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17

        1749.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the assesment of pollutant loads, a monitoring has been conducted to identify hydrologic conditions and water quality of the Oenam watershed in Juam Lake, and the SWAT model integrated with GIS was applied to the watershed and evaluated for its applicability through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using observed data. For the model application, digital maps were constructed for watershed boundary, land-use, soil series, digital elevation, and topographic input data of the Oenam watershed using Arcview. The observed runoff was 832.8 mm while the simulated runoff was 842.8 mm in 2003. The model results showed that the simulated runoff was in a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data and indicated reasonable applicability of the model. In terms of nutrient load, the simulation results of T-N, T-P showed a similar trend to observed values. The observed T-N load was 10.8 kg/ha and the simulated T-N load was 7.6 kg/ha while the observed T-P load was 0.21 kg/ha and the simulated T-P load was 0.18 kg/ha. In general, SWAT model predicted observed runoff and loads of T-N and T-P after calibration with observed data in acceptable range. Overall, SWAT model was satisfactory in estimation of nutrient pollutant loads of the rural watershed.
        1752.
        2009.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Quality changes in fresh-cut potatoes during storage at after treatment with low-temperature blanching and antibrowning agents were studied. Fresh-cut potatoes were treated by dipping for 1.5 min in a browning inhibitor solution containing 0.5% (w/v) ascorbic acid, 0.5% (w/v) citric acid, 0.5% (w/v) sodium chloride, 0.1% (w/v) trehalose, and 0.005% (w/v) biotin, at , with subsequent cooling for 1.5 min and storage at . The browning properties of fresh-cut potatoes were examined by measurement of polyphenol oxidase (PPO)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Changes in quality attributes over a 14-day period were assessed in terms of titratable acidity, pH, water-soluble solid level, and gas analysis at . During storage, PPO activity increased, with the lowest activity seen after about 7 days of storage. Treatment with antibrowning solution at increased visual sensory attributes during storage. Low-temperature blanching in distilled water more effectively inhibited browning compared with exposure to browning inhibitor solution, as assessed after 7 days of storage. Fresh-cut potatoes respired aerobically after different treatments during storage at .
        1753.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식용 양치식물인 고사리의 대량번식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기내에서 전엽체 증식에 미치는 배지종류, 당의 종류와 농도, agar 농도, 전엽체 접종량 및 배양기간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MS배지를 기본으로 하여 배지구성물질을 1/4~2배 첨가한 배지와 Hyponex를 0.1~0.4%에서 전엽체를 배양한 결과 2MS배지에서 전엽체의 생육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MS배지 구성물질들 중 인산염이 고사리 전엽체의 증식에 가장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탄소원의 종류 및 농도별로는 sucrose와 glucose 공히 1% 이상을 첨가한 구에서 전엽체의 생육이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Agar의 첨가량은 전엽체의 증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agar를 첨가하지 않은 액체배지에서도 전엽체 증식이 왕성하였다. 액체배지 100 mL에 전엽체를 각각 100과 200 mg 접종하여 22일 동안 진탕배양한 결과, 전엽체는 20일 이후에는 증가속도가 완만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초기 접종량이 20일 후 전엽체 증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100 mg을 곱게 다져 진탕배양 한 후, 20일 후 계대배양 하여 증식시키거나, 기외로 이식하여 포자체를 형성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1754.
        200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파 씨를 MeOH로 침지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n-hexane, EtOAc, n-BuOH 및 로 용매 분획하였다. 이중 tyrosinase, DPPH 및 SOD 활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EtOAc 분획에 대해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6개의 페놀성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스펙트럼 데이터 해석 및 표품과의 HPLC 직접 비교를 통하여 benzaldehyde (1), chlorogenic ac
        1755.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상수리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작용과 항산화, 성분 분석 및 tyrosinase, elastase 저해 효과에 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 측정결과, S. aureus, P. acnes, P. ovale, E. coli에 대한 ethyl acetate 분획의 MIC는 각각 0.13 %, 0.25 %, 0.13 %, 0.25 %로 나타났으며, S. aureus, P. acnes, P. ovale에서 큰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50)은 50 % ethanol 추출물(12.13 μg/mL) < ethyl acetate 분획(7.07) <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6.20) 순으로 증가하였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2O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상수리나무 잎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50 % ethanol 추출물(OSC50, 1.81 μg/mL) < ethyl acetate 분획(1.70) < aglycone 분획(0.70)순으로, aglycone 분획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상수리나무 잎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상수리나무 잎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1 ~ 25 μg/mL)으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특히 당을 제거시킨 aglycone 분획은 25 μg/mL 농도에서 τ50 이 220.00 min으로 매우 큰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수리나무 잎 추출물 중 ethyl acetate 분획의 당 제거 반응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은 TLC에서 3개의 띠로 분리되었고 상수리나무 잎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의 TLC 크로마토그램은 4개의 띠(QA 1 ~ QA 4)로 분리되었으며, 그 중 QA 1은 kaempferol, QA 2는 quercetin, 그리고 QA 3는 gallic acid로 확인되었다. Aglycone 분획의 tyrosinase 저해활성(IC50)은 65.67 μg/mL이었고, elastase 저해활성(IC50)은 24.50 μg/mL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상수리나무 잎 추출물이 1O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상수리나무 잎 성분 분석, aglycone 분획의 tyrosinase, elastase 저해활성 그리고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작용으로부터 항산화, 항노화 및 항균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1756.
        200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measured ambient concentrations of hazardous air pollutants such a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aldehydes in residential areas nearby small and medium scale shipbuilding companies. The VOC concentrations were higher during the normal operation periods than vacation at which almost all operations were shutdown. Concentrations of VOCs was higher, as the sampling site was nearer from shipbuilding companies. The major components of VOCs were m,p-xylene, ethylbenzene, o-xylene, toluene, and 1,3,5-trimethylbenzene which had been found as major VOC compounds emitted from painting processes of shipbuilding in the previous studies. The major components of aldehydes analyzed were benzaldehyde, acrolein, formaldehyde, and acetaldehyde. The concentration of aldehydes was highest at the furthest sampling point from shipbuilding companies because the formation of aldehyde compounds could be occurred by the secondary chemical reactions of VOC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a proper counterplan need to be established for the reduction of hazardous air pollutants emitted from small and medium scale shipping compan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