAV(Unmanned Aerial Vehicle) and field survey over Daesso-myeon, Umsung-gun, Chungbuk. When comparing with agricultural farm business and cadastral maps, Daeso-myeon crop field shows 29.8%(2,030 parcels out of 6,822 parcels) is either mismatched or missing. It covers almost 19.3%(3.4km2 of 17.6km2) of total farmlan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multifaceted plan including cadastral map.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ultivated crop registered in the agricultural farm business and the field survey agreed only in 3,622 parcels in total 6,822 parcels whereas 3200 parcels disagree. Among these disagreed parcels 2,030(29.8%) have been confirmed as unregistered farm business entity. Accuracy of cultivated crop registered in agricultural farm business agreed in 75.6% cases. Especially the paddy field registration is more accurate that other crops. These discrepancies can lead to false payment in agricultural farm business. For exploration and analysis of regional resources, UAV images can be used together with farm business management database and cadastral map to get a clearer grasp over on-site resources and conditions.
        31.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소규모 저수지의 붕괴에 따른 침수 지역 모의를 수문·수리 모형을 활용하여 산정하였다. 2014년 8월 21일에 발생한 집중호우로 경상북도 영천의 농업용 소규모 저수지인 괴연저수지가 붕괴하였으며, 그에 따라 저수지 하류부의 농가 및 농경지에 침수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소규모 저수지는 유입량·방류량·수위·저수량 등 기본적인 수문학적인 요소를 측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무인비행기로 관측한 항공영상(DSM, Digital Surface Model)과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기법을 활용하여 저수지 내용적곡선 및 하류부 하천 형상을 추출하였다. 일반적인 수면아래의 지형고도는 항공영상으로 촬영할 수 없으므로 저수지 붕괴이후에 드러난 지형을 촬영하였으며, 각 지형고도별 격자를 GIS기법으로 계산하였다. 또한 하류부 하천의 지형고도 및 침수흔적도를 활용하여 침수모델링 및 모의결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침수흔적도와 모델링 결과가 약 90% 정도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침수면적은 약 1.7 ha, 하천을 제외한 범람지역에서는 약 0.5 m 정도(성인 무릎높이)의 침수심이 산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HEC-HMS 모형의 홍수량 산정시 실측자료를 통한 검·보정이 불가능 하였으므로, 향후 중소규모의 농업용 저수지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실측자료가 존재하고, 이를 적극 활용한다면 더욱 신뢰있는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32.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진에 따른 인명 피해 예측을 위한 핵심적 자료는 시간에 따른 사람들의 공간적 분포이다. HAZUS 플랫폼에서는 하루 중 세 시각(오후 2시, 5시, 오전 3시)에서 발생되는 인명 피해를 예측하기 위하여, 미국의 시간 별 인구공간분포를 사용하고 있으나, 인구공간분포 예측모델이 실제 행태자료를 자료를 바탕으로 하고 있지 않을 뿐 아니라, 대한민국의 시간별 행태패턴과 상이하여, 시간에 따른 공간적 exposure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HAZUS 플랫폼을 활용하여, 울산광역시 56개동의 지진 인명피해 규모 예측 모델을 제시한다. 2009년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24시간의 행태 패턴을 파악하고, 파악된 자료를 바탕으로 행정동별 exposure 변화를 예측한다. 예측된 수치를 활용하여, 지진발생시각에 따른 행정동별 인명피해 규모 변화를 시뮬레이션한다. HAZUS 플랫폼을 대한민국에 적용하여 피해규모를 예측한 수편의 연구가 있으나, 정확한 인명피해 예측을 위하여 별도의 행태 패턴 자료를 활용하여 예측모델은 개선한 시도는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시공간의 시간별 exposure를 이해하고, 지진 대응을 위한 적절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33.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reenhouse gas emission according to the energy consumption is the cause of global warming. With various climates, it is occurs the direct problems to ecosystem. The various studies are being to reduce the carbon dioxide, which accounts for more than 80% of the total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is study, estimate the carbon usage using potential biomass extracted from forest type map according to land-use by satellite image, and estimate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according to the energy consumption of urban area. The CO2 adsorption is extracted by the amount of forest based on the direct absorption of tree, the other used investigated value. The CO2 emission in Jecheon was 3,985,900 TCO2 by energy consumption. At the land cover classification, the forest is analyzed as 624,085ha and the farmland is 148,700ha. The carbon dioxide absorption was estimated at 1,834,850 Tons from analyzed forest. In case of farmland, it was also estimated at 706,658 Tons.
        35.
        200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RP 스트럿을 가진 PSC 박스거더 교량 구조는 기존의 PSC 박스거더를 효율적으로 변형시켜 넓어진 상부 슬래브의 캔틸레버 부분을 스트럿으로 지지하는 구조형식으로, 상부구조의 자중을 줄여 하부구조의 크기를 경감시키므로 경제적이고 미관이 뛰어난 교량 건설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처음 시도되는 FRP 스트럿을 가진 PSC 박스거더의 실물모형 재하실험과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상호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FRP 스트럿을 가진 PSC 박스거더 교량 구조에서 FRP 스트럿과 스트럿 적용에 따른 상부 슬래브의 구조적 안전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38.
        199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xtreme environments and freak wave characteristics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n Peninsula are analyzed using the observed wave data. Freak wave has been intensely emphasized as an important environmental force parameter in several recent research works. However, the mechanism and occurrence probability of freak wave are not clarified.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summarize the distribution of extreme environment for wind waves, and to find occurrence probability of freak wave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n Peninsula. These extreme sea conditions are discussed by applying extreme value analysis method, and the statistic characteristics are summarized which can be used to the design and analysis of coastal structures. The mechanism and the occurrence probability of freak wave are also discussed in detail using wave parameters in considered with wave deformation in the coastal water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