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st of real-world decision-making processes are used to optimize problems with many objectives of conflicting. Since the betterment of some objectives requires the sacrifice of other objectives, different objectives may not be optimized simultaneously. Consequently, Pareto solution can be considered as candidates of a solution with respect to a multi-objective optimization (MOP). Such problem involves two main procedures: finding Pareto solutions and choosing one solution among them. So-called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thms have been proved to be effective for finding many Pareto solutions. In this study, we suggest a fitness evaluation method based on the achievement level up to the target value to improve the solution search performance by the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thm. Using numerical examples and benchmark problems, we compare the proposed method, which considers the achievement level, with conventional Pareto ranking methods. Based on the comparison, it is verifi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generate a highly convergent and diverse solution set. Most of the existing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thms mainly focus on finding solutions, however the ultimate aim of MOP is not to find the entire set of Pareto solutions, but to choose one solution among many obtained solutions. We further propose an interactive decision-making process based on a visualized trade-off analysis that incorporates the satisfaction of the decision maker.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serve as a reference to build a multi-objective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This paper analyses various types of unethical expressions and distribution features in both large-scale broadcasting corpus and messenger corpus. The use of these unethical expressions appear to vary considerably depending on the register. As such, annotations for de-identification should be based on a register-specific approach rather than a general one.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nethical expressions a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swearing expressions, hate speech, aggressive expressions, and sexual expressions.' Second, the quantitative analysis shows that the amount of unethical expressions in messenger is much higher than in broadcasting. Third, the proportion of [+person] expressions is very high in broadcast conversations, while swearing expressions account for more than 90% of the unethical expressions in the messenger corpus. Our study suggests that register variation, contextual information and language categories beyond word unit need to be reconsidered to detect unethical expressions.
This paper analyzes the footing shift by focusing on an interviewer’s questioning from the conversation of a Korean TV news interview. By dividing the interviewer’s questions into adversarial questions and non-adversarial questions,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footing shift functions and what the interviewer wants to achieve through it. The analysis of the news interview reveals that footing shift in adversarial questions performs a function of defense. The interviewer attributes the responsibility of remarks that criticize and refute interviewees to a third party so that they can defend themselves against the criticism of attacking interviewees. On the other hand, the footing shift in non-adversarial questions is used to introduce a new topic to the conversation. The interviewer speaks on behalf of a third party when the new topic indicates one’s position on a contentious topic. It enables the interviewer to entirely conceal his personal opinion and lead the discussion in depth. In conclusion, footing shift in questions allows an interviewer to satisfy institutional demands of the news interview. Furthermore, it is found that interviewees collaborate to preserve the interviewer’s stance of footing shift in their responses.
In order to implement a dialogue system for Korean language tutoring, this paper aimed to describe a method of constructing a large amount of Korean task-oriented dialogue data using the Wizard-of-OZ method and a pedagogical feedback and evaluation method for Korean language errors made by foreign learners. The procedure for constructing a large amount of Korean task-oriented dialogue data consisted of three steps. The first step was the preparation step for the learner’s prior learning. The second step was related to a large Korean dialogue map constructed by Korean native speakers using the Wizard-of-OZ method. The third step was implementation of a Korean dialogue system based on the dialogue map. In educational feedback and evaluation, functions such as paraphrases, recommendation expressions, educational success rate, and error content evaluation by learner level were proposed. By means of the Wizard-of-OZ method, 3,253 Korean task-oriented dialogue data were established in four domains: restaurant, hotel, tourist attraction, and taxi. The dialogue system for Korean language tutoring i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based on Korean taskoriented dialogue data. Ultimately, the task-oriented dialogue system for Korean language tutoring aims at an “augmentation of education” that collaborates with human teachers, not “teacher-less education” that replaces human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ter-grade dividing criteria of the 2015 grade group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consist of two grade groups: the 3rd and 4th grade group and the 5th and 6th grade group. L2 Syntactic Complexity Analyzer(L2SCA) is utilized to investigate the dividing criteria of the communicative functions implemented in these textbooks.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the listening dialogues for their structural sequencing of 3rd to 4th graders and 5th to 6th graders separately within their own grade groups. Data were processed and analyzed using SPSS 25.0 and independent sample t tests for inter-grade textbooks for 14 L2SCA statistical indices. The findings are: 6 indices out of the 14 L2SCA statistical indices turn out to be critical for dividing the 2015 grade group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The 6 indices are mean clause length, mean sentence length, mean t-unit length, mean complex noun phrasal number per phrase and per t-unit and mean number of verb phrases per t-unit. Based on th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a standardized criteria derived from these 6 indices can be provided as an inter-grade dividing criteria of the 2015 grade group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The conversation analysis approach of using audio and video recordings of naturally occurring conversation contrasts with other methods of collecting data in the social and cognitive sciences. This paper intends to describe the ways in which conversation analysts collect their data suitable for analysis, including the steps involved in preparing to record, the recording of naturally occurring social interaction, and also the processing of recordings after they have been made. Before actually making the recordings, researchers must first choose what type of conversation they will collect and what device to use. Researchers also need to obtain consent for recording from the participants in a conversation analytic study. While making the recordings, researchers must figure out many practical issues such as who, when, how, what, how much, and where to record. After recording, researchers need to store data in audio or video formats. Researchers also archive it, using codes for identification that facilitate later finding, quoting and retrieving of any file. This paper focuses on these choices as they are made before, during, and after recordings and places specific emphasis on the effects these choices have on the recordings. It also illuminates how these techniqu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assumptions of the conversation analysis approach.
Conversation analysis (CA) has grown in its status as a pragmatic approach to language-in-use worldwide, and its analytic perspective and methodology began to be introduced in Korea as early as in 1990s and gradually incorporated into the field of pragmatics/sociolinguistics in Korea. With a view to looking at how CA has established as an academic field in Korea, this article describes recent developments in CA in Korea, presenting an overview of how CA studies have been conducted by CAists stationed in Korea. Papers published in the period of 1990s to 2019 are reviewed and categorized in terms of some of the notable trends in research topics and methodological orientations, which are classified into grammar, interactional practices, and applied CA. The overview provides a basis on which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in domestic CA research is assessed, and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예이츠는 「자기와 영혼의 대화」에서 연인에 대한 영원한 사랑을 추구한 다. 반면 휘트먼은 「나자신의 노래」에서 신과 인류에 대한 원대한 사랑을 약속한다. 본 논문은 예이츠의 『환상록』을 중심으로, 2장. 상징의 완성의 네 원리와 3장. 영혼의 심판의 영의 사후 상태를 전통적인 신비주의 체험과정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그리고 이를 영/영혼과 다이몬, 정념체와 천상체, 제13원추와 서로 연관되도록 정리하였다. 달의 28상에서 대립상적 성향의 17상 예이츠와 기본상적 성향의 6상 휘트먼의 세계관은 상이하다. 하지만 두 시인은 서정 시인의 창조력, 신념처럼 ‘궁극적 본질을 완성하는 삶’으로 우리를 이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대화협력원리를 통하여 『史記』 대화문에 출현하는 표경부사(表 敬副詞) ‘幸’의 함축 의미를 분석하고 어떠한 한국어 번역으로의 화행 표현이 효율적 인가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幸’의 사전적 의미와 용법에 대해 알아보고, 화자와 청자의 맥락적 관점에서 의사소통 과정을 살펴보았다. 표경부사로 사용되 었을 때 ‘幸’은 단순히 허사의 용법으로 해석되는 것이 아닌 前後 맥락의 함축 정보에 따라 표현이 각각 달라지기도 한다. 해석과 번역은 문법적으로 같은 구조, 어휘적 으로 같은 형태의 문장일지라도 각각 내포된 의미에 따라 서로 다르게 표현된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게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 정도와 가족과의 대화시간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게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가족과의 대화시간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별, 학년에 따른 삶의 만족도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초등학생의 게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 정도와 가족과의 대화시간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던 반면, 게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 정도와 삶의 만족도는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족과의 대화시간과 삶의 만족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초등학생의 게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 정도와 가족과의 대화시간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가족과의 대화시간만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고는 당대 중국에서 일어난 사회적 변화에 착안하여 교재 내 대화 내용과 그 사회 배경에도 상응하는 변화가 있어야 함을 주장하고 그에 관한 견해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교재개발에 참고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고는 중국의 경제와 기술 발전에 따른 일상의 질적인 변화, 그 중에서도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가치 교환의 방식과 언어 사용량의 변화에 초점 을 둔다. 그리고 이 같은 시대 변화를 교재가 담아내기 위해 무엇을 염두에 두어야할 지를 고찰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먼저 언어사용의 변화와 교재가 갖는 보수성을 지적한다. 나아가 모바일 상용에 따른 거래 방식의 변화와 발화량의 축소에 대해 논의하고 행위과정과 존재 양식에서 발생한 말의 변화를 교재 내용에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를 변용과 신구성이란 측면에서 예시로써 제안한다.
시각장애인들에게는 길 찾기 및 탐색이 어려운 과제이기 때문에, 이들의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이동성 향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점자 촉각 지도는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의 발달과 함께 촉각 지도에 다른 인터랙션 방식을 더하려는 시도들이 존재해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새로운 대화 형 인터랙티브 촉각 지도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였다. 촉각 탐색을 하는 동안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여 음성 피드백 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음성 에이전트와 대화를 나눌 수 있고 이를 통해 관심 지점에 대한 정보나 경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으며, 실제 시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프로토타입 사 용 후 설문 및 인터뷰를 통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점자를 사용한 기존 촉각 지도보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인터랙티브 촉각 지도 프로토타입이 시각장애인들에게 더욱 높은 사용성을 제공하였다. 시각장애인들은 본 연구의 프로토타입을 사용했을 때 더 빨리 시작 지점 및 관심 지점을 찾을 수 있었고 더 높은 독립성 및 확신을 가질 수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지도 이용 및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촉각 지도 인터페이스를 제시하였다. 실험에서 프로토타입의 개선 방향에 대한 다양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었다. 아직 개발 단계에 있기 때문에, 이를 반영한 후속 연구를 통해 이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ontents of ‘Korean politeness’, which can be used to lear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conversational performance’. To this end, first, the concept of Korean politeness was examined in two elements: ‘sociocultural norm consciousness’ and ‘conversational strategy of individual speech act’. A conversational performance model of Korean politeness was also investigated as a educational unit of politeness contents. This performance model is composed of ‘adjacency pair’ and based of ‘common ground’ including honorific and speech act requirements. In order to construct educational politeness contents for KSL learner, conversational scenes of the revised KSL textbook, Standard Korean for Elementary Schoolchild were then analysed. In conclusion, politeness contents of KSL textbook were revealed in three aspects: ‘practice of using honorific style’, ‘politeness routines’, ‘politeness expressions and strateg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direction of politeness education for KSL learners in elementary school was finally proposed in both ‘speech act’ and ‘conversation type’ pragmatic education.
1517년 루터의 종교개혁과 성서번역 이후 독일문학은 오늘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마다 위대한 종교문학을 탄생시켰으며, 독일문학은 성서의 기반위에서 탄생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독일 계몽주의 이후 18세기 클롭슈톡의 『메시아』를 비롯해 괴테의 『파우스트』, 횔덜린의 시, 19세기의 낭만주의 작품들을 걸쳐 20세기 릴케의 시, 토마스 만의 『요셉과 그의 형제들』은 성서적 모티브를 통해 새롭게 탄생된 작품들이다. 전후 서독의 하인리히 뵐의 『아담아, 너는 어디에 있느냐?』와 동독의 슈테판 하임의 『다윗 왕』, 페터 학스의 『아담과 이브』 역시 성서적 소재를 통해 히틀러의 파시즘과 동독의 전체주의에 항거하고 있다. ‘종교와 문학’에 대한 독일의 논의는 1980년대에야 비로소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1984년 튀빙엔대학에서의 ‘신학과 문학. 20세기의 대화가능성과 한계들’이 라는 주제로 문학인과 신학자들의 시대에 대한 진단과 반성, 책임을 토대로 문학과 신학의 상호협력이 필요하다는데 공감을 보였다. 튀빙엔에서의 심포지엄을 토대로 1980년대 후반부터 ‘문학과 종교’와 관련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척되 었다. 또한 연구의 활성화는 독일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2000년대에 들어와 서는 독일어권 문화에 해당하는 오스트리아에서도 확대되어 나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교육을 받고 전문코치가 되고자하는 사람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전문 코치 양성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국내외 전문코치교육에 관한 자료들을 수집하고, 수차례의 워크샵 진행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코치양성을 위한 CPA(C-PLUS Active Coaching Model) 코칭 통합모델을 개발하였다. CPA코칭 통합모델은 C-PLUS에 코칭대화모델인 Active를 합친 약자로서 C-PLUS 코칭프로그램의 궁극적인 목표는 코칭을 통해 삶에 +(plus) 효과를 창출하여 누구라도 A⁺의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전문코치를 위한 C-PLUS 코칭프로그램은 총 20시간으로 구성되며, 코칭의 기본적인 이론과 기술들을 바탕으로 전문코치들에게 필요한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된 코칭 모델은 CPA모델이며, 코칭대화모델은 C-PLUS코칭원리를 바탕으로 한 ACTIVE코칭대화모델이다. 구체적인 프로그램은 코칭에 대한 기초, 코칭의 원리, 코칭대화모델, 코칭의 기술, 코칭스타일, 코칭실습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전문코치양성을 위한 ACTIVE코칭 대화모델기반 C-PLUS 코칭프로그램은 누구나 쉽게 코칭을 이해하고 전문코치가 되거나 코칭교육을 통해 생활 가운데 코칭을 활용하는 코칭접근법이 가능하도록 기초적인 코칭교육을 체계적으로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글은 이웃과 소통하기 위한 새로운 선교패러다임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교회 안에서 현재 주도적인 패러다임은 선포중심의 독백적 패러다임이다. 이 패러다임에서 한국 교회는 세상과의 관계 속에서 화자중심의 일방적 소통을 해왔다. 따라서 교회가 이웃과의 소통을 더 잘하기 위해서는 대화적인 패러다임을 필요로 한다.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본질적으로 대화적이시기에, 하나님의 선교도 대화적이며 따라서 교회의 선교도 대화적이어야 한다. 하지만 그동안 우리가 일방적으로 말하는 방식으로 선교해 왔기에, 새로운 패러다임에서는 교회가 먼저 말하는 방식이 아니라 이웃의 소리를 경청하는 데서부터 이웃과의 대화가 시작되어야 한다. 이것이 바로 경청중심의 대화적 선교패러다임이다.
본 논고는 『史記』중「本紀」,「世家」,「列傳」의 대화문을 대상으로 하여 그라이스(Grice)의 대화협력원리 이론을 통해 화자의 화용양상을 살펴보았다. 협력원리로 화자의 대화를 분석해 보면 화자의 의도가 표면적 사전중심의 의미만이 아닌 이면의 함축적 정보에 의해 청자에게 효과적인 메시지가 전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함축은 화용론에서는 특히 중요한 개념이다. 기존의 통사론과 의미론이 문장 혹은 표면적 연구에 머물러 있었다면 화용의 관점에서는 발 화를 통해 화자가 상대방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에 더 큰 비중을 둔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기존의 연구와 번역에서 청자에 해당하는 독자에게 제공된 表謙副詞 “竊”과 “伏”의 부족한 함축적 정보를 알아보고 고전원문의 직역이 아닌 자연스러운 한국어 번역으로써의 대안을 살펴보는 것이다.
일본의 불교학자 스즈키의 선사상은 예이츠의 삶과 철학뿐만 아니라 그 의 후기 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예이츠를 평생 따라다니며 괴롭히던 이원적 갈등, 즉 선의 ‘분별계교심’에서 벗어나 노후에 관조하는 자세로 심오한 동양 철학 사상이 담긴 시들을 발표할 수 있었던 것, “존재의 통일”(Unity of Being)에 대한 진정한 의미를 깨달을 수 있었던 것은 선사상으로부터 받은 영향이 적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스즈키와 예이츠의 만남, 선과 선불교의 특징 등을 먼저 살펴보고, 예이츠가 선사상에 가장 심취해 있었던 시기에 쓰인 자아와 영혼의 대화에 나타난 선사상을 스즈키의 선과 관련시켜 심도 있게 고찰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