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ating-out behavior patterns of university student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610 university students(male : 41.5%, female: 58.5%).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 motivation of eating out for the university students was the highest to take care of a meal, the second motivation was the social reason for the male student, but accomodate diversion for the female student. The time of eating-out was the highest from 31 minutes to 60 minutes. The eating-out cost of one time was highest from 5,000 won to 10,000 won. The eating-out cost of one month was the highest from 50,000 won to 100,000 won. The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favorite of the korean foods. The left-over foods were higher female students compared with male students. The style of left-over foods was highest the korean foods. The payment style was high the most student by turns. The frequency of eating-out was high male students compared with female students as below (lunch>dinner>breakfast). The criteria for the selecting eating-out level was appeared as below (Taste>Cleanliness and hygiene>Kindness and good service>Price>Atmosphere>Variety of menu>Promptness of service>Convenient location>Quantity of food>Reputation). Both students liked hot tastes.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대학교 백운산연습림 낙엽활엽수림에서 벌채 후 주연부 식생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다. 벌채 후 8년,10년이 경과한 시점 인 4차 조사(2001년)와 5차 조사(2003년) 결과에서 주연부식생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산림주연부에서 경쟁력 이 우수한수종은 비목나무, 병꽃나무,조록싸리, 생강나무,두릅나무 등이 었고,산림주연부와 인접한조사구에서 경쟁력이 우수한수종은 비목나무, 병꽃나무,고추나무 등이 었다. 벌채지 산림내부에서 경쟁력 이 우수한수종은 비목나무,생강나무 등으로 나타났다. 산림주연부에서 높은 경쟁력을 갖는 수종은 방위,광량, 고도, 기존 특정종의 성장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양사면에서 높은 경쟁력을 갖는 수종은 비목나무와 병꽃나무이 었다. 조릿대는산림 벌채 후 초기 에 왕성한 생장력을 보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수관층이 형성되면서 감소세를 보였으며, 피복율은 남서향 사면보다 북동향 사면에서 우세하게 출현하였다. 조사기간별 유사도지수는 벌채시 산림주연부에서 산림내부로 거 리가 멀어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analysis on the consciousness and image character of the internet shopping mall. As consciousness analysis result of internet shopping mall consumer, 'cheap price' and 'convenience' are evaluated high by reason that buy goods/ser
본 연구는 과학 영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선하는데 반영하고자 2002년도 서울 대학교 과학 영재 교육센터에서 운영된 과학 영재 프로그램의 각 주제에 제시된 학습 목표, 과학적 모형, 과학 탐구의 인지 과정을 분석하였다. 교육 목표와 과학적 모형, 탐구 활동의 세 요소들은 과학 교육 과정의 구성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판단 아래 각 요소들이 제시된 정도를 파악한 후 이들의 수준이 영재 학생들의 인지적 요구를 충족시키는지에 초점을 두어 분석 결과를 해석하였다. 이에 따라 교육 목표의 인지 영역 중에서 상위 사고력 영역에 해당하는 종합 영역, 과학적 모형 중에서 상위수준의 추상성과 복잡성 모형인 다 개념-과정 모형, 과학 탐구의 인지 과정 중 창의성 영역에 해당하는 실험 설계의 인지 과정이 과학 영재 학생들을 가르치는 데 중요한 항목임을 전제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 대학교 과학 영재 프로그램의 각 주제에 제시된 교육 목표는 상위사고력 영역과 하위사고력 영역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며, 그 중에서 종합 영역은 낮게 나타났다. 과학적 모형은 다 개념-과정 모형보다는 단일 개념 모형이 많았으며 추상성 수준은 중간 정도였다. 과학 탐구의 인지 과정은 실제 과학 탐구의 인지 과정을 고르게 다루지는 않았다. 특히 실험 설계의 인지 과정은 적게 다루고 있었다. 따라서 분석한 과학 영재 프로그램이 과학 영재들의 인지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종합 영역의 교육 목표, 다 개념-과정 모형, 실험 설계의 인지 능력을 더 많이 반영해야 한다.
낙엽활엽수림 개벌 후 벌채지에서 주연부 식생구조 발달과정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 남부연습림 내 백운산지 역 제26임반 벌채적지를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1994년에 두 개의 모니터링 조사구를 설치하였고, 1994년, 1997년, 1999년에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벌채 후 6년간 주연부식생 변화는 다음과 같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산림주연부에서 경쟁력이 우수한 수종은 병꽃나무, 비목나무, 국수나무, 산초나무 등이었고, 산림주연부와 인접한 조사구에서 경쟁력이 우수한 수종은 고추나무, 비목나무, 덜꿩나무 등이었으며, 벌채지 산림내부에서 경쟁력이 우수한 수종은 병꽃나무, 비목나무, 생강나무등으로 나타났다. 두개의 모니터링 조사구에서 주연부 천이단 계상 우세종은 방위와 국지저 위치, 기존 우점수종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다. 벌채 후 경과년도에 따라 각 벌채지 산림 주연부에서 벌채지 산림내부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유사도지수도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종다양도지수, 종수, 개체수 및 수관피도는 벌채지 산림주연부에서 벌채지 산림내부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gender differences existed in knee valgus kinematics in college students when performing a vertical drop landing.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that females would demonstrate greater knee valgus motion. These differences in knee valgus motion may be indicative of decreased dynamic knee joint control in females. This study compared the initial knee valgus angle and maximum knee valgus angle at the instant of impact on vertical drop landings between healthy men and women. In this study, 60 participants (30 males, 30 females) dropped from a height of 43 cm. A digital camera and two-dimensional video motion analysis software were used to analyze the kinematic data.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knee valgus angle at initial contact landing between the two groups (Mean=, SD= in males, Mean=, SD= in females). The range of knee valgus angle on landing (Mean=, SD= in males, Mean=, SD= in females) was differed significantly (p<.05). The maximal angle of knee valgus on landing (Mean=, SD= in males, Mean=, SD= in females) was also differed significantly (p<.05). The females landed with a larger range of knee valgus motion than the males and this might have increased the likelihood of a knee injury. The absence of dynamic knee joint stability may be responsible for increased rates of knee injury in females. No method for accurate and practical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athletes at increased risk of ACL injury is currently available to target those individuals that would benefit from neuromuscular training before sports particip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