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3

        61.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를 이용한 대공간 구조물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설명하였고, 외부 외력 작용시에 대공간 구조물의 요소인 막이나 케이블의 변형을 계측하는데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가 매우 적합하다는 점을 검증하고 있다. 이와 함께 대공간 구조물에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를 이용하여 변형을 모니터링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장스팬의 대공간 구조물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많은 요소를 계측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하다. 실험의 결과로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는 외력 작용시에 정확한 계측을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대공간 구조물의 변형율을 계산할 수 있고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4,000원
        62.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건설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더욱 높은 정확성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구조물의 상태를 파악 또는 예측 할 수 있는 기술적인 체제가 요구되고 있는 시점에서, 광섬유센서는 내구성과 높은 분해능, 전자기파 노이즈 저항성, 절대값의 측정, 다중화 등의 가지고 있는 여러 장점 때문에 미국 등 선진국의 경우 교량, 터널 그리고 건물 등에 변위와 변형률 측정에 많은 설치가 진행되어 왔고,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시스템이 구조물의 안정성과 잔존수명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광섬유센서 중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광섬유격자 센서의 응용의 폭을 확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응용분야에 적용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전단응력이 많이 걸려 foil형 스트레인 게이지를 사용하기 어려운 보 기둥 접합부에 적용하여 광섬유격자 센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자식 변위 센서들과 정밀도가 대단히 차이가 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고, 복합재료와 콘크리트 접합 구조물에 적용하여 흔히 발생하는 결함인 delamination을 측정하는데 광섬유격자 센서가 유효적절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원자력발전소 격납구조물과 같은 대형구조물에 적용하여 변위를 측정함에 있어서 광섬유격자 센서가 시공도 용이하고 데이터도 양호함을 보여 주고 있어, 기존의 어떤 구조물도 광섬유센서를 적용하여 쉽게 광섬유 스마트구조물화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4,000원
        63.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조물 이상 탐지를 위해 외력에 의한 광섬유의 모드변환을 이용한 새로운 광섬유 센서를 고안하고 제작하였다. 이러한 광섬유 센서는 민감도가 매우 좋으며, 크기가 작고, 전자파에 매우 둔감한 장점들이 있다. 이 센서는 적외선영역에서의 단일모드 광섬유와 635nm의 레이저 다이오드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광섬유의 끝단에서의 횡모드는 가우시안 분포가 아닌 다른 형태의 횡모드 형태가 생긴다. 이 광섬유 중간을 구조물에 부착한 후, 구조물에 외력을 인가하면 광섬유 횡모드의 분포 변화가 생기고, 이를 감지함으로써 구조물 이상 유무를 판독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광섬유 센서를 부착한 알루미늄 보를 변형시킴으로써 광섬유 센서의 횡모드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 실험결과 구조물의 이상상태를 감지할 적당한 신호를 얻을 수 있었으며, 구조물의 이상유무를 측정할 수 있는 광섬유 센서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3,000원
        65.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present the detailed description on the fiber techniques adopted in the BOES: the design concepts and manufacturing of the v grooves, the procedures of the fiber polishing, adhering of the fibers to the v grooves, and the axis alignment of the fiber input and exit. The high efficiency and throughput of the BOES imply that the adopted fiber arts and the other optical components were well designed and properly treated. We learned that the relatively low efficiency of the 80 micron fiber comparing with the 200 and 300 micron fibers comes from the seeing and the guiding effects not from the poor fiber handling.
        4,000원
        69.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70.
        198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로운 정보전달 방식으로서 광섬유 시스템이 각광을 받아 대중통신을 비롯하여 각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고 실용화에 매진하고 있다. 당초에는 실험적인 시행이였지만 최근에는 대규모의 LAN(Local Area Nerwork)의 채용등 실용화 단계로 발전되고 있다. 여기서 광섬유 시스템의 개요를 설명하고 선박에의 적용등에 대한 고찰을 첨가하여 선박의 광섬유 케이블을 소개한다.
        3,000원
        72.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monitoring technique of ground anchor force is now studying by measuring the strains distributed on a bearing plate. These distributed strains are measured by a fiber optic OFDR (Optical Frequency Domain Reflectometer) sensor. A sensing optical fiber was attached on the bearing plate at the two radial locations and tested by a universal test machine. The anchor forces can be calculated from the differences of these two trains.
        73.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게르마늄은 세계적으로 고가의 희소금속 중 하나로 국내에서는 게르마늄 광산이 없으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금속이다. 게르마늄 주요 용도는 PET 수지 제조용 촉매, 광섬유, 반도체 등 국가 주력산업의 핵심 소재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특히, 광섬유에는 1km당 0.54g의 게르마늄을 함유하고 있으며, 관련기술 미비로 국내외 모두 재활용이 시도되지 않고 있으므로, 기술 선점 시 그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폐 광섬유에서 게르마늄을 경제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입증하기 위해 pyrometallurgy와 hydrometallurgical reactions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을 통해 게르마늄 농축을 하고자 하였으며, 반응 온도, 반응 시간 등을 변화 시키며 게르마늄 농축 거동을 관찰하였다.
        74.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the measurement of earth anchor tension using fiber optic OFDR sensor. Fiber optic OFDR sensor was configurated with tunable laser source, APD with polarization beam splitter and high speed DAQ system. Strains of pressure plate and anchor head were measured and compared using strain gage and fiber optic OFDR sensor. Fiber optic OFDR sensor signal showed linear increase in both tension and compression direction as tensional force increase. This results shows the capability of fiber optic OFDR sensor for monitoring earth anchor tension.
        75.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istributed optical fiber sensors have been developed to detect the occurrence of structural anomalies such as excessive stresses, cracks, and leaks at arbitrary locations in the facility. In this paper, we demonstrate fiber optic OFDR (Optical Frequency Domian Reflectometry) sensor to measure strain and temperature through the sensing optical fiber. A PVC pipe was prepared to show the strain measurement performance with a sensing optical fiber attached on the pipe. Also, a temperature test was performed with a sensing optical fiber located in a temperature chamber. In the results, this sensor can operate to resolve 14.2 micro strain and 1.62 degree temperature at the condition of 5 cm spatial resolution.
        76.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aims to propose a corrosion detection method using a optical fiber sensor coated with a thin iron film. To evaluate the detection accuracy using the proposed method, 2 typed iron film with thicknesses of 100, 200 nm were used to monitor the reflectivity from corroded iron film via light source injection and the measurement was conducted in air, salt water, mortar packed condition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thickness of iron film is more sensitive to change in the reflectivity than the variation of exposure conditions
        77.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게르마늄은 주로 광섬유, 반도체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고가의 희소금속이므로 게르마늄에 대한 회수 및 재활용 기술 개발은 각국에서 경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게르마늄에 대한 재활용 실적이 전무하며, 전량을 수입해서 사용하는 희소금속이므로 게르마늄에 대한 재활용 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다. 특히, 광케이블에 사용되는 광섬유에는 1km당 약 0.54g의 게르마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광섬유를 게르마늄 추출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게르마늄은 1kg당 150만원의 고가 희소 금속이므로 관련 기술 개발시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개발 기술은 광섬유에서 실리카(Si)와 합금형태로 존재하는 게르마늄을 추출하기 위하여 Na 화합물과 염산을 이용한 선택적 추출을 적용하였으며, 게르마늄의 추출 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추출액에 대한 ICP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Na 화합물은 광섬유의 주성분인 실리카 성분을 석출시켜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추출 용매인 염산은 질산, 황산과의 추출 효율을 비교하여 최종 추출 용매로 선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78.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have studied the optimum location of the sensor to evaluate the condition of the structure by performing the structural analysis on the landing pier. It is judged that it is appropriate to place the strain sensor of the landing pier at the upper part, the middle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pile at 30% below the pile.
        79.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a part of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program of 3MW offshore wind support structure using fiber optic sensor. In this paper, we propose a maintenance system for offshore wind support structure using fiber optic sensor based on the analysis of current monitoring status and related standards of domestic and overseas offshore wind support jacket structures.
        80.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effect of electromagnetic wave from an electronic device on electric sensor system and optic sensor were analyzed to verify the reduction effect of a optic sensor and applicability to marin structure. Test revealed that optic sensor system was not occurred the noise by electromagnetic waves also had the low range of fluctuation.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