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일부 도시지역 고등학교 기숙사에 기거하고 있는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1일 열량, 탄수화물, 단백질, Na, K, Ca및 Fe의 섭취량을 음식물 분석과 식사조사 방법에 의해 평가하고 식염함량과 탄수화물, 단백질 및 혈압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Na의 섭취량은 1일 평균 남학생이 6, 539.59㎎(NaCl로서 16.64g), 여학생이 4, 240.51㎎(NaCl로서 10.79g)이었고, K는 1일 평균 남학생 2, 559.21㎎, 여학생 1, 696.21㎎, Ca는 1일 평균 남학생 549.57㎎, 여학생359.81㎎으로 남학생은 권장량의 68.7%, 여학생은 권장량의 51.4%이었다. 그리고 Fe는 1일 평균 남학생 13.56㎎, 여학생 8.82㎎으로 남학생은 귄장량의 75.3%, 여학생은 권장량의 49.0%이었다 음식물중 NaCl섭취율은 대부분 국 종류에서 섭취하였고, 남학생은 순두부찌개에서 2.03g, 여학생은 감자된장국에서 1.74g으로 가장 많이 섭취하고 있었다. 그리고 반찬 중에 끼니 제공되고 비교적 Na함량이 높은 김치에서는 예상외로 1일 평균 남학생 2.18g, 여학생 1.80g을 섭취하고 있었다. NaCl의 섭취량과 탄수화물 및 단백질 섭취량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탄수화물에서는 높은 양의 상관관계(p<0.001, r=0.6554)를 보였으며, 단백질 섭취에서도 양의 상관관계(p<0.01, r=0.3837)를 나타냈다. NaCl 섭취량과 혈압과는 아무런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1일 섭취하는 식사의 NaCl분포는 밥에서 0.90%, 국에서 38.99%, 반찬에서 53.51%, 간식에서 0.6%이었다.
Thes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pregnancy in bisected embryo. The embryos of ICR mouse were microsurgically bisected at morula and blastocyst stage using microsurgical blade attached a micromanipulator. These bisected embryos without zona pellucida were cultured up to blastocyst stage and cell count and diameter of stained blastomere, and transferred pseudopregnant mice. And the development of these bisected embryos wa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production of young of the corresponding intact embryos or cell stage. When the bisected mouse embryos were cultured in vitro for 20 to 24 hours in morula stage(77.2%) or 3 to 6 hours in blastocyst stage(84.1%), them were developed to the expanded blastocyst stage. There were no significant(P<0.05)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rate of bisected embryos between in morula and blastocyst stages. The embryo size of blastocyst developed in vitro from bisected embryo was small(P<0.05)than intact embryo. However, the number of blastomeres with bisected embryo (24.7+1.3and 21.5+1.2 respectively) were significantly(P<0.05) reduced, compared with that of intacted embryos(36.3+1.1 and 41.4+1.2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the result of pregnancy rate(63.6%) after surgical transfer of bisected morulae, a similar result(65.4%) was obtained with bisected blastocyst stage(P< 0.05). However, production of youngs (38.8%) after transfer of bisected morula, a similar result (38.1%) was obtained with bisected blastocyst stage (P<0.05).
Polyester, polyacrylics, nylon과 cotton을 이용해 이들의 막지지천으로의 사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압축률, membrane embossing, 유량과 물리적·화학적 특성 등을 고려한 결과 50 번수의 polyester가 막지지천으로 적당함을 알았다. 이 polyester를 막지지천으로 사용해 압력 강하, 조업압력, 점도 등이 막지지천을 통한 유체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는데, 이 막지지천을 통한 유체 흐름은 Darcy's law를 만족시켰다.
한국의 연안어선에 장비된 소형자기컴퍼스의 장비현황과 성능을 연구하기 위하여 소형어선 219척의 선박제원과 자기컴퍼스 이용에 대한 현장 설문조사를 행하고, 그 중에서 총톤수 4-6톤급의 실험대상 어선 4척을 선정하여 그 선박의 자기컴퍼스의 설치위치별 자차측정과 성능실험을 행하고, 이를 검사, 조사하였다. 주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으로 한 총톤수 1-10 톤급 연안어선 219척 중 4톤 미만의 어선은 약 50%를 차지하였고, 자기컴퍼스의 제작연도가 20-30년 경과된 어선이 14척이나 되었으며, 자차수정용구를 비치한 어선은 2척 뿐이었다. 2. 컴퍼스의 설치위치별로 측정된 자차를 분석한 결과, 기관실위의 브리지갑판상과 브리지내의 컴퍼스받침대위 및 브리지위의 컴퍼스 갑판상에 자차수정을 한 자기컴퍼스를 설치하여 사용하면, 브리지내의 컴퍼스대의 위와 브리지위의 컴퍼스 갑판상에서는 잔재자차가 ±1~2 ˚ 정도였으나, 기관실 위의 브리지갑판상에서는 그 잔재자차가 ±5 ˚로 이곳은 컴퍼스 설치 장소로서 부적당함을 알 수 있었다. 3. 연안어선에서 사용 중인 자기컴퍼스의 제반특성은 표준규격인 반주기의 평균치가 12초 이상이어야 하고, 3회 이상 진동해야하는 기준에 미달하였으며, 측정치인 자기능률 1400 CGS는 소형컴퍼스의 표준치 400±30 CGS와는 큰 차이가 있었다. 4. 실험 대상 어선에 장비하고 있는 자기컴퍼스의 수반각은 6~16 ˚로서 한국표준규격인 1~1.5 ˚에 비해 너무 크게 나타나 그 표준규격에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곤충탈피호르몬의 비스테로이드계 길항제인 RH 5849는 엽침적법으로 처리했을 때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의 전 유충 발육단계에 걸쳐서 거의 비슷한 값을 보여주었다(18.1~26.5 ppm). 4령 유충에서 섭식저해율은 처리농도에 따라 비례하였고, 4.2ppm 으로 엽침적처리된 양배추 엽편을 먹은 3령 유충의 체중증가는 처리 후 48시간 이후부터 정체되었다. 양배추와 담배의 전 식물체에 대한 RH 5849의 침투성 약효발현이 관찰되었는데, 약 20ppm(mg/kg soil)이하의 값이 양배추에서는 15일, 담배에서는 30일 가량 지속되었다
Recently, many researchers make a great effort to develop high efficient marine diesel engines using low grade heavy oil, and also study substitution fuel oil for engines and boilers. In case of Fisheries Vessels, we need to know that fish oil can be substituted for fuel oil. Therefore, it is studied that evaporation, ignition and combustion phenomena of the single droplet of fish oils (i.e., Sardine fish oil, File fish oil and Alaska pollac oil) on heated plane surface to evaluate appropriateness as substitution oil. Methanol and light oil are tested simultaneously to help the evaluation on these Fish oil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ype of evaporation and combustion is spherical evaporation in case of methanol and light oil. And fish oil blended with light oil was finished after spherical evaporation happen when high temperature. 2. Ignition of Pure fish oil was shorter than that of fish oil blended with light oil. 3. Heat transferred to droplet could make qualitative comparison by contact diameter of droplet with hot surface as time changes. Life time of droplet according to the change of heated surface temperature was greatly influenced by droplet contact condition on the heated surface. 4. As far as combustion phenomena was concerned, apparent diameter of the fish oil droplet increased after ignition and decreased suddenly by internal boiling of droplet. 5. Three fish oils had similar phenomena on the evaporation, ignition and combustion. 6. Evaporation and combustion feature of fish oil could not be shown by coefficient of evaporation velocity of droplet and coefficient of combustion velocity of droplet.
통발 구멍의 직경을 4단계로 만들어 1988년 10월중에 남부해역에서 부산수산대학 실습선 402호와 403호로 조업을 하여 어획한 붕장어 Astroconger Myriaster의 전장을 측정하여 붕장어에 대한 장(1987)의 어체제원간 관계식의 타당성과 플라스틱 통발 구멍의 적정직경을 알아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어체제원간의 관계식 D=0.07L-0.59은, 통발구멍의 직경 D값에 대한 전장 L 값 이상으로의 어획율이 P1, P2, P3와 P4 각각 97.4, 94.9, 100.0, 96.0%로 매우 타당성이 있다. 2. 붕장어 플라스틱 통발 구멍의 적정직경은 적어도 1.5cm 이상은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