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인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수질정보의 기대수준에 맞는 신뢰성 있는 수질자료가 확보되어야 한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수질모니터링은 조사지점, 수질항목, 측정주기 등이 성패의 중요한 요인이 되며, 이중에서 특히 조사지점은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수질조사를 위한 관측지점은 대부분 정성적 판단에 따라 정해지고 있었기 때문에 수질 대표성이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같은 수질측정망 구축 시 문제점을 과학적인 통계기법을 적
Recently, the food industry has evolved into a new and innovative trend according to its globalization and change of food consumption patterns. However, it is hard for the traditional food industry in Korea to meet the changing consumers' needs because of its poorer quality control and lower industrialization technology than other advanced industries. Also the knowledges acquired through a lot of time and efforts would be lost after the human resources with tacit knowledges leave by their too much aging. Especially, the 21st century would be called as knowledge based society which means that knowledge be the important contributing factor in the economic growth.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ed at proposing the knowledge based system for systematically managing or preserving knowledges of Mosisongpyun industry in Yeonggwang County to seek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food industry in Korea. The knowledge based system of Mosisongpyun industry in Yeonggwang County is finally proposed as follows; First, hardware is composed with the necessary unit facilities such as interpretive center, learning and experience room, library, etc. And the integrating facilities such as Mosisongpyun theme park, traditional village, and knowledge industrialization support center are proposed. Second, software is composed with the necessary unit softwares such as the preservation manual of traditional knowledge and skill, web-site administrator, development of graded textbooks, development database software, etc. And the integrating softwares such as development of innovation and management ability in Mosisongpyun industry are proposed. Third, humanware is composed with the necessary unit programs such as exhibition, own training program, incubator support system, etc. And the integrating programs such as the farm association corporation, the testing and research institute, the institution of learning and training are proposed.
오늘날 재난의 다양화·복잡화로 다각적으로 계층 및 위험 분야별로 위험요소를 파악하여 안전대비책을 강구해야 할 필요성을 인지하게 되었고, WHO(세계보건기구)에서는 1989년 안전문제에 대해 지역사회 구성원과 각 기관 모두가 함께 참여하는 안전도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에 우리나라도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안전사고 발생을 감소시키려는 정책과 움직임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안전한 도시 만들기 사업사례 및 국제안전도시 구축사례사례 분석을 통하여 발전방안 제시의 기초적 자료를 정리하였다.
인공위성영상은 홍수특성을 연구하는데 있어 관측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활용되어왔다. 과거, 홍수범람지역을 홍수 발생 후 고수위지점(high water mark)을 조사함으로 불연속적인 관측범람면적을 구축하는 것과는 달리, 인공위성영상을 이용한 범람지역은 연속적으로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높은 정확성을 가진다. 또한, 강우나 유량과 같은 수문요소들의 정량적 크기는 한 지점에 대해 시계열로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수문학적 경향을 분석하는데 많이 활용되어 왔듯이, 인공위성영상의 발전은 공간적 분포를 가지는 자료도 시계열로 구축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한 대상유역에 대하여 홍수범람의 공간적 분포를 가지는 Landsat 영상과 DEM (digital elevation model)을 이용해 홍수위를 산정하여 홍수유량과의 관계를 수립하는 것이다.
대상하천은 미국 인디애나주 서쪽에 Wabash강의 일부구간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홍수발생시 촬영된 Landsat자료에서 ENVI(the Environment for Visualising Images)를 이용하여 수체 (waterbody)를 추출하고, 설정된 각 단면과 추출된 수체의 교차점의 표고를 DEM을 이용해 산정하였다. 또한, 각 단면에서 산정된 수위와 각 홍수사상에 대한 유량자료를 이용하여 홍수위-유량곡선을 수립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홍수범람도를 구축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구축된 홍수범람지도는 F-statistics을 통하여 관측자료와 공간적, 정량적으로 일치하는 정도를 파악하였다.
정량적인 측면에서 모의된 홍수범람의 크기는 전 홍수량에 대해 관측된 홍수범람의 크기와 매우 유사한 결과를 보인다. 반면, 공간적인 측면까지 고려했을 때 모의된 홍수범람은 홍수량이 증가할수록 관측값에 근접하는 결과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홍수범람도 구축에 대한 접근방법은 규모가 큰 홍수사상에 대하여 수리모형과 하상의 상세한 지형 자료에 대한 고려 없이 관측범람도와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강원 동해안은 해안침식 및 개발 후유증으로 2007년 이후 모니터링 체계가 차근히 구축되고 있으며 연안관리체계도에 따라 각 해안의 표사계를 정립하고 임시기준점을 설정하여 연구조사 및 모니터링 단계의 기초를 마련하고 있다. 통합수치모의시스템은 모니터링 시스템과 수치모의 시스템 간의 상호 결합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수치모의시스템에 지속적인 변화 자료의 제공과 시스템 검증, 그리고 시스템으로부터 산출된 재생산 자료의 장기간 축적 과정이 도시된다. 표사계로부터 모의 시스템의 하천토사유입량, 연안토사유출입량 등이 제공되며 임시기준점, 해안선 및 해빈단면 측량 자료로부터 해저면 자료가 지속적으로 반영된다. 통합수치모의시스템은 재난대응을 위한 실시간 예보, 원인규명을 위한 진단, 개발계획의 영향평가를 목적으로 광역 또는 모니터링 자료의 축적에 따른 Database로부터 중간역, 상세 연안역을 거쳐 좀 더 상세한 연안 현상이 모의되도록 하며 본 논문에서는 일례로 태풍 TALAS의 동해 진입에 따른 상세역 수치모의를 GW10표사계인 강원도 문암-교암 일대에 적용하였다.
도시는 전 세계적으로 농업혁명, 산업혁명, 정보화혁명이라는 3대 혁명을 거치면서 급속도로 발전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또한 예외일 수 없는 예로 1960년대 28%에 그쳤던 도시화율이 현재 90%를 웃돌 정도의 도시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도시화는 자연적. 사회적으로 인적사고 및 재난이 복합적이고 다양한 형태로 발생되는 원인이기 하다. 이에 다방면에서의 안전이 구축된 도시를 대상으로 국제보건기구 WHO에서 안전도시임을 국제적으로 공인하는 인증제도를 시행하는 등 도시재난의 안전도 향상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렇게 국제적으로 안전한 도시임을 인증 받기 위한 노력의 결과로 2011년 10월말 현재 30개국 268개 도시가 WHO 국제안전도시 공인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수원시를 비롯한 5개 도시에서 국제안전도시 공인 인증을 획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삼척시가 지역공동체의 안전도 향상 및 손상율 감소를 위한 안전도시 구축 및 활성화 방안을 검토하였다.
최근 지구온난화와 이상기후로 대규모 자연재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그 피해규모가 점차 대형화·광역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광범위한 재난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응체계의 부재로 대규모 재난으로 인한 재난현장의 상황 파악이 곤란한 실정이다. 따라서 위성영상 기반 재해우려지역의 주기적 모니터링을 통한 사전 재해위험감지 및 선제적 대응능력 강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국가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에 따른 위성영상을 활용한 국가재난관리체계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빈발하고 있는 자연재해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 하기 위해 위성센서와 운영체계 분석을 통해 재난대응 위성영상정보 활용성을 검토하고 위성영상을 활용한 국가재난관리 정보를 일괄·지속적으로 분석·제공·운용할 수 있는 방재위성센터 구축을 위한 단·중·장기 종합계획 수립을 통해 재난대응을 위한 위성영상정보 활용체계 구축 방안을 도출하였다.
산업의 발전과 소득의 증대는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한층 더 요구하게 되어 보다 안전한 생활을 영위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지난 2011년 3월 일본의 쓰나미 사건 이후 재해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기후 환경의 급속한 변화로 환경을 보호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지난 2008년 국가비전으로 제시된 청정에너지와 녹색기술을 통해 에너지자립을 이루겠다는 녹색성장 기본법이 발효됨으로 각 분야에서의 친환경에 관한 필요가 증대되고 있다. 터널은 그 특성상 터널 내 재난 발생 시 효과적인 초기대응이 어렵고 인명피해 발생이 불가피하며, 오염물질의 제거가 어렵다. 따라서 터널이용자들이 재난발생시 용이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방재 시스템과 효과적이고 친환경적인 환경조성, 환기계획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터널에 부재되었던 친환경적인 요소를 부합한 신개념 Organic Green Tunnel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의 녹색도시설계 기법과 정책들을 보면, 단순하고, 탄소의 저감량 등을 알기가 힘들다. 또한 사회기반시설이나 기본적인 도시계획단계에서 부터의 저감 대책이라기보다는 단순한 신재생에너지, 혹은 기술을 사용한다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부분은 최근의 기부변화 폭염이나 태풍 집중호우, 해수면 상승에 따른 침수와 범람 등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세계적인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것을 극복하기 휘해서는 궁극적인 도시설계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기후변화의 원인이 탄소배출량과 필수불가변의 관계에 있는 점에 주목해 그에 관한 연구도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실직적인 궁극적 탄소중립도시 계획 구현을 위해, 먼저 대한민국 도시 및 지역을 대상으로 인구가 CO2배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는 단순히 총인구수가 CO2배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던 기존연구에서 나아가 회기분석을 사용하여 인구에 따른 배출식을 산정하고 분석한다는 것에 의의를 둔다. 이로써 탄소중립도시 설계시 CO2 배출량을 예측하고 그에 맞게 도시계획을 하고 또 그에 맞는 CO2배출량저감 계획도 할 수 있을 것이다.
Agricultural information was discussed for suggesting tasks and solutions of knowledge based information system. States of agricultural information systems i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ere described and problems and tasks were summarized in knowledge needs survey of farmers who have to decide many alternatives for farming. Hard to access information are soil state, disease and insect pest. Important information in agriculture are water, soil fertility, soil physical property, and accessibility from main road. In conclusion, knowledge based agricultural information system can be developed based on surveyed needs.
이 글은 일본이 울릉도와 독도를 점취한 목적과 과정을 구명함으로써 그들의 제국주의적 침략 야욕을 입증하려는 시도이다. 즉 일 본이 이 두 섬을 점취한 목적이 러일전쟁,특히 러시아 발틱함대의 내도(來到)에 대비하기 위한 기지확보용(基地確保用)이었음을 증명, 이것이 차이로 선언 위배행위였음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일본의 독도편입은 러일전쟁 수행을 위한 일본정부의 대비책이 었다. 1904년 5월 15 일을 전후하여 일본해군이 여순항에서 최신예 해군전력의 약 3분의 1을 한꺼번에 상실하자, 그들은 우선 울릉도가 갑자기 필요하게 되었다. 망루를 설치하는 방법 이외에 전력을 보충할 수 있는 다른 길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해군은 죽변과 울릉 도에 망루 건설을 시작하여 8월과 9월에 각각 완공했다. 이어 해군 군령부는 9월 25 일 독도 망루 설치를 위한 조사를 명령했다. 그러자 내각은 불과 4일 뒤인 9월 29 일 나까이를 시켜 ‘리양코도 영토 편입원’을 제출케 했다. 독도점취를 위한 대부분의 조치가 집중적으로 취해진 시기는 도고가 군령부장의 명령에 따라 동경에 체류한 5주간(1904.1 2.30 - 1905.2.6) 의 일이었다. 독도 영토 편입고시는 도고의 엄전 태세 완비 선언 (2.2 1)에 이어 바로 이튿날(2 .22) 이루어졌다. 그 방법도 열강 의 의혹을 피하기 위해 시마네 현이라는 일 지방관청의 관내고시로 처리했다. 당시는 미국이 일본의 과도한 승리를 우려하여 러시아 대신 일본에 대한 견제를 시작했기 때문이었다. 역사적 사실이 엄연한 이상 어떤 논리로도 독도영토편입과 러일 전쟁과의 관련을 부정할 수는 없다. 전쟁에는 ‘폭력’과 ‘탐욕’이 수반될 수밖에 없다. 일본의 독도점취가 차이로 선언의 규제 대상 임은 재론의 여지가 없는 것이다.
게임 캐릭터와 객체들이 상호작용하는 지형은 가상세계를 구성하기 위한 필수 요소이다. 지형을 제작할 때 많은 갱신 작업과 시간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지형을 촬영한 데이터로부터 가상 공간의 3D 지형을 생성하기 위한 3D 지형 재구축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시스템에서는 스테레오 카메라로 촬영하고, 레이져 스캐너로 실측한 3차원 지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그리드 기반의 높이 맵(Height Map)과 로봇의 항법정보 중 z축과 x축 방향 벡터를 이용해 가상공간의 중심인 월드좌표계에 맞게 로테이션을 수행하여 축의 방향을 일치시키고, 로봇 중심의 좌표계에서 월드 좌표계로의 이동 벡터를 각 포인트에 더하여 최종적으로 월드좌표계에 맞게 변환한다. 이후 무방향성 그래프를 사용하여 지형 데이터를 관리하면서 가상공간에서 필요한 부분에만 동적으로 지형 메쉬를 생성한다. 이때 지형 데이터의 오류를 보정하여 메쉬를 올바르게 갱신한다. 실험에서는 제안 시스템이 지형 재구축을 완료할 때까지 일정한 주기로 FPS를 확인하고, 완성된 지형을 가시화하여 품질을 검토하였다. 지형의 전체 크기를 알 수 없거나, 실시간으로 지형의 크기가 변화하는 환경에서는, 제안된 시스템이 쿼드트리를 사용한 지형 관리보다 지형 크기가 작을 때 3배정도의 높은 FPS를 보이나, 지형이 아주 클 때는 평균 40% 정도 나은 실행 성능을 가진다. 최종적으로는, 실측한 지형의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가시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게임에 이용할 지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자동 생성하여 게임에 이용하거나, 실제 지형을 배경으로 필요한 영화의 CG 작업에 활용하는 등의 응용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팀구축프로그램 개발 시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팀구축프로그램의 모형과 활동을 구성하여 팀구축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스포츠 팀구축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요구조사 분석단계에서 중고등학교 여자축구선수 64명의 청소년 여자축구선수와 프로그램 개발의 타당성과 신뢰성 제고를 위한 전문가 회의를 위해 축구전문가 3인과 스포츠심리학자 3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6인이 참여하여, 총 70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절차는 팀구축프로그램 요구조사 및 분석과 프로그램 모형 개발 및 내용 구성의 2단계로 구성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구축프로그램에 요구되는 요인 탐색 결과 팀구축 강화요인은 의사소통, 팀내 대인관계, 팀목표로, 팀구축 저해요인은 팀내 대인관계와 의사소통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구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팀구축프로그램의 목표는 팀내 대인관계와 의사소통으로 설정하였다. 셋째, 팀구축프로그램의 모형 및 내용구성은 팀구축 목표설정, 대인관계 변화, 의사소통 변화의 3단계 10주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스포츠 팀구축프로그램은 향후 팀구축프로그램 관련 연구의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 스포츠 현장에서 스포츠심리학자와 지도자에 의해 활용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의 증가와 컨테이너선의 대형화로 인해 선박과 수심이 얕은 항구 및 부두를 연결하는 새로운 개념의 해상 운송 수단이 요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하버 선형과 함께, Azipod 추진기 및 선수 스러스터(Bow thruster) 등으로 구성된 모바일하버의 조종수학모델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선체 유체력 및 Azipod 추력 등을 평가 적용하여 조종운동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모바일 하버의 조종운동 시뮬레이션에 의한 선회성능과 조종제어범위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모바일하버의 직진 시험 및 선회성능 시험에 있어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며, 접안 시 Azipod 추진기와 선수 스러스터를 이용한 최적의 조종운동 시뮬레이션을 확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