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는 신규댐 건설 여건이 비교적 양호하였으므로 기존댐의 용량 재할당을 고려할 필요가 없었다. 그러나 신규댐의 건설이 어려운 현 상황에서 기존댐의 효율적 이용이 절실히 필요하게 되어, 다목적댐의 용량 재할당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의 대청다목적댐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저수용량 재할당 대안에 대하여 현재 금팜강유역 수문상황의 변화를 적절히 반영할 수 있는 저수지 재할당 기법을 적용하고, 수위하강 빈도, 발전량, 신뢰도, 복
일반적으로 저수지는 건설되기 이전에 설정된 이용계획에 따라 용량이 할당되고, 방류량의 조절로 운영정책이 확립된다. 이렇게 수립된 저수지 할당계획은 댐의 증고 또는 용도변경과 같은 특별한 사항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변화되지 않는다. 하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가 공공의 필요성과 목적에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반영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서 다목적댐의 용량 재할당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금강유역의 대청다목적댐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저수
국내의 경우 전국적으로 관거의 신설보다는 기존에 매설되어있는 관거의 노후에 따른 개량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나, 그에 따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국내ㆍ외에서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개량시기를 결정하는 연구 예가 있으나, 이러한 연구에서 개량시기를 결정하는 요소들이 매우 단순하여 관거의 노후에 따른 복합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거별 통수능력 및 불명수 발생량을 산정하여 배수분구내 토구별 최적 개량 우선순위를 결
도시유역 하수처리장의 효율을 저감시키는 가장 큰 요인은 하수관내에 발생하는 불명수(Inflow /Infiltration, Ⅰ/Ⅰ)이다. 불명수 저감방안 수립을 위해서는 관로 개개 시설에 대한 조사를 통해 불명수 유입량을 산정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재정적, 시간적 한계로 인해 표본조사 결과를 과업대상 전지역에 확대 적용하여 불명수 저감방안을 수 립하고 있다. 이러한 국내의 불명수 산정 방법은 사업대상 전지역의 불명수 총량에 따른 고려만 이루어질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저수지에서 저수량 예측모형과 함께 저수지의 목표저수량 및 한계저수량을 유지하기 위한 저수지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대상저수지인 금강저수지에서 1990년부터 200l년까지의 저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갈수빈도해석을 적용하고, 2년빈도 한발저수량을 목표저수량(target storage)으로, 10년빈도 한발저수량을 한계저수량(critical storage)으로 설정하였다. 농업용 저수지의 운영의 효율화를 위해서는 우선 합리적인 방법을 통하
This study focuses on importance level analysis of environmentally-friendly planning factor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This study verify different planning principle makes comparison matrix by a relative comparison value, verified consistency after yield weight to analyze more objective importance for apartment complex estate environmentally-friendly planning factor. In order to decide importance of apartment complex estate environmentally-friendly planning factors multiplying weight of verified planning principle with weight of planning fact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mportance of preservation of green tract of lands, Preparation of Biotop, Tree planting of sites, Propriety of development density high except Ciculation and practical use of water. Next, valued planning factors constituent appeared to Energy efficient building plan, Rubbish recycling, thermal utilization of solar energy, Artificial tree planting of buildings etc. importantly. Finally, plan constituent that importance is underrated most appeared by Practical use of building meterials and equipment, Centralization of energy and resources, Preservation of corridor etc.
본 연구는 수정란이식기술을 이용하여 혈통과 유전능력이 분석된 고능력한우로부터 수정란을 생산하고 이를 번식기반이 미약한 농가의 수란우에 이식함으로서 우수한우 유전자원을 조기확대 보급하여 농가단위의 개량 및 번식우 사육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공란우는 축산기술연구소 남원지소의 축군에서 유전능력이 평가된 우수암소를 선발하였고, 발정주기 9~11일째부터 Folltropin-V(Vetrepharm, Canada) 50mg씩을 4일간 12시간 간격으로 근
흑염소는 우리나라 고유의 재래가축으로 다른 축종에 비해 아직까지 재래의 특성이 남아있는 가축이다. 또한 흑염소는 다른 경제동물에 비해 체구가 작고 온순하여 다루기 쉽고, 번식력이 좋으며, 임신기간이 짧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생명공학이나 형질전환동물의 생산과 같은 학문연구를 위한 실험용 동물로 많이 이용되고도 있다. 가축개량의 한 방법으로 오랫동안 수정란이식 기술이 연구ㆍ이용되고 있으나 한우, 젖소, 돼지 등의 한정된 동물에게만 연구ㆍ개발 되어왔으며, 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