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플랫폼에서 할 수 있는 지뢰 찾기 게임은 다양한 아이디어로 변형된 게임이 구현되어 왔다. 이러한 변형들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새로운 방식의 3D 지뢰 찾기 변형 게임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2D에서 정다각형을 이용한 경우처럼 같은 타일 모양의 isohedral 타일링에 가까운 형태가 되도록 설계하였으며 3D 그래픽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않고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research aim concerns questioning how we can generate environments suggestive of nature fused with built environments through textiles.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experiments with available the 3D imaging techniques of Holography, Lenticular and other new technologies, We have researched towards finding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3D imaging techniques for textile applications. This objective is to produce intriguing textile patterns and images in which the objects and colours change as viewpoints change. Experimental work was carried out in collaboration with professional textile researchers, scientists, artists and designers conducting research in this fiel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with added rice flour produced by a modified genoise method to prevent volume reduction. A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Ⅰ were prepared by the genoise method and experimental groups Ⅱ, Ⅲ, and Ⅳ were produced by a modified genoise method in which they were mixed with wheat flour and water to a make paste to form gluten for 3, 6, and 9 minutes, respectively. One third of the wheat flour in all experimental groups was replaced by rice flour.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ere compared in terms of quality characteristics, including batter specific gravity, volume, color, textur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qualities, to determine the optimal pasting time for wheat flour in the formulatio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experimental group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wheat flour pasting time. The volume of experimental group Ⅰ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volume values of experimental groups Ⅲ and Ⅳ, made by the modified genoise method,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dL* and db* values for the crust and inside of the cake were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an in the control. The dL* value, indicating brightness, increased as pasting time increased. The hardness values of experimental groups Ⅰ and Ⅳ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whereas experimental groups Ⅱ and Ⅲ had lower hardness values. Chewiness was higher in the control group, as well as experimental groups Ⅰ and Ⅳ than in the experimental groups Ⅱ and Ⅲ. The gumminess of experimental group Ⅳ was highest. Cohesiveness decreased by adding rice flour to the sponge cake. Sensory attributes of cell uniformity, tenderness, moistness,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had the highest scores in experimental group Ⅲ.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the quality of sponge cake containing one third of the wheat flour replaced by rice flour is best with 6 minutes pasting of the wheat flour to form gluten.
본 연구에서는 산업부산물인 폐 EPDM을 50mesh 이하로 제조한 미세분말 형태의 R-EPDM(Recycling EPDM)을 주성분으로 아스팔트와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첨가제인 분산제와 유화제 및 폴리머 계통의 유동성 향상제를 혼합한 R-EPDM 개질아스팔트 혼합물의 실내 물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R-EPDM 개질아스팔트 바인더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슈퍼패이브 시험법을 이용하여 바인더의 PG(Performance Grade)등급을 분류하였으며, 선회다짐기를 사용한 R-EPDM 개질아스팔트 혼합물의 배합설계를 통하여 최적아스팔트(OAC) 함량을 결정하였다. OAC로 제작된 R-EPDM 개질아스팔트 혼합물의 소성변형 및 동결융해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반복주행시험과 수분민감성시험을 수행하였으며, R-EPDM 개질아스팔트 혼합물의 소성변형 및 수분민감성에 대한 저항성이 일반아스팔트(AP-5) 혼합물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안전한 내진설계를 위해서는 부재에 요구되는 소성변형을 평가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복잡한 비선형해석없이 탄성 해석결과에 근거하여 이중골조의 부재소성변형을 평가할 수 있는 빠르고 간편한 방법을 개발하였다. 보, 기둥, 벽체 등의 소성변형은 부재강성, 층간변위비, 모멘트 재분배, 단면치수 및 소성힌지 위치의 함수로 결정된다. 벽체와 보가 모멘트 접합된 경우에는 벽체의 소성변형에 의한 로킹효과를 고려하여 증가된 소성변형을 구한다. 8층 이중골조에 대하여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였고, 비선형해석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단순계산으로 부재소성변형을 합리적으로 예측하지만, 정확한 부재소성변형 평가를 위해서는 비탄성 층간변위비의 정확한 예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안된 방법은 향후 성능중심 내진설계에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건물의 성능평가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응력을 받고 있는 사면의 변형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일정 기간의 차이를 두고 정밀 측량을 수행하였다. 3차원 레이저 스캐너는 비접촉식으로 레이저 빔의 주행시간을 이용하여 대상점의 3차원 좌표를 결정할 수 있는 장비로써, 사면이나 대형 구조물의 변위를 분석하는데 매우 유용한 장비이다. 스캐닝은 약 7개월의 시간차이를 두고 이루어졌으며, 측정간의 비교를 위해 사면의 외부에 기준점을 유지하여 사용하였다. 변형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평면각 변화, 곡면도 변화, 격자 틀의 각도 변화, 공통 병합점의 편차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면의 변형이 특히 많이 발생한 지점을 결정할 수 있었고 이를 보수·보강 방안의 마련에 활용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방화곤충에 의해 유전자변형 작물로부터 비변형작물로의 유전자 이동이 일어날 수 있는가를 조사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초제저항성 형질전환 콩과 재배콩인 태광콩, 그리고 G. soja 시험구에서 발생하는 곤충상을 sweeping법으로 조사하였으며, 이들 시험구에서 화분매개 가능성을 가진 방화벌의 시간대별 출현빈도 및 부위별 화분 부착율을 조사하였다. 또한 채집한 서양종꿀벌로부터 부착된 화분을 이용, 핵산을 추출하고 PCR 증폭 가능성 여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전자변형 콩과 비변형 콩 사이의 곤충상에는 시기별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개화기 콩 꽃에서 서양종꿀벌의 출현빈도는 정오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수확한 화분으로부터 핵산을 추출하여 PCR 을 수행하였을 때 lectin 유전자가 증폭된 것으로 보아 이들 화분은 콩으로부터 유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used various shear deformation functions for modelling isotropic, symmetric composite and sandwich plates discretized by a mixed finite element method based on the Lagrangian/Hermite interpolation functions. These shear deformation theories uses polynomial, trigonometric, hyperbolic and exponential functions through the thickness direction, allowing for zero transverse shear stresses at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plate. All shear deformation functions are compared with other available analytical/3D elasticity solutions, are predicted the reasonable accuracy for investigated problems. Particularly, The present results show that the use of exponential shear deformation theory (Karama et al. 2003; Aydogu 2009) provides very good solutions for composite and sandwich plates.
Boussinesq 모형을 이용하여 규칙파 조건(Regular wave condition)에서 파랑변형 및 해빈류의 수치모의를 하였다. 파랑변형의 수치결과는 선행 연구에 의한 수리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매우 좋은 일치를 보였으며, 검증한 파랑변형 결과를 바탕으로 충분히 안정한 상태 이후의 해빈류를 계산하여 예측하였다. 모형의 현장 적용성을 위해, 실규모해역에서 관측한 선행 연구의 현장자료와 비교하였으며, 파랑변형의 수치결과는 현장자료와 비교적 양호한 일치를 보였다. 해빈류의 수치결과는 연안사주가 발단된 지역에서 다소 과소평가 되었지만, 전반적으로 해빈류의 공간적 분포에 대하여 정도 있게 예측한 것으로 여겨진다.
The origin of squamous cell components in salivary gland tumor has been not yet clarified in detail. The squamous cell differentiation from adenocarcinoma has been reported in various carcinoma by HPV transfection in vitro. The adenocarcinoma cells adjacent to the squamous cell carcinoma components were positive for HPV. This is thought to indicate that after adenocarcinoma cells are transfected with HPV, they undergo morphological changes, and that squamous cell differentiation follow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HPV-16 E6/E7 gene transfection into SGT cell line from human salivary gland adenocarcinoma, and to study the relation between the E6/E7 gene and squamous differentiation. Plasmid pBR322 containing HPV-16 was transfected into cultured SGT cell line using lipofectin method. Hygromycin was used as a selection marker. The presence of HPV E6/E7, transglutaminase 1, and involucrin mRNAs and protein in E6/E7 gene transfected cells was investigated by RT-PCR and immunoslot blot method. The apoptosis index was analysed by flow cytometry. The growth rate of E6/E7 gene transfected cells was reduced. E6/E7 transfected SGT cells increased apoptosis index. Involucrin and TGase I mRNAs by the squamous cell differentiation was most conspicuous in the E6/E7 gene transfected cell compared with non transfected cells. Squamous cell differentiation demonstrated in the transfectedSGT cell line, which expressed E6/E7 fusion gene mRNA.E6/E7 gene transfected cells showed squamous cell differentiation, expressing involucrin and TGase 1 protein by immunoslot blotting. The transfected SGT cell which expressed E6/E7 gene mRNA showed the squamous cell differentiation particularly clearly, and apoptosis was also demonstrated. It suggested that E6/E7 gene transfection into human salivary gland adenocarcinoma cells might induce clear squamous cell differentiation and contribute to study the pathogenesis of human salivary gland adenocarcinoma.
RC교량의 내진성능은 교각에 충분한 연성도를 제공함으로써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연성도는 교각의 소성힌지 영역에 적절한 횡방향철근을 배근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횡방향철근에 의한 횡구속력은 유효구속력으로 결정되므로 단면형상과 횡방향철근량이 지배적인 요소가 된다. 동일한 횡방향철근량을 제공하더라도 설치간격, 배치형태, 갈고리 상세 등의 차이에 의해 유효구속력에 차이가 있게 된다. 후프띠철근에 의해 횡구속력을 발휘하는 원형단면과는 달리 사각 또는 중공사각단면에서는 유효구속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보강띠철근이 함께 사용된다. 이러한 보강띠철근을 어떻게 고려하느냐에 따라 횡구속된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관계는 달라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해 후프띠철근과 함께 보강띠철근을 갖는 정사각단면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관계를 파악하였으며 기존의 평가식과 비교를 통해 역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복합적층구조의 층간분리현상은 탄성좌굴하중을 감소시키며 설계값보다 낮은 수준에서 전체구조물의 파괴를 유발 한다. 따라서 복합적층구조의 층간분리 현상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많은 이론과 실험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이론을 사용한 효과적인 유한요소법에 기초하여 임베디드된 사각형 층간분리 현상을 갖는 복 합적층판의 탄성좌굴 거동을 분석하였다. 해석을 위해 개발된 3차원 유한요소는 EAS-SOLID8이라고 이름 붙여졌으 며 강화된 대체 변형률 방법을 사용하였다. 임베디드된 사각형 층간분리를 갖는 복합적층판의 탄성좌굴거동 분석을 위해 경계조건, 폭-두께비 변화에 대하여 매개변수 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그래프와 좌굴모드는 임베디드된 사각형 층간분리를 갖는 복합적층판의 설계에 매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상대적으로 강성이 큰 바인더가 높은 소성변형 저항력과 인장강도를 보이므로 바인더 강성이 아스팔트 혼합물의 러팅과 인장강도에 대해 중요한 인자라 할 수 있다. 혼합물의 인장 특성은 25℃에서 간접인장강도(ITS) 시험으로, 그리고 소성변형 저항성은 가장 보편적으로 60℃에서 반복주행(WT) 시험에 의해 측정된다. 변형강도(SD)는 60℃에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소성변형 저항성 추정을 위해 새롭게 개발된 특성이다. ITS와 SD는 정적재하 시험에 의해 측정되어 매우 간단하지만, WT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는 반복 하중에 의해 얻어진다. 이 3가지 특성은 모두 바인더 강성에 의존하기 때문에, 한가지로부터 다른 하나의 특성을 추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는 ITS 또는 SD시험에 의한 WT 소성변형 특성, 그리고 SD에 의한 ITS 추정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ITS에 의한 WT 추정결과 R2≒0.6으로 ITS가 높으면 WT 침하깊이가 낮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관찰됐다. SD에 의한 ITS 추정은 R2≒0.64를, SD에 의한 WT 추정은 R2≒0.84를 보여 3가지 중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SD에 의한 소성변형 저항성 추정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비록 R2이 다소 낮기는 하지만 WT와 ITS 결과 간에도 어느 정도의 상관성이 있다.